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율실습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효율적인 자바언어 학습을 위한 인터넷기반 자율학습시스템의 구현 (An Internet-based Self-Learning Educational System for Efficient Learning of Java Language)

  • 김동식;이동엽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71-8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자바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터넷 기반 자율학습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자율학습시스템은 JWP(Java Web Player)라고 불리며 Java Web Start 기술을 활용하여 웹상에서 실행이 가능한 자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3가지 중요한 일련의 과정인 개념학습과정, 프로그래밍 실습과정, 그리고 학습 성취도 평가과정을 Java Web Start 기술을 이용하여 JWP에 통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과정을 교육공학적인 측면에서 멀티미디어 요소를 강화하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더욱이 JWP 에는 효율적인 자바 언어 학습을 위해 학습내용에 대한 설명이 음성으로 출력되며, 이때 이와 관련된 이미지와 텍스트들이 동기화되어 동시에 화면에 표시된다. 더욱이 소스파일의 코딩, 에디팅, 실행 그리고 디버깅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컴파일러가 삽입되어 있어 편리한 자바 언어 실습환경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각 단원별 돌발퀴즈와 마무리 테스트를 통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상황을 체크하여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CBT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쌍방향 자율모드 기반 RTE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elf-control-mode based RTE System based on CBT)

  • 김성열;최보철;홍병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27-234
    • /
    • 2012
  •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교육 시장도 이에 적극적으로 부응하여 원격교육, 사이버교육, 가상강의, e-Learning 등의 이름으로 제안되어지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한 시스템들이 다양하게 제공되면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교육과 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시스템들이 제한적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의 교육 이해 수준 정도를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교수자가 맞춤식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CBT(Computer Based Training/Test)방식의 쌍방향 자율모드 기반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RTE(Real Training Environment)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능력에 맞는 맞춤식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율주행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using Self-driving)

  • 윤효순;정민규;김경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2호
    • /
    • pp.145-155
    • /
    • 2024
  •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다양한 교육자료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 적합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은 체험과 실습을 중심으로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한 물체 탐지, 라인 트레이싱과 같은 다양한 동작 제어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피지컬 컴퓨팅 프로그램이다.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결과, 학생들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진로 지향도 그리고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90% 이상이었고 제안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95% 이상이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설계 (Arduino Educational Environment Design using Smart device)

  • 박동혁;이원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4-367
    • /
    • 2016
  • 개정된 2015 정보교육과정에 컴퓨팅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피지컬 컴퓨팅을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교육용 도구와 교수학습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센서를 제어하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 학습의 제공이 부족하고, 학습활동 간에 1인 1PC와 다수의 전자부품을 활용할 공간이 필요하여 학교현장의 일반적인 교실환경과는 차이가 있어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구축을 통해 현재 PC를 필요로 하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환경을 스마트기기 기반의 교육환경을 제시하여, 기존의 시스템보다 실습용장비, 실습실, 이동의 자율성, 그리고 사용언어 측면에서 개선시키고자 한다.

실습실 개방 자율 실습방법 적용이 기본간호학 실기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교육평가적 연구 (Educational Evaluation of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through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 백훈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0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in improving nursing skill competency. Method: This study was a one group posttest only design that examined the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fter traditional education and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Students participated in traditional education and open laboratory practice through self-study. Whenever practice was done, the item of practice and time were measured and documen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 1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n lab self-directed practice was 53.9 (64.2%) and the total number of hours of participation was 1567.5 minutes per year. Each student participated for an average of 29.1 minutes per year. 2.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al skill and open laboratory self-study (r=0.252, p=0.048).

  • PDF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ntoring Seni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 이영란;강현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41-44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전후 설계로, 간호대학생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은 총 6시간으로 활력징후 측정, 단순도뇨, 피하주사 3개의 핵심술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의 지도하에 선배 멘토가 라포 형성 및 교육, 자율실습,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조사로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ired t-tes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간호실습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대조군을 포함하여 처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로마목걸이 착용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Necklace Application on Perceived Stress, Symptoms of Stress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 김미희;김진일;하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34-34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oma-necklace application on perceived stress, symptoms of stress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Methods: A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n=39) underwent aroma inhalation by necklace which contains an essential oil mixture of lavender and sweet orange mixture in ratio of 2:1 for 2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n=36) received placebo therap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The perceived stress scores and scores of peripheral manifest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l indices of HRV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LF norm and LF/HF ratio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HF nor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aroma-necklace application was effective in decreasing perceived stress and peripheral manifestations of stress and in changing HRV indices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스마트 폰 동영상을 활용한 피드백 자율실습이 기본간호수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 이슬기;신윤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83-29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verify effects of a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ods: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ith a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wenty-nin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to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treatment was exchanging feedback on deficiencies through smartphone recorded videos of nursing practice process taken by peers during self-directed practice. Results: Basic nursing skills scores were higher for all item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ing vital signs" (t=-2.10, p=.039);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quarantine room and the management of waste materials" (t=-4.74, p<.001) "Gavage tube feeding" (t=-2.70, p=.009)]. Confidence in performanc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fter the complete practi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performance confidence (t=-3.07. p=.003).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67, p=.100).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can improve basic nursing skills. The significance is that it can help nursing students gain confidence in their nursing skills for the future through improvement of basic nursing skills and performance of quality care, thus providing patients with safer care.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효과 평가 (Evalu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 유상희;배수명;신보미;신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8-374
    • /
    • 2017
  • 본 연구는 G대학교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 수업을 수강한 치위생학과 4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사업을 학습 내용에 적용하기 위해 목표 집단에 대한 현황조사, 사업 기획, 수행, 평가, 중간 및 결과 발표로 구성된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전 후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자신감, 프로젝트 가치, 팀워크 역량, 지역사회 치과위생사 역량에 대한 비교 결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수업 전 35.74점, 수업 후 39.59점(p=0.001), 프로젝트 가치는 수업 전 25.11점, 수업 후 26.41점(p=0.181), 팀워크 역량은 수업 전 79.63점, 수업 후 84.07점(p=0.070), 지역사회치과위생사 역량은 수업 전 38.26점에서 수업 후 46.26점(p=0.001)으로 향상되었다. 수업 후 프로젝트의 실제성, 학습성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실제성은 19.30점, 학습성과는 45.19점, 만족도는 19.19점으로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수업 효과성의 질적 평가를 위해 각 팀별 동료평가에서 최저점과 최고점을 받은 학생 2명씩 총 8명을 대상으로 1:1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피면접자 모두 학습자가 자율성을 갖고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와 추후 배운 기술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력 및 자신감, 협동심과 같은 팀 워크 역량, 역할에 대한 책임감, 창의적인 사고력, 의사사통 등의 사회적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기반의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 교과목은 학습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현장과 밀접한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무적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학습법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타 치위생(학)과에서도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이 현장과 밀접한 교과목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기반의 체계적인 학습모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Pedagogy of E-Learning in Engineering Classes Using Multimedia Contents: Case of K University)

  • 황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23
    • /
    • 2010
  • 이러닝뿐만 아니라 모든 테크놀로지 활용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중요한 것은 기술적 접근보다 교수학습적 접근이다. 공과대학에서 이러닝이 더욱 확대, 보급되는 현 시점에서 공대 이러닝의 활용 유형을 파악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연관된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공대 이러닝 콘텐츠와 운영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과 연계하여 이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대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네 과목을 대상으로 활용 유형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콘텐츠는 학습전에 개발되는 정형적 콘텐츠이며 운영은 학생 개인의 자율학습에 사용하는 콘텐츠 활용형으로 나타났다. 강의와 실습 외에 프로젝트가 학습활동의 하나로 사용되었지만 LMS와 웹 환경 등은 단순 기능의 활용에 국한되었다. 결론에서는 면대면 수업을 보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통합 활용형의 사용을 제안하면서 문제해결 유형 위주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조건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