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이론

Search Result 1,21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y from the Perspective of Resource-based Theory : Focusing on Technology-driven vs. Management-driven Ventures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의 벤처기업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술주도 vs. 경영주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 Yoo, In-Jin;Seo, Bong-Goon;Park, D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79-479
    • /
    • 2017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매출액의 영향요인에 대하여 기업 내 자원을 범주화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이 보유한 역량을 2개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차원에 따른 집단 간 벤처기업성과 영향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기업이 보유하는 역량인 기술, 가격, 품질, 디자인, 조직관리, 마케팅 경쟁력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기술역량과 경영역량 차원을 도출하였고, 군집화 과정을 거쳐 각 역량 수준에 따른 네 개의 벤처기업 집단을 분류하였다. 네 개의 집단은 기술-경영 우위, 기술주도, 경영주도, 기술-경영 열위로 나뉘었다. 이후 성과 영향요인들을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기업현황, 기업가자원, 인적자원, 재무자원, 기술자원, 외부자원의 여섯 개의 상위 범주로 구분하였고, 각 범주에 포함되는 세부 요인들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의 2개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전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모형에 투입된 33개의 변수들 중 22개의 변수가 벤처기업 매출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기업 역량 차원 분류에 따른 기업 집단 간 영향요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 영향요인은 입력된 33개의 독립변수 중 최대 13개에서 최소 8개로, 기업 역량 차원에 따른 매출액 영향요인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 PDF

Work-Family Role Strain in Dual-Earner Families:A Theoretical Model for Wives (맞벌이 부부가족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이론적 모델의 검증)

  • 김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2
    • /
    • pp.139-158
    • /
    • 1992
  •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 이론적 모델인 Double ABCX Model과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하여 제안된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나 두 가지 역할의 누적으로 쌓이는 역할 긴장이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ulcorner 또한 매개 변수인 가족자원과 대처방안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한국교민 중 맞벌이 부부인 가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법으로 남편과 부인의 자료를 분리하여 표집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153명의 부인으로부터 얻은 자료만을 분석하고자 한다. 자료는 이론적 검증에 유용한 LISREL VI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자료의 분석결과가 처음 제안된 모델은 검증하지 못했지만 가족자원 변인과 대처방안 변인간의 상호 관계 효과를 고려하여 수정된 모델은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일과 가정생활을 병립하는데서 오는 stressor나 누적된 역할 긴장을 이해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맞벌이 부부가족의 부인에게는 일과 가정생활의 stressor가 누적되어 역할긴장을 증가시켰으며 이 역할긴장은 주로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자원은 일과 가정 생활의 두 역할 stressor에 의해 강도를 더하는 역할 긴장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 PDF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 for the Stress Management of Dual-Career Family

  • 현은민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1 no.4
    • /
    • pp.23-35
    • /
    • 1993
  • 현대사회에서 맞벌이부부 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맞벌이부부가족으로써 가족체계가 유지되고 발달됨에 따라 맞벌이부부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 방식을 밝히기 위해서는 가족간의 정서적, 관계적 상호작용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맞벌이부부 가족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가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촛점을 두었고 정서적 상호작용과정에 대해서는 중요시 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부부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하여 가족의 발달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두가지 이론―가족자원관리 이론과 Family FIRO모델의 통합을 제시하는데 있다. 가족자원관리 이론과 Family FIRO모델의 통합은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에 대해 상호보완적이 시각을 제시해 준다.

  • PDF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에서의 게임이론

  • Seo, Deok-Yeong;Jeong, Jae-Yun;Lee, Yong-H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7
    • /
    • pp.30-39
    • /
    • 2009
  • 게임이론은 경제현상을 분석 또는 예측하는 도구로서 사용되어왔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에 적용하는 의의와 방법을 소개한다. 게임이론은 이기적이기도 하고 이타적이기도 한 사람이 개입하는 시스템을 모델링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자원이 항상 제한적인 모바일 환경에서, 많은 자원을 요구하는 비디오 서비스를 제대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따라서 게임이론을 이용한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모델링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그간의 국내외 연구를 정리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Work-Family Role Strain in Dual-Earner Families : A Theoretical Model for Husbands (맞벌이 부부가족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연구: 남편에 대한 이론적 모델의 검증)

  • 김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3
    • /
    • pp.271-283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스트레스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두 역할을 병행하는 데서 기인하는 역할긴장이 매개변수인 가족자원과 대처방안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다단계 추출법으로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는 한인교포 중 맞벌이부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통해 남편과 아내의 자료를 표집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117명의 남편의 자료만을 결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론적 검증에 유용한 LISREL Ⅶ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처음에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검증에는 문제를 보였지만 PSI Matrix를 고정하고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와 가족자원의 경로를 첨가하여 수정된 모델은 자료에 의해 충분히 검증되었다. 그러나 남편의 이론적 모델은 가족스트레스 이론을 일반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일과 가정생활의 두 역할을 병행하는 데서 기인하는 남편의 역할긴장을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설명하는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의미와 제한점 등을 살펴본 후 미래연구가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프로스포츠 산업의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역할: 미국프로농구(NBA)와 한국프로농구(KBL) 감독의 실증연구 분석

  • Jeong, Tae-Seong;Lee, Sang-Beom;Lee, Sang-Hyeon;Kim, Pil-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227-236
    • /
    • 2022
  • 벤처기업 CEO의 본질적 역량과 역할은 조직의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에 따라 관리자로서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CEO 역량 수준이 조직이 내재하는 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CEO의 역량 수준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가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관한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을 바탕으로 프로스포츠 산업에서의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감독역할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스포츠 기업가정신(sport entrepreneurship) 연구 분야의 이론을 경영전략의 자원기반관점과 융합하여 벤처기업 CEO와 프로스포츠 감독의 역할이 조직구조와 성과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매우 흡사하며 조직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성과를 도출하는 측면에서 모두 기업가(entrepreneur)적 특성을 반드시 내재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스포츠팀에서의 관리자로서의 감독 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의 자원 효율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구성원 역량에 대한 조절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미국프로농구(NBA) 30개 구단과 한국프로농구(KBL) 10개 구단의 9개 시즌(2013~2014시즌 - 2021~2022시즌)의 감독과 팀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있어 프로세스 매크로 58 모형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미국프로농구과 한국프로농구 데이터 모두에서 (1) 프로농구팀의 자원 효율성은 감독의 역량과 승률 간의 정(+)의 관계를 매개하고, (2) 조직 구성원의 역량은 농구팀의 자원 효율성을 통한 감독 역량이 승률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p<.05)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조직의 성과측정이 가능한 프로스포츠 데이터를 활용하여 프로스포츠 산업에서 벤처기업의 CEO와 유사한 기업가적 역할을 수반해야 하는 감독 및 조직 구성원의 역량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한편 스포츠 애널리틱스(sport analytics) 분야와 경영학 연구를 융합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PDF

Time-Series Causality Analysis using VAR and Graph Theory: The Case of U.S. Soybean Markets (VAR와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시계열의 인과성 분석 -미국 대두 가격 사례분석-)

  • Park, Hojeong;Yun, Won-Cheo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2 no.4
    • /
    • pp.687-7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ime-series causality analysis by combining time-series technique with graph theory.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s can provide reasonable interpretation only when the contemporaneous variables stand in a well-defined causal order. We show that how graph theory can be applied to search for the causal structure In VAR analysis. Using Maryland crop cash prices and CBOT futures price data, we estimate a VAR model with directed acyclic graph analysis. This expands our understanding the degree of interconnectivity between the employed time-series variables.

  • PDF

어업자원 관리와 공공선택이론

  • 박성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81-282
    • /
    • 2000
  • 본고는 첫째 어업정책 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공익과 특정이익 사이의 상쇄현상을 보이기 위해 구체적 예를 제시하고, 대안적 집단선택 룰(rules)을 처방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정치선호 가중치의 범위는 헌법이 정하는 집단선택 룰에 의해 정해지며(Rausser and Freebain 1974) 이론적 분석틀의 주요 논점을 설명하기 위해 공유재(commons), 즉 어업자원의 비극을 예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TOC(Theory of Constraints) based Manufacturing system (TOC(Theory of Constraints)를 기반으로 한 최적생산시스템 연구)

  • 류인화;윤희성;김창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38-541
    • /
    • 2000
  • Goldratt박사에 의해 제창된 TOC(Theory of Constraints)는 제약조건을 찾아 개선시켜 없애고 시스템 심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제약이론이다. 생산공정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제약이란 없을 수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MRP나 PERT/CPM과 같은 무한 자원 스케줄링으로는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도출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제약공정의 자원능력이 유한하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는 제약이론으로 자원활용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OC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생산시스템인 JIT와 비교하여 아직 국내에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TOC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Types of Developing Resources Using the Social Networks within a Community : Applying Social Capital Perspective (지역사회관계망을 활용한 자원개발경험의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사회자본(social capital) 관점적용)

  • Hong, Hyun-Mee-R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4
    • /
    • pp.65-9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undamental knowledge on the experience for building resource system using the social networks within the community. This study used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 and Corbin(2004).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Korean social workers (general managers and assistant manag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who have developed resources by using the social networks or social relations for more than 3 years. In creating autonomy and sustainability of community, there are four types of social worker's efforts in building resource system within the community: 'restoring norms of reciprocity', 'developing citizen's capabilities', 'mobilizing resources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s', and 'utilizing external resource-networks'. These results are contribute to developing theory on social welfare resources using community network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