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유흐름온도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수온성층흐름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흐름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Wind Induced Circulation in a Thermally Stratified Flow)

  • 이진우;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44-44
    • /
    • 2011
  • 저수지와 같은 갇혀진 수체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성층현상에 의해서도 오염될 수 있다. 안정된 성층은 혐기성 조건을 제공하여 바닥에서의 과도한 조류성장을 유발하고 연직순환흐름을 방해한다. 갇혀진 수체에서의 연직순환은 환경적인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갇혀진 수체에서의 연직순환은 이러한 오염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연직순환을 일으키는 인자로는 빛의 입사, 바람, 물의 온도 및 열의 확산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람의 영향이다. 그러므로 성층화된 흐름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연직순환에 대한 수치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온성층흐름에서의 순환흐름을 해석하기 위하여 유속성분을 계산하고 자유수면 변위와 온도, 염도등과 같은 스칼라양의 해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3단계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정수압 계산단계)에서는 운동량 방정식의 경사항을 음해적으로 해석하고, 두 번째 단계(자유수면 보정단계)에서는 자유수면의 변화를 계산하고 수평방향 유속성분을 계산한다. 예측-수정자 방법(predictor-corrector step method)을 이용하여 자유수면변위와 유속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이송-확산단계)에서는 이송-확산 방정식을 이용하여 스칼라양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사각형수조에서 진동하는 자유수면의 해석해와 비교하였고, 성층화된 흐름에서 발생하는 연직순환에 대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이 흐름 내부의 현상을 잘 묘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유흐름 난류 강도 변화에 대한 터빈 블레이드의 대류 열전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in the Turbine Cascade for the Free-Stream Turbulence levels)

  • 심재경;전승배;황민기;임진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0년도 제15회 학술강연회논문초록집
    • /
    • pp.42-42
    • /
    • 2000
  • 선형 터빈 익렬에 유입되는 자유흐름 난류 강도의 변화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에서의 대류 열전달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익렬은 5개의 볼레이드를 선형으로 배치하여 구성하였으며, 현의 길이에 근거한 레이놀즈 수는 2.5${\times}$$10^5$, 3.5${\times}$$10^5$ 이다. 자유 흐름의 난류 강도는 익렬의 도입부에 설치된 격자의 형상에 따라 1.3%, 3.7%, 7.0%, 7.8%의 값을 나타내었다. 자유흐름의 난류강도는 정온 열선유속계로 측정하였으며, 블레이드 표면 온도 분포는 열전대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금속박판을 사용하여 균일한 열유속을 공급하였다.(중략)

  • PDF

자유흐름온도와 대류열전달계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실험 방법에 대한 연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eference free-stream temperature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 정기호;송기범;김귀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419-424
    • /
    • 2001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that can obtain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reference tree stream temperature simultaneously. The method is based on transient heat transfer experiments using two narrow-band TLCs. The method is validated through error analysis in terms of the random uncertainties in the measured temperatures. It is shown how the uncertainties in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tree stream temperature can be reduced. The general method described in this paper is applicable to many heat transfer models with unknown free stream temperature.

  • PDF

자유흐름온도와 대류열전달계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eference Free-Stream Temperature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 송기범;정기호;성영식;김귀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10호
    • /
    • pp.1465-1471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that can obtai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the reference free stream temperature simultaneously. The method is experimentally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results in convective heat transfer experiments of a circular impinging jet using two narrow-band TLCs. The general method described in this paper is highly recommended to many heat transfer models with the unknown or ambiguous free stream temperature.

자유흐름 온도와 대류열전달 계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실험 방법에 대한 연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eference Free-Stream Temperature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 정기호;송기범;김귀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12호
    • /
    • pp.1707-1714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that can obtain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reference free stream temperature simultaneously, The method is based on transient heat transfer experiments using two narrow-band TLCs. The method is validated through error analysis in terms of the random uncertainties in the measured temperatures. It is found that the errors could be reduced more than 2 times less. The general method described in this paper is applicable to many heat transfer models with unknown free stream temperature.

수온성층흐름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모형개발 (A Numerical Model for Wind-Induced Circulation in a Thermally Stratified Flow)

  • 이진우;김형준;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0호
    • /
    • pp.911-920
    • /
    • 2010
  • 저수지와 같은 갇혀진 수체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성층현상에 의해서도 오염될 수 있다. 갇혀진 수체에서의 연직순환은 이러한 오염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연직순환을 일으키는 인자로는 빛의 입사, 바람, 물의 온도 및 열의 확산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람의 영향이다. 그러므로 성층화된 흐름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연직순환에 대한 수치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온성층흐름을 해석할 수 있는 3차원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유속성분은x-축과 y-축 방향에서의 운동량방정식으로부터 3단계에 걸쳐 계산되고, 자유수면 변위와 온도변화 등의 스칼라양은 각각 자유수면방정식과 이송-확산 방정식으로부터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사각형수조에서 진동하는 자유수면의 해석해와 비교하였고, 성층화된 흐름에서 발생하는 연직순환에 대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이 흐름 내부의 현상을 잘 묘사함을 알 수 있었다.

톨루엔의 점성도에 대한 압력 의존성 (Pressure Dependence of the Viscosity of Toluene)

  • 김정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1-256
    • /
    • 1999
  • 여러 온도와 압력에서 톨루엔의 점성도를 공낙하법에 의하여 결정하고 톨루엔의 점성도에 대한 온도 및 압력 의존성을 연구하였다. 톨루엔의 점성 흐름에 관한 엇갈림 변형력으로부터 엇갈림 자유 에너지, 엇갈림 엔트로피, 엇갈림 엔탈피 등을 정의하여 압력 변화에 따르는 열역학적 성질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실험적으로 결정된 엇갈림 자유 에너지, 엇갈림 엔트로피, 엇갈림 엔탈피 등을 온도 상승에 의한 톨루엔 분자들의 열운동 효과와 압력 증가에 의한 밀도 증가 및 분자의 입체 효과에 의하여 설명하였다.

  • PDF

표면성장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조건이 그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eparing Condi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urface Grown UHMW PE Fibers)

  • 김상용
    • 유변학
    • /
    • 제4권1호
    • /
    • pp.52-61
    • /
    • 1992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파라 크실렌에 녹인 희박 용액에 전단흐름을 가해 섬유를 뽑아내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표면성장이라 불리는 이 방법을 용액내에서 회전하는 rotor 의 표면에 흡착된 젤 층에, 결정성이 강한씨(seed)를 접촉시킴으로써 엉킨 분자쇄들이 전단력에 의해 신장되어 분자의 자유에너지가 증가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고강력, 고탄성 률 결정을 뽑아내게 한 것이다. 이표면성장법으로 섬유를 얻는데 있어서 결정화온도 rotor 속도, 권취속도 및 고분자 농도와 같은 결정화 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섬유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방법으로 섬유를 성장시키면 열역학적 평형온도(118.6$^{\circ}C$) 이상 인 12$0^{\circ}C$에서 성장시켰을 때 133GPa의 인장 탄성계수 3.1%의 절단신도에서 5.04GPa의 고 강력을 갖는 섬유를 얻을수 있었다. 또한 이방법에 있어서는 결정화 온도가 물리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하였다, 고분자 농도의 영향은 0.7wt.% 이상에선 물리적 성질이 더 이상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장력의 증가로 불안정한 성장을 보였다. 또한 0.5wt%이하에서는 젤층의 형성이 둔화됨을 볼수 있었다. 결국 물리적 성질의 측면에서 볼 때 0.5~0.7wt%에서 최적조건을 보여주었다.

  • PDF

3차원 압출팽창에 대한 수치모사 연구 (Numerical Prediction of three-Dimensional Extrudate Swell)

  • 이성재;이승종
    • 유변학
    • /
    • 제2권2호
    • /
    • pp.35-44
    • /
    • 1990
  • 자유표면 유동을 수반하여 복잡한 구조를 지나는 유동문제를 수치모사할 수 있는 삼차원 유한요소법코드를 개발하였다. 정사각관을 대상으로 하는 삼차원 압출팽창 문제를 등온 뉴톤 유동뿐만아니라 비뉴톤유동 및 비등온 유동문제의 경우까지 다룰수 있도록 확장 하여 수치모사하였다. 삼차원 유한요소법 알고리듬에 pathline approach 방법과 사상방법을 적용시켜 등온 뉴톤 유체의 미동흐름에 대하여 압출 팽창문제를 푼 결과 팽창비가 대칭면에 서 최대 21.0%관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소 4.1%로 나타났다 전단박화현상이 있는 비뉴톤 유 동의 경우 뉴톤유동에 비해 팽창이 작게 일어났고 비등온 유동의 경우 관벽온도가 낮은 쪽 이 높은 쪽에 비해 팽창이 크게 일어남을 알수 있었다.

  • PDF

초음속 주유동 환경에서의 막냉각 특성 시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Film Cooling Characteristics at Supersonic Free Stream Conditions)

  • 김만식;이동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2-34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음속 주유동 환경에서의 막냉각 특성에 대해 적외선 열상법을 적용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막냉각 시험은 수축형 막냉각 노즐을 갖는 쐐기형 막냉각 시편을 이용해 마하수 3.0, 단위 길이 당 레이놀즈수 $42.53{\times}10^6$$69.35{\times}10^6$ 인 조건을 구현한 자유-제트 시험 설비에서 수행하였다. 모사 탐색창에 해당하는 PEEK의 표면 온도를 계측하여 막냉각 효율을 산출하였고 받음각 및 분사율이 막냉각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막냉각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막냉각을 적용할 경우 측정된 PEEK의 표면 온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막냉각의 유용성은 시간에 따른 PEEK의 표면 온도로부터 산출한 열유속 특성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분사율이 증가할수록 보호되는 PEEK의 영역이 주유동과 막냉각 유동의 흐름 방향으로 확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