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식물의 유용도

Search Result 3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lora changes on Pasture in forest composition and analysis of Useful Plant Resources (임간초지 조성에 관한 식물상 변화와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

  • Han, Gyu-Il;Kim, Se-Chang;Son, Yong-Hwan;Park, Seong-Ho;Seo, Han-Na;Park, Wan-Ge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60-60
    • /
    • 2019
  • 지속가능한 개발이 주목받고 남북 평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임업분야와 농업 축산분야가 결합된 혼농임업(Agroforestry)이 주목받고 있다. 혼농임업(Agroforestry)은 식량, 과실, 풀사료, 땔감, 목재 등을 생산하고 토양보전을 실천하여 지속농업을 가능케 하는 복합영농의 한 형태이며, 북한 산지의 경우 황폐화된 산지가 많아 경제성과 산림녹화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하늘목장을 시범목장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조사지의 총 면적은 2.4ha로 백두대간과 오대산국립공원이 인접한 지역으로 다양한 식물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다. 그러므로 외래종침입에 따른 생태적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지대를 설정하고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지내의 대표 수종으로 선정된 모수만 남기고 벌채를 실시하여 변화양상을 모니터링 하였다. 2014년~2017년 총 3개년 계절별 조사를 통해 임간초지의 식물상 정보를 파악하였고 임간초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2과 250속 323종 4아종 43변종 6품종으로 총 37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E)이 160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약용(M) 141분류군, 관상용(O) 45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용도미상(U) 식물도 73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성된 초지 내에서 조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종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미비한 임간초지 식생의 DB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자원식물의 연구동향과 실용화 현황

  • Park, Ho-Gi;Yang, Min-Ho;Lee,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
    • /
    • 2012
  • 자원식물은 인간의 천연물에 대한 관심 고조와 미래 생물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재인식되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오래전부터 유용한 식물자원 보존과 이를 이용한 산업화에 정부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해 많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뚜렷한 4계절과 다양한 토양특성으로 우수한 기능성식물자원이 많으며 이들 식물자원의 이용과 효능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자원식물에 대한 보존과 이용이 과학화 체계화되지 못하여 세계적인 품종이나 제품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종자원에 대한 관심과 꾸준한 연구개발로 농촌진흥청 보존 농업유전자원은 세계 6위 수준('10년말 291천점) 이며, 멀티기능 유용물질 함유 작물 개발 및 실용화 기술수준도 기술력 지수 세계7위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원식물로부터 유용물질을 이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성식품, 한방화장품, 천연 색소 및 향료 등의 제품개발은 미흡하여 앞으로 유망 자원식물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고부가 산업 육성을 위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원식물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은 고부가가치 제품과 산업재산권 확보가 가능하므로 수입 대체와 기술 및 제품수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신약후보 도출 및 임상개발 과제의 수요를 반영한 후 단계별 대규모 신약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건강기능 식품 개발은 고령사회 진입과 노령인구 증가로 노화억제 및 고령자 건강유지용 식품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어 약용식물을 소재로 개인 맞춤형 나노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나라 화장품분야의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의 62% 수준이나 화장품 소재의 자원식물 발굴과 나노기술 접목을 통한 효능의 극대화는 소비자의 웰빙 트랜드와 외국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에 맞물려 국내 한방화장품의 세계화가 가능한 품목 중 하나이다. 식용 및 염색용 색소도 자원식물이 풍부하고 천연색소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어 자원식물 중 경제성과 기술적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의 식물자원, 전통지식, 과학기술이 통합되어 효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천연물신약,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등이 개발된다면 세계시장을 선도할 날도 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 박완근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0 no.1
    • /
    • pp.64-85
    • /
    • 1997
  •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Mt. Mandukbong(1,035.3 m; $128^{\circ}$54'24'E, $37^{\circ}$36'53'N). This work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of 1996.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97 families, 298 genera, 406 species, 70 varieties and 8 formae, Totaling 484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2.6%)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forest were comparatively well conservated by Pteridophyta calculation(Pte-Q), 1.1 Useful of resources plants were Edible source(46.7%), Pasture source(37.2%), Medicinal source(35.5%), Ornamental source(12.1%)and Timber source(5.9%) respectively. The forest vege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s, 1 suballiances and 4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Typical community B. Quercus variabl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llicarpo - 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loia community

  • PDF

Flora and Vegetation of Resources Plants in the Mt. Hansuk(Kangwon-do) (한석산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 백원기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9 no.2
    • /
    • pp.121-142
    • /
    • 1996
  •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Mt. Hansuk(1,119.1m; $128^{\circ}15';31'E,\;38^{\circ}02'55'N$). This work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1995.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85 families, 229 genera, 370 species, 72 varieties and 10 formae, totaling 452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2.6%)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forest were comparatively well conserved by Pteridophyta calculation(Pte-Q), 1.34 Useful resources plants were edible source(43.8%), pasture source(38.1%), medicinal source(33.2%), ornamental source(11.9%) and timber source(4.9%) respectively. The forest vege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s and 2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Lespedeza maximowiczii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 PD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Forest Life Resources in Jeju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

  • Eun-Young Y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24-24
    • /
    • 2022
  • 제주는 면적에 비해 생물종다양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한반도 자생 관속식물은 4,500여종으로 이 중 50%에 달하는 2,200종이 제주에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30년간 80여종의 미기록 식물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선태식물과 산림버섯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지리적 위치, 기후적 조건, 한라산으로 인한 수직 식생 분포, 특이산림생태계로 인한 입지 환경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 동시에 제주는 희귀 및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보고이다. 제주에서 수집하여 종의 실체를 확인한 2,167종을 대상으로 희귀성과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 제주고사리삼, 구상나무, 갯취 등의 희귀·특산 식물이 400종, 흑오미자, 제주백서향, 황칠나무 등의 유용식물이 781종에 달하였다. 또한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변화의 요충지로 전망되고 있다. 한라산의 구상나무가 쇠퇴하는 등 이상 징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아열대 최북한계지로서 한반도 생물지리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 발효와 기후위기로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주는 우선 연구 대상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절멸 위기에 처한 종의 보존과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수집 및 탐색-빅데이터 기반 구축-증식기술 개발-현지내·외보존원 조성 및 관리 기술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20년 이상 수행해 왔다. 여기에서는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가치와 함께 보존과 활용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산림 바이오 소재 산업화와 관련된 학계와 임업인 및 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in Jeolla-do (전라도 일대의 생약자원식물 분포현황)

  • Dong Hyuk Lee;Tae Im Heo;Byeong Joo Park;Jun Woo Lee;Ji Dong Kim;Byeong Kwon Lee;Jun Gi By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7-17
    • /
    • 2020
  •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각 국가들은 자국내 유용자원식물의 주권확립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기원종 확립과 진위 감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도 지역 내 생약 자원식물의 분포현황 및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8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계절별로 해안가, 산지, 농경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라도 내에서 확인되 생약자원식물은 106과 243속 405종 31변종 4품종 총 440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한반도 관속식물 4,499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9.8%에 해당된다. 본 조사지역 내에서 확인된 생약자원 식물 중, 특산식물로는 매미꽃, 할미밀망,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식물로는 CR등급의 노랑붓꽃을 포함하여, VU등급의 약난초, 흑삼릉 등 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생약자원식물의 표본, 화상자료, 종자, 생약부위 등은 추후 우리나라의 생약자원에 대한 관리DB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A Floristic Study of the Economic Plants in Mt. Gangcheon(Sunchang-gun Jeollabuk- do) (강천산(전북.순창)의 자원식물상 연구)

  • Kim, Jung-Hyun;Yoon, Chang-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0 no.5
    • /
    • pp.409-423
    • /
    • 2007
  • The flora and the useful economic plants of Mt. Gangcheon was investigated from March to November, 2005.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ed of total 379 taxa; 6 forms, 45 varieties, 328 species, 253 genera, 97 families. It corresponds to 9.31% of totally 4,071 taxa distributed in Korea. The useful plants of this area were 315 taxa. It corresponds to 83.1% of collected plants in this area. Among the useful plants, there were 161 taxa of edible source, 121 taxa of pastural source, 147 taxa of medicinal source, 82 taxa of ornamental source, 11 taxa of timber source, 14 taxa of industrial source.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of 16 taxa - 14 families, 16 genera, 12 species, 3 varieties, 1 forma. It corresponded to 4.2% of collected materials. The floristic specialized species of $III{\sim}V$ grades were 9 taxa, it correspond to 2.3% of collected material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5 taxa, it corresponded to 6.7% of 225 taxa distribut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