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원이용량

검색결과 1,792건 처리시간 0.055초

꽁치의 어업생물학적 연구 3. 수량변동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OF THE EAST COAST OF KOREA 3. Quantitative Variations)

  • 김기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58-64
    • /
    • 1973
  • 우리나라 동안의 꽁치에 대하여 $1964\~1973$년의 어획통계 및 $1968\~1972$년의 체장조성자료를 이용하여 수량변동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64\~1972$년에 있어서 어느 해의 가을(9월$\~$익년 2월)의 자원량과 다음 해의 봄(3$\~$8월)의 자원량과의 사이에는 순상관이 보이며, 봄 및 가을의 자원량은 각각 3년 주기로 변화되며, 가을의 자원량의 변동주기는 봄의 자원량의 변동주기 보다 1년 빠르게 Mode가 나타나고 있다. 2. 봄에 있어서 1967년에는 노력량이 과다하며, 1969년에는 노력량이 과소하고, 1972년에는 어장의 이용도가 낮은 것 같으며, 가을에서는 1967년에 노력량이 과다하고, 1969년에는 어장의 이용도가 낮은 것 같다. 그리고 가을의 노력량은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3. 봄에 있어서 대형군의 비율이 높은 해에는 자원량이 많으며, 가을에서는 중형량이 대형량보다 많은 해에는 자원량이 많은 경향이 있는 것 같다 4. 봄의 북상기에 있어서 각 월의 어군분포대심이 외해에 있고, 북방향으로 이동하는 해에는 어획량이 많으며 어군분포중심이 연안으로 기울어지고, 서 또는 북서방향으로 이동하는 해에는 어획량이 적은 경향이 있는 것이라 추정된다.

  • PDF

국내(國內) 바이오매스 에너지 잠재량(潛在量) 및 밀집도(密集度) 분석(分析) (Analysis of Biomass Energy Potential and Density in Korea)

  • 국진우;신지훈;류호성;이시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5호
    • /
    • pp.56-62
    • /
    • 2013
  • 에너지 부족과 지구온난화 문제들을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있는 바이오매스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국내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농산, 임산, 축산, 도시 생활 폐기물 등의 바이오매스 자원량을 기존에 발표된 자료들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원량을 각 지역별 면적으로 나눈 지역별 바이오매스 자원 밀집도를 구하였다. 바이오매스 발생량의 분석은 가용할 수 있는 자원 잠재량을 파악할 수 있으나 지역별 밀집도 분석은 바이오매스 수집에 따른 비용을 고려한 바이오매스 자원 이용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바이오매스 자원에 따른 적절한 전환 공정 선택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음향을 이용한 금오도 주변해역에 있어서의 수산자원조사

  • 황두진;강돈혁;박주삼;이유원;김동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62-263
    • /
    • 2003
  • 최근 배타적경제수역(EEZ) 발효로 인해 자국의 수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자원량 조사에서 음향조사기법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근해 자원의 고갈로 인한 원양 어장의 개척 과정에서, 자국 어선의 진출 이전에 어구조사기법과 더불어 음향조사기법을 이용한 사전 조사가 선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원양의 새로운 어장 개척이나 연근해 수산 자원 조사에서 자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음향 조사 기법은 바다 목장 조성지에 대한 기본 조사에서도 응용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평덕형을 활용한 다래 재배에서 결과모지 전정 길이에 따른 수확량 및 열매 특성 분석 (Yield and Fruit Quality of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as Affected by the Length of Fruit Bearing Mother Branches in Pergola Cultivation)

  • 서지애;신한나;김문섭;김영기;송정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57
    • /
    • 2020
  • 다래(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의 재배에서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평덕형은 기존의 T덕형에 비해 가지의 배치가 자유롭고 수확량이 많은 장점이 있다. 평덕형을 활용한 다래 재배에서 결과모지의 전정 길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T덕형과 마찬가지로 15cm 길이의 단초전정이 권장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덕형에서 품종별로 수확량을 증대하면서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한 결과모지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실 특성이 다른 '오텀센스'와 '대보' 품종을 이용하여 결과모지가 30, 50, 100, 150 및 200cm 길이가 되도록 전정하고, 수확기인 9월에 수확량 및 열매 특성을 조사하였다. 평덕형의 경우 품종과 결과모지 전정길이에 따라서 가지수, 결과지의 수, 총 착과 수, 열매무게 및 총 수확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두 품종 모두 150cm로 결과모지를 전정하였을 때 결과모지당 착과 수가 각각 129±71개 및 27±8개로 가장 좋았으며, 총 수확량 역시 각각 1,697.0±990.4g 및 849.0±243.2g으로 가장 좋았다. '오텀센스'와 '대보' 품종은 평덕재배시 결과모지를 150cm로 전정하는 것이 생산량 증대 및 품질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평가자료가 결핍된 어업의 과도어획상태와 자원의 남획여부를 결정하는 실용적인 방법 (A Pragmatic Approach for Determining Overfishing and Overfished Condition for Assessing Data-deficient Fisheries)

  • 장창익;이재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09-1019
    • /
    • 2013
  • 본 연구는 어업자원이 건강한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남획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현재 어업활동이 과도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자원평가를 수행시에는 고가의 자료와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는데, 특히 소규모 어업과 다종어업에서 어려움이 더욱 심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어업자원의 구체적인 상태와 어업활동의 객관적인 상태를 고려해서 어업자원을 보존하고 어업활동을 규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자원량과 어획사망률을 추정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없거나, 추정할 수있는 과학적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자원량을 대용해서 단위노력당어획량을 사용하고 어획사망률을 대용해서 어획노력량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의 실현가능성과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복수어종으로 집계된 어획량과 어획노력량 만으로 된 경우나 또는 개체군 특성치 정보와 체장자료 만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대해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수산자원의 보존이라는 전지구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자원상태와 어업상태를 판단해서 어획활동을 규제하고 조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석탄층메탄가스자원의 잠재성

  • 박석환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3-216
    • /
    • 2003
  • 1990년대에 들어와서 미국을 비롯한 석탄자원 부국들은 석탄층메탄가스자원을 에너지로 이용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현재 그 생산과 이용규모를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약 15억 톤의 무연탄자원이 확인되지만 수요처 상실로 1980년대 후반부터 석탄합리화 과정을 통해 석탄생산량은 2700만 톤/년에서 400만 톤/년 이하로 급감 했으며 가행탄광 수도 350여 개에서 10개로 감소됐다. 이러한 추세로 보면 국내무연탄자원은 사실상 사장 화 될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이다. (중략)

  • PDF

ANFIS기법과 Power Ramp Rate 속성을 이용한 풍력발전량 예측 (Forecasting wind power generation using ANFIS and Power Ramp Rate)

  • 박현우;김성호;김광득;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5-1087
    • /
    • 2012
  • 현재 급격한 화석 에너지의 사용 증가로 인해 자원이 고갈되고 있으며,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석 에너지의 문제점 때문에 무공해이면서 자원 량이 무한에 가까운 신재생 에너지가 거론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경제적인 면과 기술력이 가장 발전한 풍력 에너지가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풍력 발전은 풍속이 짧은 시간 안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켜 풍력 터빈의 손상을 초래하며 정확한 풍력발전량의 예측이 힘들어 전력 생산량이 불규칙하다. 그리하여 전력의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위해 풍력발전량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NFIS을 적용하고 전력 생산 변화의 빠르기 PRR을 이용하여 풍력발전량을 예측하였다. 실험에서는 ANFIS기법에 PRR속성을 이용하여 단순한 ANFIS 기법 보다 더 정확한 풍력 발전량의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Cloud Monitor를 이용한 자원 및 전력 측정 방안 (Resource and Power Measurement Scheme using Cloud Monitor in Cloud Computing)

  • 이규진;박상면;문영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99-201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기존의 컴퓨터 및 스토리지 자원을 소유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이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전력량도 증가하고 있다[1]. 전력량의 증가로 인해 전력 관리에 관한 각종 문제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Cloud Monitor[2]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소비되는 컴퓨터 자원 및 전력량을 측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수산보조금 : 과연 지속가능한 어업발전을 위한 장애물인가? (Subsidies: Are they really obstacles in achieving a sustainable fisheries development?)

  • 이상고;김도훈
    • 수산경영론집
    • /
    • 제35권2호
    • /
    • pp.117-137
    • /
    • 2004
  • 지속적인 어업자원 이용에 대한 수산보조금의 역할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세계 전체적이거나 국가별 총어업수입과 총어업비용만을 고려하여 잠정적으로 비용 절감형 또는 수입조장형 보조금이 어획노력량 수준을 증가시켜 어업자원의 감소를 부추기거나 남획을 초래했다고 결론짓고 있다. 또한 어업의 특성상 어업에 있어서 각종 규제수단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수단들의 효과와 보조금과의 관계를 분석하지 못함으로써 어업자원에 대한 보조금의 영향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에 있어서의 각종 규제수단의 사용에 따른 보조금의 영향을 국제적으로 권고되고 있는 생물경제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조금이 어업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 연구들의 잠정적인 결론은 관리수단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루어지더라도 불완전하게 어획노력량 등이 통제될 경우에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관리수단 하에서 어획노력량 등에 대한 감시 및 통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수산보조금이 어업자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히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보조금의 경우도 어업상황에 따라서는 어업자원에 대한 부정적인 피해 없이 어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원회복계획 하에서의 총허용어획량(TAC) 어업정책 효과에 관한 생물경제학적 분석 -미국 멕시코만의 Yellowedge Grouper 어업을 사례로- (A Bioeconomic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otal Allowable Catch(TAC) Policy under the Rebuilding Plan)

  • 김도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4호
    • /
    • pp.663-686
    • /
    • 2003
  • 본 연구는 미국 멕시코만의 Yellowedge Grouper 어업을 사례로 생물경제학 모델을 이용하여 자원회복계획 하의 총 허용어획량(TAC) 어업관리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생물학적 자원평가모델인 잉여생산량 모델의 추정 결과 자원이 남획상태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결과 10년 기간 동안 TAC제도를 이용하여 목표 자원량 달성을 위한 자원회복계획이 수립되어졌다. 모델 분석 결과, 통제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자원회복기간 이후에 목표 자원량 수준이 달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목표 자원량 달성을 위해서는 자원회복기간 동안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NMFS가 권고한 연간 342톤 어획량보다 더 크게 어획량이 감소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25년 동안 발생할 어업 이익은 자원회복기간 동안의 어획량 감소로 인하여 현 상태유지 하에서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할인율이 낮을 때는 변동어획량 TAC제도 하에서 고정어획량 TAC재도 하에서보다 큰 어업이익이 발생하였지만, 할인율이 높아질수록 고정어획량 TAC제도 하에서 변동어획량 TAC제도 하에서보다 큰 어업이익이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