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수집

Search Result 1,69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mparative Agricultural Traits of Soybean Germplasm from East Asia

  • Yu-Mi Choi;Hyemyeong Yoon;Sukyeung Lee;Myoung-Jae Shin;Myung-Chul Lee;Joungyun Yi;On sook Hur;Na young Ro;Kebede Taye Dest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1-51
    • /
    • 2020
  • 콩의 원산지는 만주를 중심으로한 동북아시아를 원산지로 추정하고 있으며, 동아시아인 한국, 중국, 일본의 주요 식재료로 다양하게 이용되어왔다. 콩은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원으로서 뿐 아니라 최근에는 콩의 생리활성 물질이 항암효과, 골다공증, 신장질환과 같은 질병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활용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전자원센터에 보존 중인 콩 수집단에서 농업형질, 기초정보 등을 토대로 핵심집단을 작성하고 그 중 한국, 중국, 일본 수집단 각 425, 93, 42자원의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100립중, 주당수량과 같은 양적형질을 비교하였다. 개화일수와 생육일수는 중국수집 자원에서 평균38일, 107일로 가장 빠르며, 한국수집 자원은 평균 53일, 127일로 가장 늦었다. 협당립수는 중국수집 자원에서 협당 평균3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과 일본 수집자원은 각 2.3과 2.4립으로 유사하였다. 주당협수는 한국 수집자원에서 주당 평균 327.4개로 가장 많고 일본이 248.0개 중국이 224.4순으로 조사되었다. 100립중은 일본 수집 자원이 평균 33.6g으로 대립이 많고 한국 26.5g , 중국 21.1g 이었다. 주당수량은 한국 수집자원이 평균 119.8g, 일본 84.2g, 중국 76.8g순이었다. 이들 5개 양적형질을 토대로 군집분석한 결과 한국 자원은 대다수가 C3 그룹에 속하고, C1 그룹에 일부가 속하였으며, 일본 자원은 C3 그룹과 C2 그룹에, 중국 자원은 C2 그룹에 속하여 한국과 일본자원이 유사하고 중국자원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조사 결과는 자원의 수집, 도입시 다양성 확보를 위한 기초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Full Bloom Stage of Prunus mume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 Plant Genetic Resource of ex situ Conservation in Yesan -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유전자원의 만개기 특성 - 예산지역 이식의 현지외보전 식물자원 -)

  • Kang, Hee Kyoung;Song, Hong S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4-34
    • /
    • 2018
  • 본 연구는 예산지역에서 현지외보전을 하는 매실나무(220여점) 및 살구나무(9점) 유전자원에 대한 개화 특성평가를 위하여 개화기를 지난 만개기를 연차별로 조사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수집한 매실나무의 만개기는 이식 초기의 2012년에 4월 중순이었으나 이식 3년 후부터 4월 초순으로 약간 앞당겨졌다. 만개기는 2012년의 경우 모두 4월 11일 이후이었으나 2015년 이후는 4월 1~10일까지 70% 이상이었다. 연도별 보면 2015년과 2016년은 4월 1~5일에 가장 많이 만개하였고, 2017년과 2018년은 4월 6~10일에 가장 많이 만개하였다. 또한 일본에서 수집한 매실나무의 만개기도 대한민국 수집의 자원처럼 4월 초순이 대부분이었는데, 연도별로는 2015년, 2016년 및 2017년의 경우 4월 1~5일에 가장 많이 만개하였고, 2018년은 4월 6~10일에 가장 많이 만개하였다. 그러나 일본 수집의 매실나무 만개기는 3월말에서 4월 초순에 집중되어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까지의 범위를 나타낸 대한민국 수집 자원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예산지역 현지외보전 살구나무(대한민국 수집)의 만개기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모두 4월 1일부터 10일까지이었으며, 3월 및 4월 중순 이후에 만개한 꽃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Status of Pepper Organic Farming and Collection of Pepper Germplasm

  • Ko, Ho-Cheol;Kim, Chang-Yung;Gwag, Jae-Gyun;Lee, Gi-An;Baek, Hyung-Jin;Yeoung, Young-R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5-295
    • /
    • 2009
  • 고추 유기농재배에 적합한 고추 유전자원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고추 유기농가에 대한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고 국내외 고추 재래종 유전자원을 수집하였다. 고추 161개의 유기농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총 재배면적은 64ha 였고 이중 노지재배 38ha, 비닐하우스재배 26ha 였다. 유기농 재배경력은 10년 이하가 124농가(76.9%)로 가장 많았고 11~15년, 16~20년, 20년 이상이 각각 19농가(11.8%), 12농가(7.5%), 6농가(3.8%)였다. 유기농 재배에 사용하는 고추 종자는 157농가(97.6%)가 종묘회사에서 시판되는 F1품종을 이용하고 있었고 종묘회사에서 육성되는 품종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유기종자의 자가채종이 어렵고(43.4%) 품질이 낮으며(34.6%) 병에 약해서 (9.9%) 기타(12.1%) 순이었다. 품종 선택시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품질(51농가, 31.7%)과 수량 (47농가, 28.2)이 병해 저항성보다(45농가, 28.0%) 높은 수준을 차지하였다. 2008년과 2009년 2년간 국내 재래종을 탐색?수집하여 국내에서 수비초 등 9자원을 수집하였고 우즈베키스탄에서 재래종 및 고정종 자원 19자원을 수집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재래종 자원들은 현재 몇 농가에서만 재배가 되고 있으며 이들 자원들은 국내 환경에 오랫동안 적응되어 유기농 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 되었고 우즈벡키스탄에서 수집된 자원들은 단고추가 4자원, 매운고추가 15자원으로 이 중 단고추 1자원은 과중이 200g 이상인 대과 자원이었고 이들 자원 또한 고정종으로 유기농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Web Crawler for Archiving Web Resources (웹 자원 아카이빙을 위한 웹 크롤러 연구 개발)

  • Kim, Kwang-Young;Lee, Won-Goo;Lee, Min-Ho;Yoon, Hwa-Mook;Shin, S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9
    • /
    • pp.9-16
    • /
    • 2011
  • There are no way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for web resources after the service is terminated and is gone. However, these Web resources, regardless of the importance of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d or have been destroyed. Therefore, to collect and preserve Web resources Web archive is being emphasized. Web resources collected periodically in order to develop Web archiving crawlers only was required. In this study, from the collection of Web resources to be used for archiving existing web crawlers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We have developed web archiving systems for the best collection of web resources.

Genetic Resources Collection of Crop Landrace at Kanghwa, Ulreung and Jeju Islands in Korea (한반도 강화도, 울릉도 및 제주도의 작물토종 유전자원 수집)

  • Ahn, Wan-Sik;Park, Mun-Woong;Kim, Suk-Ki;Han, Young-Mi;Ahn, Cheol-Hwan;KimHwang, Kyeong-San;Yoon, Mun-Sup;Hyun, Do-Yoon;Baek, Hyung-Ji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4 no.5
    • /
    • pp.650-658
    • /
    • 2011
  • The 460 collections of 60 crops were collected during 34 days from 28 November to 31 December 2008. The 295 accessions of 43 crops, 49 accessions of 24 crops and 116 accessions of 42 crops were collected in Kangwha, Ulreung and Jeju island in this exploration. Among the total collections, the portion of the food crops, vegetable or ornamental crops and industrial crops were 54.8%, 25.4% and 19.8%, respectively. The farmers conserved 48.4% to 53.6% of the landrace crops for 31 to 50 years. Furthermore, 13.1% to 18.7 % of the collections were cultivated over generation to generation. Most of the crop seeds were conserved by woman farmers aged from 61 to 80 years old. The 82.9% of the seed distributors were also woman farmers, whereas 17.1% was distributed by man farmers.

A Study on Web Archiving System Development (웹 아카이빙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KwangYoung;Lee, SeokHyoung;Choie, HoSeop;Han, HeeJun;KIM, Ji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383-1385
    • /
    • 2011
  • 오늘날 디지털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반면 급속한 폐기와 망실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웹 자원은 아직 수집, 보존, 활용에 대한 방안이 없어서 일정 기간의 서비스가 끝나면 사라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웹 자원을 수집하고 보존하기위한 웹 아카이빙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웹 자원들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웹 자원을 항구적인 보존과 접근을 위한 웹 아카이빙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자원의 아카이빙 수집, 보존, 항구적인 접근을 위한 웹 아카이빙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Leaf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llected Perilla Related Genus and Species Germplasm (들깨류사 종.속 수집 유전자원의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

  • 곽태순;이봉호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3
    • /
    • pp.328-333
    • /
    • 1995
  • Leaf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collected perilla related genus and species germplasms such a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Decaisne, Perilla frutescens var. for viridis Makino, Mosla punctulata Nakai, Mosla japonica Maxim, Mosla dianthera Maxim were analysized. The number of leaves per tiller and leaf size of perilla germplasms were more and bigger than those of mosla germplasms. Aroma degree of mosla germplasms was higher than aroma degree of perilla germplasms. Mosla germplasms could be utilized in the breeding for high aroma perilla lines. Otherwise, the softness of perilla germplasms was higher than that of mosla germplasms. In case of oil and protein contents, perilla germplasms was higher than mosla germplasms, however compositions ratio of fatty acid, especially linolenic acid of mosla germplasms was higher than that of perilla germplasms, therefore mosla germplasms could be utilized as breeding materials with high linolenic acid for industrial oil. The linolenic acid with excellent quality and unsaturated fatty aci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il content, protein content and saturated fatty acids.

  • PDF

A Collecting and Record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 the Case of Asian Cotton Cultural Resources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과 기록 : 아시아 목화문화자원을 중심으로)

  • Noh, Shi-Hu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8
    • /
    • pp.123-153
    • /
    • 2011
  • In Asia, when cotton and cotton fabrics cultivated and produced in India of Southern Asia had spread to the whole Asia area by land and by sea, the Cotton Road and cotton fabric cultural area could be formed. In Korea, the traditional cotton (Gossypium arboreum) brought by Moon Ik-Jeom in 1363 was cultivated and then the Upland cotton (Gossypium hirsutum) brought via Japan could be produced from 1904. Especially, Gwangju/Jeonnam was the most active place in producing traditional cotton, and eventually became the center of cotton cultivation and fabric production after bringing in Upland cotton. In order to collect and record the cotton cultural resources in the broad area, the Cultural Resources Set, classified its component parts should be made first and then the collecting objects should be investigated. The collecting areas are selected based on the spreading paths and the regional significance of cotton. Since its difficulty of collecting the relevant resources from all of the places in Asia, it should be planned to share the resources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privat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The relevant experts from the various fields should participate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which are necessary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Considering the collecting limitation of genuine relics, the digital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n offered through a web site that everyone can use them freely by remote. It also needs to plan to display on and off-line for users to perceive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interconnections of the resources with ease.

Comparative Agricultural Traits of Chickpea Germplasm from Tropical and Subtropical Area

  • Yu-Mi Choi;Hyemyeong Yoon;Sukyeung Lee;Myoung-Jae Shin;Myung-Chul Lee;Joungyun Yi;On sook Hur;Na young Ro;Kebede Taye Dest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2-52
    • /
    • 2020
  • 병아리콩은 두류 중 콩, 땅콩, 강낭콩, 완두 다음으로 중요한 작물로 chickpea, garbanzo bean 이라고도 불리며, 원산지는 터키 동남부와 시리아로 알려져 있다. 병아리콩은 전세계 50개국 이상에서 재배되며, 인도에서 전세계 생산량의 66%가 재배되고 있다. 병아리콩은 Desi (microsperma)와 Kabuli (macrosperma)의 두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Desi형은 꽃색이 분홍색, 종피가 두껍고 종피색이 유색이 특징, Kabuli형은 백색꽃에, 백색이나 미색 종피 양머리 종자형태를 보인다. Desi 형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Kabuli 형은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남미와 유럽 등지에서 주로 재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 미얀마, 우즈벡, 조지아, 불가리아, 우크라이나 등 6개국에서 수집한 자원의 농업형질을 평가하고 비교하여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꽃색의 분포는 분홍색이 백색보다 2배 많았으며 조지아, 인도와 미얀마 수집 자원은 80% 이상이 분홍색,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백색이 최소 75%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소엽의 크기는 종자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도와 미얀마, 불가리아에서는 소립종, 조지아, 우크라이나에서는 중립종의 비율이 높았다. 개화기는 6월 상중순에 집중되었으며 인도와 미얀마 수집자원의 개화기가 6월 상순 이전으로 빠르고 우크라이나 자원이 6월 하순과 7월 상순으로 늦은 경향을 보였다. 올해는 6월 중순부터 지속된 강우로 개화 후 정상적인 결실이 어려웠으나 6월 하순부터 성숙하기 시작하였고, 인도와 미얀마 수집자원은 주로 7월 상순에 나머지 수집 국가들은 7월 하순 이후에 성숙하였다. 올해의 기상이변으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차년도에 재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나 올해의 양적, 질적 형질의 경향치를 이용하여 수집국간의 농업형질을 비교하고, 식품소재의 다양화 다변화 추세에 맞추어 도입작물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PDF

Genetic Variation of Rhododendron micranthum Based on AFLP and RAPD Analysis (AFLP와 RAPD 방법을 이용한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수집종의 유전적 변이 분석)

  • 김남수;김진홍;이주경;김남희;이명숙;이재선;박철호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7 no.3
    • /
    • pp.227-238
    • /
    • 2004
  • Rhododendron micranthum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In order to develop the strategy of gene diversity conservatio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genetic diversity,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 in the native populations of Rh. micranthum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AFLP and RAPD analysis. Analysis of 56 accessions derived from 6 populations of Rh. micranthum with four AFLP primer combinations and ten RAPD primers detected a total of 33 polymorphic AFLP fragments and 15 polymorphic RAPD fragments, respectively. By UPGMA cluster analysis with molecular markers, the 56 accessions were grouped into three major clusters at 73.3% genetic similarity; group I consists of most accessions of populations I, II, IV, V and Ⅵ, group II consists of 7 accessions of population III, and group III consists of only two accessions of population IV. The geographic locations of the most accessions derived from six populations were not related to their position in the UPGMA cluster analysis, except for several accessions of populations III and IV. The genetic similarity of among six populations measured by AFLP and RAPD markers ranged from 0.66 to 0.99. Among them, population Ⅵ showed the highest GS with means of 0.87, while population I showed the lowest GS with means of 0.78. This result will be useful for designing the strategy of conservation in the native populations of Rh. micranth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