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율작업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gricultural Autonomous Robots System for Automatic Transfer of Agricultural Harvests (수확물 자동 이송을 위한 농업용 자율주행 로봇 시스템)

  • Kim, Jong-Sil;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4
    • /
    • pp.749-754
    • /
    • 2021
  •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the agricultural popul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research on agricultural robot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utomating various agricultural tasks. The harvesting process is the most labor-intensive process among farm work and this process consumes about 2-3 times more compared to other processes. Since the transport of agricultural crops requires the most labor costs and there is a risk of injury during the operation, automating the transport operation through an agricultural robot can improve safety and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ivi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agricultural robot that is optimized for farm worksites and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Laser Vision Sensor for Robotic Arc Welding (아크용접용 로봇을 위한 레이저비젼 센서)

  • ;J.P.Boillot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4 no.1
    • /
    • pp.15-23
    • /
    • 1996
  • 용접은 힘든 작업환경 때문에 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3D 업종 중의 하나이 다. 특히 아크용접을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난은 더욱 심각 하다. 현장에서 젊은 작업자는 보기 힘들고 대부분의 작업자는 중년이상의 나이이다. 따라서 머지않아 많은 업체들이 인력난으로 조업을 중단해야 할 사태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용접자동화는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제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다. 용접자동화의 이점은 무엇보다도 일정한 수준의 품질과 생산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용접자동화에서는 가공자동화와는 달리 시스템의 자율성이 특히 중요하다. 작업조건의 설정, 용접봉의 위치와 방향 등은 전적 으로 컴퓨터와 센서시스템을 장착한 로봇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용접에 이용하는 각종 지능적인 능력을 습득하고 이를 각종 제어기와 센서로 모방하여 자율적으로 제어하는 인공지능기술을 응용하는 용접을 로봇의 개발에 관한 각종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and Workers' Outcome - Focus on Lean Production - (대안적 작업조직 유형과 노동자 성과에 관한 실증적 고찰 - 제조업의 린 방식을 중심으로 -)

  • Son, Dong-Hui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7 no.1
    • /
    • pp.1-3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o financial outcome and workers' outcome, us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database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specially, this study used the typology of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that are the typical form of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to analyze. In the case of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individual participation practices, that have the main characteristics such as QC or suggestion system, is expanded. Therefore, with the reference of Lean production, Autonomous Team Production and the Taylor system are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o-technical System. As a result, it is showed that the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as a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are more positive abou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workers' outcome than the taylor system. However, when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are compared, it is showed unsignificant distinction to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nwhile, Lean production showed more negative effect on the every dependent variables such as working hours, incom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orkers' performance than the Autonomous Team Production. Although the common ideas and belief is that the Lean Production is superior for the q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it is impli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some damaged workers' performance on the hidden side of that mechanism.

Degree of autonomy for education robot (교육 보조 로봇의 자율성 지수)

  • Choi, Okkyung;Jung, Bowon;Gwak, Kwan-Woong;Moon, Seungbi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7 no.3
    • /
    • pp.67-73
    • /
    • 2016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services and the prevalence of education robots, robots are being developed to become a part of our lives and they can be utilized to assist teachers in giving education or learning to students. This standard has been proposed to define the degree of autonomy for education robot. The autonomy is an ability to perform a given work based on current state and sensor value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e degree of autonomy is a scale indicating the extent of autonomy and it is determined in between 1 and 10 by considering the level of work and human intervention. It has been adapted as per standard and education robots can be utilized in teaching the students autonomously. Education robots can be beneficial in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assisting the teacher's education.

Development of Way-points Genera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Tractor (자율주행 트랙터의 경로점 생성 알고리즘 개발)

  • Kim, Ki Duck;Lee, Hyeon Seung;Lee, Young Ju;Kim, Dong Ki;Shin, Beom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53-1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지내 모서리 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트랙터의 경로점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작업지는 직사각형의 형태에서 거리가 긴 방향으로 직선주행 경로로 하고, 직선경로의 수는 작업폭에 의해 결정되며 홀수 또는 짝수 개일 수 있다. 또한 TM좌표계에서 직선주행 경로의 기울기는 양수 또는 음수 일 수 있으며, 선회시 전체적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즉 총 8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조건이 주어지면 경로점을 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하였다. 선회를 위한 곡선경로 생성에는 트랙터의 최소 회전반경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새로 진입할 다음 경로가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선회 구간에서도 직선 경로 구간이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하였다. 한 주기의 경로점은 직선 경로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 선회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 다음 직선경로로 진입을 위해 선회하기 직전까지의 직선 구간에 대한 시작점과 끝점 등 6가지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어떤 끝점 경로점은 다음 조작 구간의 시작점 경로점이 되므로 최종적인 경로점 데이터는 4개가 된다. 여기서, 첫 번째 경로점 생성에서는 직선구간 진입을 위한 선회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은 제외하였으며, 작업지로 진입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선회하여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추가 구성하였다. 실제 상황에서는 직선주행 경로의 수가 정수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는 작업 구간이 약간씩 오버랩되도록 작업폭을 조정하여 경로의 수가 항상 정수가 되도록 하였다. 알고리즘 평가에 사용된 작업 패턴은 관행적인 방법으로서 작업 포장을 반으로 나누어 8자형 패턴을 이용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항해를 위한 원격운항자 최저역량에 관한 연구

  • 장은규;김대근;김창우;강석용;김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1-222
    • /
    • 2023
  • 국제해사기구(IMO)는 자율운항선박(MASS)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해사안전위원회(MSC), 법률위원회(LEG) 및 해상교통간소화위원회(FAL)에서 협약규정식별작업(RSE)을 완료하고 각 위원회별로 MASS의 안전한 운항을 위한 조치방안에 대해 검토 중에 있다. RSE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MASS Code 개발과정에서 원격운항자(Remote Operator)가 중요한 검토사항이 될 것으로 식별됨에 따라 원격운항자가 갖추어야 할 최저역량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MASS Code 개발과정에서 논의될 운항모드(Mode of Operation)에서 원격운항자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자율무인잠수정의 자율기술 수준 및 발전 동향

  • Seo, Ju-No;Choe, Jung-Rak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8 no.7
    • /
    • pp.20-29
    • /
    • 2011
  • 무인잠수정(Unmanned Underwater Vehicle, UUV)은 하드웨어 구성과 관련하여 ROV (Remotely Operated Vehicle), SAUV (Semi-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자율무인잠수정(AUV)은 주어진 임무의 난이도, 작업 환경의 정보, 그리고 운용자의 간섭 정도에 따라 다양한 수준으로 자율 정도를 분류한다. 무인잠수정은 미국을 중심으로 1952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최초는 전적으로 운용자에 의해서 직접 운용되는 ROV가 주를 이루었다. 자율무인잠수정은 1980년대부터 다양한 수중관련 기술 및 컴퓨터 발전과, 민군의 사용분야가 증가되면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이에 따라 AUV 자율수준 정의와 기술개발도 급속한 진전이 이루어져 왔다. 본 기고에서는 무인잠수정의 개발현황, 자율개념 및 자율수준(Autonomy Levels for Underwater Vehicle, ALFUV)의 정의, 자율을 정립함에 필요한 방법 또는 기술 등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자율 알고리즘으로 개발된 구조의 표준화를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미래의 자율수준 개발 동향을 살펴보았다.

  • PDF

The Effects of Control Takeover Request Modality of Automated Vehicle and Road Type on Driver's Takeover Time and Mental Workload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권 인수요구 정보양상과 도로 형태에 따른 운전자의 제어권 인수시간과 정신적 작업부하 차이)

  • Nam-Kyung Yun;Jaesik L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4
    • /
    • pp.51-70
    • /
    • 2023
  • This study employed driving simulation to examine how takeover request (TOR) information modalities (visual, auditory, and visual + auditory) in Level-3 automated vehicles, and road types (straight and curved) influence the driver's control takeover time (TOT) and mental workload, assessed through subjective workload and heart rate variations.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points. First, visual TOR resulted in the quickest TOT, while auditory TOR led to the longest. Second, TOT was considerably slower on curved roads compared to straight roads, with the greatest difference observed under the auditory TOR condition. Third, the auditory TOR condition generally induced lower subjective workload and heart rate variability than the visual or visual + auditory conditions. Finally, significant heart rate changes were predominantly observed in curved road conditions. These outcomes indicate that TOT and mental workload levels in drivers are influenced by both the TOR modality and road geometry. Notably, a faster TO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ental workload.

Effect Analysis of a Deep Learning-Based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Productivity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딥러닝 기반의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분석)

  • Yong-Man Ha;Jong-Wook Ja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4 no.1
    • /
    • pp.175-180
    • /
    • 202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a deep learning-based system on data labeling task productivity b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interventions, particularly those using AI, significantly improved productivity compared to self-serving task. AI interventions were notably more effective than job coach-led approaches.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positive role of AI in enhancing task efficiency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the first to apply AI technology to the data labeling task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ighlighting deep learning's potential in vocational training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for thi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