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환경 보전

Search Result 68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Investigation of Jinhae Area Troops (진해지역부대 자연환경조사를 통한 생태계 보전에 관한 연구)

  • Jang, Cheol-Hyeon;Yu, Jo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1
    • /
    • pp.733-738
    • /
    • 2014
  •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basic duty, the military has been actively supporting the national policy for the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military environmental protection guidelines". Since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inhabitation for wild fauna and flora, field investiga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t Jinhae local unit were performed three times in 2003.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lycoris sanguinea as flora, marten, otter, and leopard cat as mammalia, and accipiter soloensis, accipiter gentilis schvedow, accipiter gularis, buteo hemilasius, falco tinnunculus and terpsiphone atrocaudata as bird were confirmed to inhabit. For the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the expansion of research for natural ecosystems within the military unit is required. Additionally,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proper maintenance of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including sewage treatment facilities, soil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and waste storage facilities.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natural cleansing action and sustainable wildlife conservation should be expanded.

자연문화자원을 이용한 특정단지개발과 GIS활용에 대한 고찰

  • 박구원;이애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70-76
    • /
    • 2003
  • 최근 자연문화자원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자연문화자원을 통한 특성단지개발을 추진하는 예가 많지만, 보전에 대한 규제만 있을 뿐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아 정책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예가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연문화자원을 이용한 특정단지개발에 대한 문제 및 발전방안을 몇 가지 실사례를 통해 검토한 것에 있다. 사례조사결과 지방자치단체의 개발여건은 극히 복잡다단한 자원분포를 갖고 있고, 이들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기존과 같이 자연생태도를 통해 일방적으로 개발적지를 정한다든가, 보전 범위를 500m로 설정하는 것과 같은 개발방식은 지역개발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기준 일거점의 개발논리보다는 모든 자원의 속성을 통해 최적의 보전범위를 정해가는 다거점 개발논리가 자원의 보전은 물론 활용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다거점에 대한 연출은 매우 복잡하게 작용하는 바 GIS를 통해 다거점을 조합해 가는 방식이 기술적 방안으로 제안된다.

  • PDF

2006 환경부 예산안- "상하수도ㆍ수질에서 대기ㆍ국토환경 보전분야"로 중심이동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8 s.361
    • /
    • pp.26-26
    • /
    • 2006
  • 올해 환경부 예산은 지난해보다 1천 900억원이 늘어난 3조 468억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상하수도ㆍ수질관리는 1조 8천억이 책정돼 부문별 예산중 가장 많은 예산(59.8%)이 집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하수도ㆍ수질분야가 전년도에 비해 예산이 줄어든 가운데 대기ㆍ자연보전분야는 예산이 증가해 환경부의 정책중심이 상하수도에서 국토환경 보전분야로 무게 이동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지에서는 2006 환경부 예산안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자연보호와 동굴의 환경보전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4
    • /
    • pp.1-4
    • /
    • 1979
  • 오늘날 우리 나라의 각처에서는 자연의 환경파괴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연환경의 파괴를 가져오게 한 커다란 동기는 바로 기업이윤의 우선, 생산효율의 제일주의로 하는 경제성장, 그리고 이 성장을 이룩하게 한 근대공업화에 의한다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A Study of Cave Property and Plan to manage Environmental Conservation (동굴의 특성과 환경보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홍철화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3-8
    • /
    • 1997
  • 동굴은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자연동굴과 인공적으로 굴착한 인공동굴이 있다. 물론 여기에서 논하고자 하는 동굴은 자연동굴에 관한 특성과 보전, 관리에 대한 견해를 논하고자 한다. 사실상, 자연동굴에도 크게 나누어 보더라도 석회동굴인 종유굴, 화산지대의 화산동굴, 그밖에도 바닷가나 강가절벽에서 형성된 파식굴, 이밖에도 많은 종류로 세분할 수 있다.(중략)

  • PDF

Analysis of Legal System Related to Management of Natural Environments and Ecological Engineering in North Korea (북한의 자연환경 관리와 생태공학 관련 법령 체제 분석)

  • 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1
    • /
    • pp.49-57
    • /
    • 2019
  • The North Korean laws on natural environments, land and infrastructure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in order to help establish the legal system to solve problems of ecosystem and land management in North Korea. The citizen's environmental rights in North Korean Constitutional Law emphasize the aspect of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s. The laws on the managements of natural environments and land are relatively integrated in North Korea. In the management of natural environments, ecosystem conservation is centered on designation of natural protected areas. Priority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s emphasized in land management. The economic and technical support is needed to build advanced legal systems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s and ecological land management an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of law enfor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