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원이론

검색결과 1,216건 처리시간 0.03초

이산시간 적정제어이론의 응용사례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Discrete Time Optimal Control Theory to Natural Resource Problems)

  • 김진형;이덕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1호
    • /
    • pp.157-175
    • /
    • 2003
  • 본 연구는 이산시간 적정제어이론을 사용하여 동태적 경제 문제의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형태의 극대원리를 분석하고 있다. 이산시간 적정제어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상태방정식이 차분방정식의 형태를 띠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극대원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상태방정식이 차분방정식이 아닌 일반방정식의 형태를 띠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극대원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극대원리와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극대원리와의 차이는 공동상태 변수의 운동법칙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Bellman의 최적원리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극대원리는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극대원리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극대원리임을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재공급모형인 TSM2000에 포함된 경제변수의 동태적 최적화를 구하는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극대원리가 경제 문제에 적용되는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

  • PDF

최대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한 학습 데이터 분류 (Classification Learning Data using Maximum Entropy Theory)

  • 김민우;김동현;이병준;김경태;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13-214
    • /
    • 2018
  • 빅 데이터 활용의 증가로 인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은 머신러닝의 주요 과제이다. 제한적인 자원을 가지고 이에 맞는 처리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단일 기기의 자원 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최대 엔트로피 이론을 적용시켜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대 엔트로피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최대 엔트로피 이론을 적용시키기 위한 간단한 사전 작업들의 방향 등에 대한 설명을 토대로 기술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문제점들과 향후 연구에 필요한 피드백을 갖는다.

  • PDF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김형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권4호
    • /
    • pp.47-75
    • /
    • 1999
  • 지식사회, 지식경제의 등장과 더불어 기업의 자원으로서 지식(knowledge)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마케팅 전략의 한 분야로서의 신제품 전략에서도 신제품 개발과정에 있어 기업(혹은 신제품 개발 팀)의 지식과 지식의 활용 능력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가 중요한 전략적 이슈(issue)가 된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시장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업내의 다양한 조직-특히 R&D, 생산, 마케팅-과의 지식공유·통합과정이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제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NPD)과정이며 구체화 과정에서 개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신제품 성과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많은 요인들을 '지식역량(knowledge competence)'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지식 역량과 신제품 경쟁우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제품 경쟁우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셋째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기업을 지식의 결집체로 인식하고 있는 지식거점관점(knowledge based perspective)과 이러한 지식자원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이론 그리고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분산된 인지이론(distributed cognition theory)을 활용한다.

  • PDF

전환기의 제도개혁이 조직변화와 마케팅 혁신에 미치는 영향:거시마케팅 관점에서의 잠정적 모형 (The Effect of Institutional Reforms on Organizational Change and Marketing Innovation:A Tentative Model in Macromarketing Perspective)

  • 여운승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2호
    • /
    • pp.26-54
    • /
    • 2002
  • 본고에서는 신(新)성장이론과 자원우위 내지 동태적 역량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환기의 경제자유화 과정이 경쟁의 기반을 어떻게 재규정하고 전략 또는 조직의 변화를 어떠한 방식으로 유발시키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한 변화는 기존의 조직유형과 경제자유화 이후에 탄생된 새로운 기업들로 기술되었다. 본고에서는 동태적 경쟁과 마케팅 혁신의 추동력에 관한 몇 가지 명제를 도출하였다. 그러한 명제들은 개발도상국은 물론 우리 나라와 같은 신흥공업국에 이르기까지 지역과 소득수준을 초월하여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적용될 수 있는 시장지향적 제도개혁과 마케팅 행동상의 변화간의 동태적 상호작용으로 야기되는 주요 정칙성에 초점을 두었다. 제시된 명제들은 제도개혁이 전환기의 경제적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신(新)성장이론의 관점과 제도개혁에 대한 기업차원의 대응과 이에 따론 제도적 변화간의 관계를 설명하려는 자원우위 내지 동태적 역량에 관한 이론과 실증적 연구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 PDF

가치창조를 위한 기업자원관리: 전사적자원관리 구현을 기반으로 (Managing firm Resources to Create Value: Based on ERP Implementation)

  • 최병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1-132
    • /
    • 2008
  •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의 효과적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그간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효과적인 전사적자원관리의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전체적인 관점(holistic perspective)에서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가치 창출을 위한 자원준거이론(resource based theory), 전략형성 프레임웍(strategy formulation framework), 동적자원관리(dynamic resource management) 모형을 기반을 어떻게 자원의 번들링(bundling) 프로세스와 역량의 레버리지(leverage) 프로세스가 전사적자원관리의 효과적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호주의 항공산업에 속한 기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효과적 역량 구축을 위한 자원의 번들링 프로세스와 효과적 전사적자원관리의 구축을 위한 역량의 레버리지 프로세스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원간 그리고 역량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명시함으로써 효과적 전사적 자원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산 실시간 시스템에서의 자원 제어 기법 (A Resource Control Technique in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 이은미;허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8권3호
    • /
    • pp.161-17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실시간 시스템에서 공유되는 자원들에 대한 실시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태스크가 이들 자원을 요청했을 때, 봉쇄시간을 예측하는 자원 관리자를 제안한다. 분산 환경에서, 우리는 봉쇄의 주요 원인인 우선순위 역전 문제와 함께 원격 봉쇄의 문제점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우선 순위 역전 문제는 동기 프로토콜로 잘 알려진 Priority Ceiling Protocols(PCP)를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또한, 원격 봉쇄의 문제에 대해서는, 전역자원을 다른 지역자원들 보다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원격 태스크들로 인한 봉쇄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의 자원 관리자는 할당된 자원과 태스크들의 관계 목록을 이용하여, 요청된 자원의 상태에 따른 봉쇄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 태스크가 자원 수행을 마칠 때까지 소요되는 봉쇄시간의 상한값을 결정한다. 또한, 이러한 상한값의 타당성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연구성과(outcome) 관점에서 지질지원 분야 연구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 적용 (A Study on Application Methods to Economic Impact Analysis on R&D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in Input-Output-Outcome Perspective)

  • 안은영;김성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787-80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연구개발이라기 보다는 민간이 담당하기 어려운 분야인 기초 원천, 공공복지 및 공유성 기술(Generic Technology)의 특성을 가지는 지질자원분야의 특성에 주목하여, 공공연구개발 및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을 살펴보고 연구성과(outcome)의 관점에서 지질자원 분야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적용 방법론 을 제안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으로 먼저 기존에 공공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비용편익분석 방법론을 살펴보고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 이론으로 전통적인 경제 이론에 기반한 방법과 가치평가이론을 살펴보았다. 지질자원 분야를 포함한 공공연구개발의 경제성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계량화 할 해당 연구개발의 성과(outcome)를 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성과 흐름지도(Input-Output-Outcome Roadmap)의 작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의 성과물인 이론 및 방법론의 가치직접 산정하는 방법과 실행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의 적용 방법론의 고려가 필요하다. 실행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은 연구개발의 결과 사업이 시행된다는 가정 하에 이후 실시되는 사업으로 발생하는 편익의 일정분으로 연구개발의 편익을 산정하는 방법과 연구개발의 실시 유무와 관계없이 이후 개발사업이 진행된다는 가정하에 사업 시 발생하는 비용의 저감분 및 편익의 증가분으로 연구개발의 편익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People Inside - 정승헌 한국생명자원연구원장

  • 김동진
    • 월간양계
    • /
    • 제54권12호
    • /
    • pp.114-118
    • /
    • 2022
  • 본고는 축산업의 현장과 학술적 이론을 겸비하고 오랜 기간 건국대학교에서 수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고 축산업계를 위해 헌신했으며, 퇴임 후 현재는 '한국생명환경자원연구원'에서 연구와 컨설팅을 통해 축산업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정승헌 원장을 만나 최근의 축산업과 양계업 현황 및 발전 방안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PDF

노년기 자원봉사 시간과 심리사회적 안녕감의 관계 - 비선형성의 탐색 - (A Study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Time Spending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 Old Life)

  • 정진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137-158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선택이론을 바탕으로 노년기 자원봉사시간과 심리사회적 안녕감의 비선형성을 탐색하고, 노인의 성별, 고령화정도 및 건강상태에 따라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분석한다. 분석은 2009년도 전국노인자원봉사실태조사 자료 645사례에 대한 2차 분석이며, 단순선도표 및 다중선도표를 활용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자원봉사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0시간)의 노인은 낮은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보이며, 보통수준에서 자원봉사에 참여한 노인은 높은 수준의 안녕감을, 이후 높은 강도의 참여시간부터는 다시 낮아지는 U자형의 비선형적 관계를 보인다. 남성노인, 75세이상 고령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이 보다 낮은 시간대에서 긍정적혜택을 경험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자원봉사 참여가 비참여에 비해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나, 활동은 년 100-200시간 미만의 보통수준으로, 700시간 이상을 넘지 않아야 함을 발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