• Title/Summary/Keyword: 작물생산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 MCPI for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MCPI에 관한 연구)

  • Park Dong-Jin;Seo Soon-Mo;Kim In-Hwa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3 s.99
    • /
    • pp.429-438
    • /
    • 2005
  • For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agriculture, one of the domestic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it is essential that we should have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each crop production. This system would be a web-based collaborative system for the local farmer and the advisors who guide the crop production technically, and would be capable of providing the real-time analysis functionalities and expert knowledge. In this thesis, we proposed a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called MCPI(Method for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which employs and re-organizes Marmi-III, the popular existing component based methodology for the large scale S/W development project. In particular, MCPI is design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and for the small and medium S/W project. To show the applicability in real-world problems, we develop and evaluate a prototype which is based on our proposed methodology for the rice production farmer in mid-Choongnam area.

Design Case on Data Collection System for the GreenHouse Horticultural Crops Growth Forecasting Model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

  • Ahn, Sung-Chul;Kim, Hee-Sung;Kwon, Hy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12-1214
    • /
    • 2012
  • 생장예측모델이란 작물의 생장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기작이나 생산과정을 수식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신뢰성 있는 생장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장과 관련된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농업을 융합한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생장 및 생장환경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RS와 GIS를 이용한 특수과수 재배 단지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및 구현 (순창군 복분자를 중심으로)

  • Kim, Tae-Jun;Jeong, Ji-Ho;Song, Gyeong-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43-248
    • /
    • 2005
  • 우리나라의 농업은 주곡의 지속적인 자급기반을 마련하고 이제 단순한 농사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득작목을 개발하고 합리적인 경영개선을 통하여 소득을 높이는 상업농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따라서 상업농시대에는 농업도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질 높은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농산물수입개방 시대에 접어들게 되면서 우리 농산물도 국제경쟁력향상을 위한 품질향상 및 새로운 소득작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와있다. 여러 지방지치단체에서 그 지방에 알맞은 소득작물을 개발하여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예로서 보성의 녹차, 무안의 무화과, 구례의 오이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농업연구기관에서도 과학적인 토양연구로 세부정밀토양조사를 실시하고 작물재배의 부적지에 대해서는 토양개량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시비추천과 소득작물의 적지적작추천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GIS의 발전 및 RS의 발전과 더불어 친환경농업의 일환으로 정밀농업분야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농업생산기술 분야에서 아직 생소한 접근방법으로서 여기에서는 지구측위시스템(GPS)와 지리정보시스템(GIS), 원격탐사(RS)기법들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1차(식량생산)적인 목적에서 2차, 3차(소득증대 및 부가가치 증대)적인 목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 그 지역에 적합한 농산물 재배를 위한 재배단지 확산방안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과거 토양속성인자를 가지고 재배적지 선정을 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GIS와 RS을 중첩하여 적지선정에 관한 최적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런 적지 선정을 통하여 유기농업의 실현을 도모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작물 생산 및 농촌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부가가치증대 및 소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Growth Management System of Vegetation Using RFID Sensor (RFID를 이용한 식물 생장 관리 시스템)

  • Cha,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864-866
    • /
    • 2014
  • 현대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분야들의 기술들이 융합되는 사회이다. 농업 분야 또한 다양한 기술들과의 융합으로 생산 관리와 생육관리 등에서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급속히 정보화가 추진되고 있는 다른 분야에 비해 농업분야는 생물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발전 속도가 늦다. 하지만 정보화는 어쩔 수 없는 당면 과제이기에 농업 종합 관리 시스템은 꼭 필요한 시스템이다. 현재의 농업 정보화 시스템은 농업관측정보시스템과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 시스템 그리고 농축산물 생산 및 수급정보 분석 시스템 등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농업관측 모형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다양한 생육과 생산 최적화를 위해 RFID 센서를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서 적은 노동력과 시간의 소모를 줄이고 소비자가 작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

Production of Farm-level Agro-information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장수준 농업정보 생산)

  • Moon, Kyung Hwan;Seo, Hyeong Ho;Shin, Min Ji;Song, Eung Young;Oh, Soonja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1 no.3
    • /
    • pp.158-166
    • /
    • 2019
  • Implementing proper land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selecting the best crops and applying the best cultivation techniques at the farm level, is an effective way for farmers to adapt to climate change. Also it will be helpful if the farmer can get the information of agro-weather and the growth status of cultivating crops in real time and the simulated results of applying optional technologies. To test this, a system (web site) was developed to produce agro-weather data and crop growth information of farms by combining agricultural climate maps and crop growth modeling techniques to highland area for summer-season Chinese cabbage production. The system has been shown to be a viable tool for producing farm-level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directly to farmers. Further improvements will be required in the speed of information access, the microclimate models for some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crop growth models to test different options.

Publishing a Web Based Crop Monitoring System and Performance Test (웹 기반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구축 및 성능평가)

  • Lee, Jung-Bin;Kim, Jeong-Hyun;Park, Yong-Nam;Hong, Suk-Young;Heo, Jo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1 no.5
    • /
    • pp.491-499
    • /
    • 2015
  •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Europe, agricultural monitoring system is developed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predict crop yield, observe weather conditions and anomaly, categorize crop fields, and calculate areas for each crop. These system is Web Map Service(WMS) which utilizes open source and commercial softwares, and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remote sensing data are provided. This study will utilize tools such as GeoServer, ArcGIS Server, which are widely used to monitor agricultural production, to publish Map Server and Web Application Server. This enables performance test study for future agricultural production monitoring system by making use of response time and data transfer test. When tested in identical condition GeoServer showed a better result in response time and data transfer for performance test.

Forecasting System Design for Tomato growth (토마토 중심의 생장 예측 시스템 설계)

  • Kwon, Hye-Eun;Kim, Hee-Sung;Kim, J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054-1056
    • /
    • 2011
  • 플라스틱 시설원예는 자본과 시설이 요구되지만 제철이 아닐 때도 생산을 통해 생산자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이는 생산자가 보다 높은 품질의 작물을 생산하는 유인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재배되는 작물에 최적화된 생육환경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으며 현재까지의 생장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래의 생장상태를 예측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마토를 대상으로 플라스틱 시설원예 환경에서의 예측시스템을 설계한다. 동일한 토마토이지만 품종에 따라 생육환경이나 예측모델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예측모델이 필요에 따라 로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농업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 Jo, Myeong-Hui;Kim, Hyeong-Seop;Yu, Seong-Ok;Kim, Jong-Su;Kim,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23-326
    • /
    • 2009
  • 최근 국내외적으로 고소득 및 친환경농산물 시장이 농업인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산 소고기' '멜라민' '식품첨가물' 등의 파동을 계기로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농업행정관리와 우수작물을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업기반 정보와 기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고소득 작물 및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그 기반으로 고해상 위성영상 및 세부정밀토양도와 농작물 생산정보를 GIS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Web기반 농업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gridded crop growth simulation system for the DSSAT model using script languages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한 DSSAT 모델 기반 격자형 작물 생육 모의 시스템 개발)

  • Yoo, Byoung Hyun;Kim, Kwang Soo;Ban, Ho-Yo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3
    • /
    • pp.243-251
    • /
    • 2018
  • The gridded simulation of crop growth, which would be useful for shareholders and policy makers, often requires specialized computation tasks for preparation of weather input data and operation of a given crop model. Here we developed an automated system to allow for crop growth simulation over a region using the DSSAT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 model. The system consists of modules implemented using R and shell script languages. One of the modules has a functionality to create weather input files in a plain text format for each cell. Another module written in R script was developed for GIS data processing and parallel computing. The other module that launches the crop model automatically was implemented using the shell script language. As a case study, the automated system was used to determine the maximum soybean yield for a given set of management options in Illinois state in the US. The AgMERRA dataset, which is reanalysis data for agricultural models, was used to prepare weather input files during 1981 - 2005. It took 7.38 hours to create 1,859 weather input files for one year of soybean growth simulation in Illinois using a single CPU core. In contrast, the processing time decreased considerably, e.g., 35 minutes, when 16 CPU cores were used. The automated system created a map of the maturity group and the planting date that resulted in the maximum yield in a raster data format.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utomated system for the DSSAT model would help spatial assessments of crop yield at a regional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