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외선 조사

검색결과 948건 처리시간 0.027초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도네시아 주요 조림수종 목재의 재색변화 (Color Change of Major Wood Species Planted in Indonesia by Ultraviolet Radiation)

  • 박세휘;장재혁;;;황원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9-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산 주요 조림 4수종 목재의 기후열화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재색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촉진내후시험 및 야외노출 등의 세 가지 조건에서 실험하였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재색변화($L^*a^*b^*$)와 색변화량(${\Delta}E*ab$)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공시수종 목재 모두 자외선 조사에 의해 목재의 색이 뚜렷하게 변화되었다. 자외선 노출조건에서 명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4수종 목재 모두 적색화 및 황색화가 진행되었다. 촉진내후시험 조건에서 공시목재 모두 백색화가 진행되었고, 녹색화 및 청색화가 진행되었다. 야외폭로 조건에서 Albizia재와 Gmelina재는 백색도가 감소하였고, Mangium재와 Mindi재는 백색도가 오히려 상승하였으며, 4수종 모두 녹색화 및 청색화가 진행되었다. 색변화량은 자외선노출 조건에서 Albizia재와 Gmelina재가 컸고 Mangium재와 Mindi재는 다소 작았다. 또한, 목재의 색변화는 자외선과 더불어 수분의 존재상태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는 목재의 색상을 뚜렷하게 하여 목재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자외선-B에의한 Hairless mouse의 보호기능과 표면구조의 변화 영향 (UVB-INDUCED CHANGES OF BARRIERFUNCTION AND MORPHOLOGY OF THE HAIRLESS MOUSE SKIN)

  • 김진준;박문억;강세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98
    • /
    • 1992
  • Hairless mouse에 자외선-B를 일회 조사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보호기능과 표면구조변화의 정도를 TEWL과 주름살밀도로 측정하였다. 자외선-B의 조사 량은 0.5, 1과 3 MED 였으며, 측정 및 관찰은 조사전과 조사 후 1, 3, 5, 7 및 14일에 수행하였다. TEWL은 Evaporimiter로, 주름살밀도는 silicone replica와 image-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전과 0.5MED 그룹들의 TEWL값은 변화가 없었으나, 1과 3MED그룹들의 TEWL값은 현저한 변화를 보여 3일째에 극대 값을 보였고,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4일째에는 거의 정상 값에 도달하였다. 반면 주름살밀도는 자외선-B의 조사량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여 모든 조사 그룹에서 3-5일째까지 감소한 후 서서히 증가하였다. 결과로부터, 1) 자외선 조사 후 시간에 따른 TEWL과 주름살밀도의 최대, 소 값은 3일째에 나타났으며, 2) 주름살밀도의 회복정도가 조사량에 상관없이 시간에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보였으며, 3) 주름살밀도측정만이 Sub-erythemal 손상의 정도차를 유의하게 보여주었다.

  • PDF

원형질체 분리에 의한 영지버섯균주의 육종소재개발 (Development of breeding materials based on protoplast isolation in Ganoderma strains)

  • 김경수;공원식;최선규;유창현;고미석;서건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7
    • /
    • 2004
  • 약용버섯인 영지버섯의 단핵균주 육성 및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육종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원형질체를 분리하여 neohaplont를 육성하였으며, 원형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영양요구성 균주를 유발하였다. 영지의 2핵 균주로부터 원형질체를 분리, 재생하여 선발된 neohaplont의 선발율은 ASI 7091이 11.9%, ASI 7094는 전혀 선발을 하지 못하였으며 균주간 평균 선발율은 5.24%였다. 영지 단핵균주의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300초에서는 ASI 7074는 1.9%, ASI 7091은 0.1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ASI 7100의 경우 모두 사멸하였다. 자외선을 10초에서 300초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총 1,536 colony를 얻어 영양요구주를 선발한 결과 ASI 7091 균주는 원형질체에 100초 처리한 colony에서 Nicotinic acid, PABA 요구주와 Riboflavin 요구주를 선발하였으며, 7100 균주에서는 60초의 자외선 처리에서 특성이 확인되지 않은 2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 PDF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자외선차단지수(SPF)와 자외선A차단등급(PA)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PA) in Sunscreen)

  • 연제영;서정민;배준태;이청희;이상길;표형배;홍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2-4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에멀젼의 종류, 제품의 점도, 증점제의 종류 그리고 광안정제 등이 자외선 차단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높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높게 측정되었으며(Butyloctyl salicylate: SPF 44.10, PA 7.93), 반대로 오일의 극성도가 낮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낮게 측정되었다(Dimethicone: SPF 16.40, PA 5.57). 에멀젼의 종류는 O/W 에멀젼보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외상에 존재하는 W/O 에멀젼에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제품의 점도는 높아질수록 자외선 차단 효율이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점제의 종류 및 유화입자 크기는 자외선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광안정제의 함유 여부도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외선 차단제의 추가적인 증량이 없어도 자외선 차단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 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Ginsenosdie F1과 EGCG의 상승작용에 의한 자외선조사에 의한 세포 사멸 방지 (Combining Ginsenoside F1 with (-)-Epigallocatechin Gallate Synergistically Protects Human HaCaT Keratinocytes from Ultraviolet B-Induced Apoptosis)

  • Tae Ryong, Lee;Si Young, Cho;Eun Hee, Lee;Myeong Hoon, Yeom;Ih-Seo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3-261
    • /
    • 2004
  • 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하여 손상 받기 쉽다 그러한 외부적 자극 중 자외선은 피부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손꼽힌다. 자외선 중 특히 280-320 nm의 파장을 갖는 UVB (ultraviolet-B)는 피부노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피부화상이나 피부암을 유발한다. 고설량의 자외선에 노출된 세포는 복구할 수 없는 심각한 DNA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 경우 세포사멸(apoptosis) 현상은 이러한 세포들의 죽음을 유도하여 이들이 종양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세포손상 정도에 따라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거나 막는 것이 암 발생을 억제하면서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로 알려진 것이 Bcl-2이다. Bcl-2는 피부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그 발현이 급격히 감소되며 이를 통해 피부세포가 사멸한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시에 Bcl-2의 발현감소를 막을 수 있다면 피부세포의 사멸을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여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Fl(20-O-$\beta$-D-글루코피라노실-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과 녹차의 주요 효능 성분인 EGE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자외선조사에 의한 피부세포사멸을 억제하여 그 손상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즉, 진세노사이드 Fl과 EGCG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에는 효과가 없는 낮은 농도의 두 화합물을 동시에 처리하게 되면, 상승작용을 통해 자외선 조사시 유발되는 Bcl-2의 발현 감소 및 그의 전사인자인 Brn-3a의 발현 감소를 억제함과 동시에, Rb 단백질의 탈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멸을 방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낮은 농도의 진세노사이드 Fl과 EGCG를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자외선 노출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단가가 높은 두 화합물을 낮은 농도(단독 사용시 각각 2.5배, 5배 농도 필요)로 사용함으로써 원료비를 낮추어 고기능성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외선 차단제 유형에 따른 사용 인식 요인과 재구매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unscreen Use Patterns and Awareness by Type on Product Satisfaction)

  • 이나영;유선희;리순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63-371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여성 34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 유형, 사용 실태에 따른 사용인식이 제품 사용만족도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사용인식을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내 활동 빈도가 야외활동 보다 높게 나타났고 피부톤 보정을 위해 단순 및 복합 자외선 차단제를 둘 다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순 자외선 차단제 중 선크림을, 복합 자외선 차단제 중 에어쿠션을 많이 사용하였다. 제품 사용감, 자외선 차단 지수가 구매의 중요한 요인이었고 제품 사용만족도 및 재구매 의사가 높게 나타났지만 30%가 부작용을 경험하였다.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이 복합 자외선 차단 제품보다 안전성, 유효성, 편리성, 사용성, 만족도, 재구매에 대한 인식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제품 사용인식 하위요인 중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 순으로 만족도와 재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제품 사용 시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편리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추출물 식이공급이 무모생쥐의 표피보습 개선 및 유리아미노산 생성 관련 대사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hydration improvement and metabolism of free amino acid generation in epidermis of UV-irradiated hairless mice)

  • 최수민;신지혜;이보민;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69-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병행하여 녹차 추출물의 식이공급을 10주간 공급한 무모생쥐 (UV+1%GTE군)의 표피 보습과 filaggrin 의 대사물질 및 관련 효소인 PAD3의 발현 및 함량 변화를 정상대조군 (UV-군) 및 자외선 조사군 (UV+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UV+군의 피부 보습은 UV-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UV+1%GTE군 의 피부 보습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UV-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UV+군의 profilaggrin 함량은 UV-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ilaggrin의 함량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 에서 profilaggrin은 UV- 및 UV+에비해 현저히 높았고, filaggrin은 UV-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UV+군의 PAD3 효소 발현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UV-군에 비해 높았다. 자연보습인자의 주요 아미노산인 serine 및 glycine, alanine의 함량은 UV-군과 UV+군간 유사하였으나 UV+1%GTE군에서는 UV- 및 UV+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UV-군과 비교하여 UV+군의 피부 보습함량이 낮게 측정된 것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변화가 없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보습에 관여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인 표피 지질함량 분석과 함께 녹차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 추출물 식이 공급은 (pro)filaggrin의 함량 및 PAD3의 발현이 높게 나타남에 의한 표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궁극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피부건조를 완화시켰다.

자외선램프을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설계 시뮬레이션 (Simulation Method for the Flowing Water Purification with UV Lamp)

  • 정병호;이강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7-23
    • /
    • 2009
  • 자외선 살균기술을 바탕으로 한 수처리 분야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수처리분야에서 살균처리방식의 효율은 유체 살균챔버나 살균강도 그리고 미생물의 불활성역학에 따라 수처리 성능이 결정된다. 광산화법에 이용되는 빛은 주로 자외선이 이용되며 매우 깨끗하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화학살균방법에 비해 잔류물이 없고 높은 안정성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살균방식은 조사시간과 조사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이를 위한 최적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살균장치의 챔버 내의 자외선 램프와 유수에 대한 3D-CFD discrete ordinates model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방식의 최적화 여부를 검증하고 향후 유수형 자외선살균방식의 시뮬레이션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홍삼 추출물에 의한 유전독성 감소효과 (I) - 배양 NIH3T3 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 처리효과 (Decrease of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 - Decrease of UV -induced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n Cultured NIH3T3 Cells)

  • 김완주;유병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4-86
    • /
    • 1998
  •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세포계에서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정상 배지에서 배양한 시간간격에 따라 세포의 생존률은 증가하였는데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는 약 15%정도 증가한 생존률을 보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감소된 DNA복제가 정상배지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도 홍삼추출물을 후처리할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자외선 상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제회복능은 홍삼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절제회복과정 중 효소에 의한 절제단계가 홍삼추출물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단사절단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추출물이 자외선 상해의 절제회복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따라서 유전독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