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치단체

Search Result 1,59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CI Development of the local government -centered on Haenam county case- (자치단체 CI에 관한 연구 -해남군 CI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송진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1
    • /
    • pp.19-28
    • /
    • 2000
  •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CI development by regioni government, with emphasis on CI case study of Haenan Chonnam Province. Haenam is located at the most sourthe part of Chonnam Province and famous as a starting point ( Namdo Tour and dinosaur foot traces at Woohangri. CI Ie Haenam county was studied and developed to promote tn pride and love for Haenam and to enhance the uniqu1 image of Haenam to the tourists.

  • PDF

A Study of Local Government Supports for Small Libraries: Analysis on the Ordinance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에 대한 연구 -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

  • Lee, Seung-W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4
    • /
    • pp.223-24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pporting small librar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Based upon identifying of ordinances,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supports for small libraries from local governments. Direct support is provide budget to small libraries and indirect supports are a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y and small library, instruction for library staff, and supporting volunteers. Supporting methods for public small library are direct and indirect supports, but method for private library is indirect support.

An Analysis on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of Local Governments for Implementing Ubiquitous Computing (지방자치단체의 유비쿼터스 정보화계획 분석을 위한 모형설계 및 사례연구)

  • Jo, Hyun-Woong;Kim, Jong-Tae;Yeon, Se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38-158
    • /
    • 2006
  • 사회 전반의 혁신을 이끌어 온 정보통신기술은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 최근에는 그 패러다임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한층 성숙된 대민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구축을 위한 정보화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방자치단체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구현을 위한 정보화계획들은 일관되고 균형 잡힌 프레임워크 위에서 수립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활용만을 강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정보시스템과의 연계 문제 해결 및 정보화계획을 통해 새롭게 도출된 정보시스템 사업간의 기술수준격차에 대한 연계 방안 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기술수준의 단계를 유선, 모바일, 유비쿼터스 등 3단계로 설정하고, 이러한 기술수준차이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대민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보화계획과 이에 기반이 되는 행정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정보화계획으로 구분함으로써 분석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된 분석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5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된 정보화계획 사례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계획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국가발전을 위한 경영관리 지표개발

  • 김태호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27-35
    • /
    • 2001
  • 성공적인 지방자치단체 발전모델을 검토하고 국가경영관리라는 관점에서 각 지자제 단위단체들의 발전모델을 찾고자 한다 각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핵심역량을 찾고 이를 통해 단위 우수 지방자치단체 모델을 전 국가적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국가발전을 위한 핵심경영관리 지표를 개발하여 한국 지방자치단체 및 발전적인 국가경영관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mart City Policy Promotion and Gyeonggi-do Strategy (스마트시티 정책추진과 경기도 광역자치단체 전략)

  • Kim, Myung 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55-6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s in smart city policy. In order to satisfy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losely identified how may local governments(si. gun) have been taking participated in smart city projec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its characteristics. Then we know the detailed strategies that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s should do. Gyeonggi-do provincial governments enacted smart city-related ordinances in 2020 and participated in the Smart City Local Council. In the future, Gyeonggi privincial government will propose amendments to the law, review participa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smart city policy project, the "integrated platform construction project of the metropolitan government model", and propel Gyeonggi-do's own smart city policy based on the blind spots of the policy.

Correlation Analysis of Satisfaction Indicators by Local Governments (지방자치단체별 만족도 지표 연관성 분석)

  • Kim, Seok-Hun;Im, Kwa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93-294
    • /
    • 2020
  •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단순히 먹고 사는 수준을 넘어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 정보를 살펴보더라도 근로여건 만족도, 녹지환경 만족도, 의료서비스 만족도, 소득만족도, 소비생활 만족도, 여가활동 만족도,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등 다양한 만족도 지표를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통합데이터베이스 및 e지방지표를 이용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구성원들의 다양한 만족도 지표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Analysis on Dynamic Effect by Standard Information System Policy (표준시스템 정책의 동태적 영향분석)

  • 연승준;박상현;김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2.08a
    • /
    • pp.81-99
    • /
    • 2002
  • 정보화사업은 사회 다른 어느 분야보다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중앙부처는 전국공동활용체계 구축, 그리고 행정업무의 능률 제고를 위한 각종 사업들을 역점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화 사업은 중앙부처 위주로 추진되어 개별기관별, 단위사업별로 정보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종합적인 정보시스템추진계획 구도와 전략의 부재로 인해 다양한 정보화 사업들이 부서별로 산발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사업추진의 분할손은 물론 사업간 연계를 통한 상승작용을 저해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노출되고 있다. 중앙부처의 표준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은 그 수용대상인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정보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과 더불어 기초자치단체의 수용능력여부에 따라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정보화는 그 혼란을 더욱 가중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준시스템의 긍정적인 영향만을 인식하고 있는 구조를 파악함은 물론 간과하고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시스템사고를 이용하여 이해함으로써 표준시스템의 보급으로 인한 기초자치단체로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그에 역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조직 측면에서는 CIO제도의 활성화와 정보담당조직위상의 제고를, 시스템 측면에서는 표준시스템과 기존시스템간의 GAP 분석을 통한 틈새도출 및 보강을, 데이터 측면에서는 공유정보제공시스템 구축을 통한 데이터 자원의 활용을 그 대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 PDF

의왕시 캐릭터 디자인

  • Chae, Yun-Gyeo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5
    • /
    • pp.513-516
    • /
    • 2001
  •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자치주민들의 친숙도 제고와 자치단체의 특성화, 차별화를 위해 시 아이덴티티 프로그램 개발에 박차를 가하였다. 특히 캐릭터는 특유의 소프트한 측면과 생명력으로 시의 차별화 및 자치주민 들의 친숙도 제고는 물론 무한한 상업적 부가가치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 PDF

Analysis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Library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자치법규 분석)

  • Kim, Hong-Ry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5 no.2
    • /
    • pp.117-138
    • /
    • 2014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library-related laws and regulations enacted by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library regulations are investigated all 629 cases in nationwide survey. Among them, library-related ordinances are 393 cases, library-related regulations are 187 cases, and library-related anweisung are 43 cases, such as the order was followed. The Library ordinance 393 cases consist of library management ordinance(205 cases), small library ordinance(101 cases), reading promotion ordinance(49 cases), and so on. The 32 local governments did not enact the Library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40 local government did not enact Library management ordinance. It is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 did not enact library-related laws should be established the library laws as soon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