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and Workers' Outcome - Focus on Lean Production -

대안적 작업조직 유형과 노동자 성과에 관한 실증적 고찰 - 제조업의 린 방식을 중심으로 -

  • 손동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노동행정연수원)
  • Received : 2011.02.22
  • Accepted : 2011.06.3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o financial outcome and workers' outcome, us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database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specially, this study used the typology of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that are the typical form of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to analyze. In the case of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individual participation practices, that have the main characteristics such as QC or suggestion system, is expanded. Therefore, with the reference of Lean production, Autonomous Team Production and the Taylor system are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o-technical System. As a result, it is showed that the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as a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are more positive abou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workers' outcome than the taylor system. However, when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are compared, it is showed unsignificant distinction to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nwhile, Lean production showed more negative effect on the every dependent variables such as working hours, incom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orkers' performance than the Autonomous Team Production. Although the common ideas and belief is that the Lean Production is superior for the q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it is impli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some damaged workers' performance on the hidden side of that mechanism.

대안적 작업조직을 둘러산 다양한 주장과 논쟁이 단위조직 사례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개념적 차원에서 제기되어 왔으나 정작 노동자 관점에서의 양적 검증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 글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 기업패널 제조업 자료를 이용하여 대안적 작업조직의 대표적 형태로써 테일러 방식과 린 방식, 자율팀 방식을 유형화한 후 각각 조직의 재무적 성과와 노동자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경우 린 방식의 대표적 특성인 QC, 제안활동 등의 개별참여 관행이 확산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린 방식을 준거로 사회기술체계의 특성을 고려한 자율팀과 테일러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안적 작업조직으로써 린 방식과 자율팀 방식이 테일러 방식에 비해 조직성과 뿐만 아니라 노동자 개인의 성과측면에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린 방식과 자율팀 방식간 비교에서는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노동자 개인의 성과로써 노동시간, 소득,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의 모든 결과변수에 대해 린 방식이 자율팀 방식에 비해 일관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린 방식이 품질개선과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우월한 작업조직이라는 주류적 공감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기제의 이면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노동자 개인의 성과가 훼손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