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하천

Search Result 1,57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st Allocation of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Considering Development in Upper Basin and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상류지역 개발과 오염총량관리제를 고려한 하천수질관리 비용분담 방안)

  • Yeo, Kyu-Dong;Kim, Gil-Ho;Jung, Young-Hun;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22-822
    • /
    • 2012
  • 본 연구는 상류의 개발행위와 더불어 현재 수질관리의 기준이 되는 오염총량관리제를 대상으로 '규모의 경제'의 논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지자체간에 협조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여 서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상 하류 지자체와 중앙정부 등 관련 당사자들 간의 비용배분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평동산업단지와 영본B, 영본C를 대상으로 광주, 전남, 중앙정부를 이해당사자로 하여 협조적 상황 하에서 대상 비용배분 문제를 정의하였고, 협조적 게임이론에 근거한 SCRB법 및 샤플리법을 적용하여 비용배분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광주와 전남이 각각 삭감해야 할 오염량을 산정하고, 해당 삭감량 만큼 처리하기 위한 하수처리시설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시설의 건설비와 하수관거 공사비, 유지관리비를 산정하였으며, 하수처리시설의 내용연수인 20년간의 총비용을 2010년 현재가치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상 하류 지자체가 공동으로 대처할 경우 20년간 총비용은 416,311.8 백만원, 개별로 대처할 경우 464,439.6 백만원이며, 공동 대처가 42,359.3 백만원이 절감되므로 양 지자체 모두 협조적 게임에 응할 기본배경은 성립되었다. SCRB법에 의한 지자체별 비용배분율을 산정 결과, 광주 74.24%, 전남 25.76%로 산정되었으며, 2001~2010년 하수도 세입현황을 기준으로 중앙정부의 지원 비율은 10년간 최소 23.98%, 평균 29.22%, 최대 34.17%로, 각각의 비율별로 중앙정부, 광주, 전남의 비용분담액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략적으로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오염총량관리 사업은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 두 지자체가 협조하여 비용배분을 하게 된다면 하수처리시설의 수질개선효과, 하수처리시설 위치선정, 사업비용 등을 세밀하게 분석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오염총량관리제에서 제시하는 목표수질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친수활동 증대와 생태 자연환경 개선 등과 같은 수질개선에 따른 간접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오염 총량관리제의 목표수질보다 더 나은 수질을 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협조적 게임의 상황을 복잡하게 하여 해결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으나, 수질개선에 의한 다양한 효과를 편익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이를 협조적 게임에 적용하여 전반적인 수질개선에 대한 지자체의 적극적 활동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 PDF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agonimus and their second intermediate hosts in Kangwon-do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장흡충과 제2중간숙주에 대하여)

  • 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1 no.4
    • /
    • pp.331-340
    • /
    • 1993
  • This study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feature of Metagonimus infection in Kangwon-do (province). The average Infection rate of the surveyed inhabitants was 7.8% (83 positives out of 1, 067 examinees) by stool examination; male, 11.4% and female, 3.2%, respectively. The egg positive rate in residents in the Som river area was 7.3%, that of the Chuchon river area 6.3%, the Pyongchang river area 12.8%, the Tong river area 3.8%, the Hongchon river area 9.8%, and the Ohsip stream area of Samchok 8.0%,respectively. The average metacercarial infection rate of genus Metagonimus in the fish was 81.0% (256 positives out of 318 fish). The infected fleshes were Zacco platypus. Zacco teminki, Opswiichthys biens, Squdidis sp., Corqssius carassius, etc. in western Kangwon-do Meanwhile, in the Ohsip stream area of Samchok-gun, eastern costal Kangwon-do, the infected fish were Plecoglossus altivelis and Tribolodon hokonensis. The rats and dogs are infected with the metcercanae obtained from Zacco platypus and Opsariichthys biens, adult worms collected were Miyata type of Metagonimus with some M. takahashii. When infected with metacercariae from Plecoglossus ltivelis, Metagonimus yokogowai was only found. M. yoogawai and Metagonimus Mlyata type were fecund together in Tribolodon hakonenis in Ohsip stream area of Samchok, in the eastern Kangwon-do. The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ogonimus in western Kangwon-do were Miyata type of MetQnonimuT and M. takahashii transmitting mainly by Zacco platypus and Opsariichtys bidens as a source of infection. In the eastern part of Kangwon province (Ohsip stream area of Samchok), M. yokogowai was mainly distributed by P. altivelis and T. hakonesis, but some T. hakonensis harbored the metacercariae of Miyata type of Metagonimus with those of M. yokogawai.

  • PDF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Hwajinpo, Korea (화진포호의 어류군집 특성)

  • Park, Seung-Chul;Choi, Jae-Seok;Choi, Eui-Yong;Jang, Young-Su;Lee, Kwang-Yeol;Choi, Jun-Ki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3
    • /
    • pp.449-458
    • /
    • 2007
  • Fish community and its temporal-spacial variation in the Lagoon Hwajinpo, Korea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with different types of fishing gears from November, 2005 to August, 2006. Total 35.812 fishes caught during the period were belonged to 24 families 37 species. Dominant species was H. nipponensis(60.8%), T, hakonensis (19.8%), and K. punctatus (5.5%) ana these species were peripheral freshwater fish. Among 37 species, primary freshwater and seawater fish were 8 species (21.6%), respectively and peripheral freshwater fish were 21 species (56.8%).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was 279.3kg, and biomass of each species was T. hakonensis 152.9 kg, H. nipponensis 40.0 kg, K. punctatus 31.4 kg and C. haematochelius 25.3 kg, respectively. Hence, productivity of the Lagoon Hwajinpo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inland reservoirs. The aspect of community classified by surveyed period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Breaking-sandbar', but some of peripheral freshwater fish populations made stable community in their life cycle in the lagoon. In conclusion, the Lagoon Hwajinpo seems to be maintained more natural ecosystem better than other lagoons in Korea. Therefore, the findings provide consideration of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for this lagoon and others through the continuous observation and monitoring in future.

The Value and Application of The Mt. Palgong in Daegu (대구 팔공산의 가치와 활용방안)

  • JEON, Young-Gw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51-68
    • /
    • 2012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value in culture, history and ecology of the Mt. Palgong. It attempts to build the strategy for making use of The Mt. Palgong by literature survey, interview, and field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oundary of physical geography of the Mt. Palgong is classified into two. The boundary of the Mt. Palgong limits to granite mass block in a narrow sense, while in a broad sense, the boundary of the Mt. Palgong includes a contact aureole to be bordered on the Mt. Palgong granite mass block. The boundary from a cultural viewpoint limits to Daegu city(excluding Dalseong county) and Gyeongsan city, Yeongcheon city, Gunwi county and Chilgok (Dongmyeong-myeon, Giseong-myeon) in Gyeongbuk province. 2) In the geological boundary, one of the south-west slope is clearer than that of the north-east slope of the Mt. Palgong. The landforms such as tor, sheeting joint and gutter are well developed as a whole. Mountain landform such as boulder stream, polygonal cracking is relatively well developed on the south-west slope, while river landform is relatively well developed on the north-east slope of the Mt. Palgong. 3) It is necessary to develope various masterpiece of interesting stories related to Mt. Palgong in order to make the Mt. Palgong excellent tour complex. 4)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Mt. Palgong as a national park for systematic management. A master plan should be ultimately designed to raise brand value of Daegu city, and make good identity of the city by restoring 'The Mt. Palgong Jecheondan' and registering 'Gatbawi' as world heritage. 5) It is reasonable that the method of development in The Mt. Palgong should be based on the pattern of 'slow life town'. 'The Mt. Palgong museum' will then be designed to give visitors all the informations on The Mt. Palgong.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iver Basin Management: the Case Study of England and Wales and France (유역물관리체제 수립과 운영: 영국과 프랑스 사례연구와 시사점)

  • Lee,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27
    • /
    • 2019
  • 본 연구는 2019년 물관리기본법 시행과 함께 추진하는 유역물관리체제 수립과 운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유역물관리는 기존의 행정체계 중심으로 추진된 물관리에서 드러난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물순환에 기초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자연 친화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통합물관리의 기초이다. 유역물관리제도를 적절하게 수립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한국보다 앞서 유역물관리제도를 채택하고 운영해온 경험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장단점을 학습하여 한국 현실에 맞게 응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물관리제도를 성공적으로 수립하고 운영해 온 영국(잉글랜드 및 웨일스)과 프랑스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국(잉글랜드 및 웨일스)은 1973년 유역관리청을 10개 대유역에 설치하여 유역물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운영하였지만 1970년대 및 1980년대 경제난을 겪으면서 관련 투자가 줄어들고 하천의 수질 악화가 지속하였으며 유역관리청과 지방정부와의 긴밀한 협조 부재로 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였다. 결국, 1989년 10개의 유역관리청을 상하수도 서비스회사로 전환하고 물서비스감시청, 음용수감시국, 환경청 등의 규제기관을 수립하여 규제와 서비스를 분리한 독특한 유역물관리체제를 수립하였다. 영국의 유역물관리체제는 2000년 유럽연합물관리지침의 도입으로 10개 유역을 11개의 유역으로 재편하고 국가소통위원회, 유역소통위원회 14개, 유역파트너쉽 100개 등의 기구를 설치하여 유역거버넌스를 강화하였다. 프랑스는 1964년 새로운 물법 도입을 통해 전국을 6개 대유역으로 나누고 각 유역에 유역관리청과 유역위원회를 설치하여 본격적인 유역물관리제도를 수립하였다. 초기에는 유역관리 조직과 지방정부 간의 알력이 상당하여 수도요금에 자동부과되는 약 19%에 달하는 물세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물세가 유역관리청의 관리로 물관리 사업을 위한 펀드로 조성되고 물관리 사업 시행 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실효성이 입증되면서 점차 유역관리제도가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 프랑스는 2000년 유럽연합물관리지침의 도입으로 기존의 6개 대유역으로 관리하던 것을 13개 유역으로 재편성하였고 유역감독관 제도를 신설하여 중앙의 감독을 강화하였으며 유역관리청과 유역위원회는 더욱 강화된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물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 사례는 한국의 유역물관리제도 수립과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2019년 시행을 앞둔 유역물관리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역할 등에 대해서는 큰 범위에서 합의를 이뤄야 하겠지만 안정적인 운영과 사업 시행을 위해서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인내심과 여유를 갖고 임하되 필요한 원칙은 면밀한 검토와 합의를 통해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거버넌스의 중요성이다. 영국 사례와 같이 이해당사자 간의 대화와 타협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유역, 지방, 도시 등에서의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이룩해야 한다. 셋째, 유역관리조직을 위한 건전한 재정확보이다. 프랑스의 예와 같이 유역물관리 조직의 독립성은 재정적 독립이 근본이 되어야 하고 이것은 독립재정을 확보하여 중앙 혹은 기타 유역/지방 조직의 간섭을 피해야 한다.

  • PDF

Establishment of Incheon Inundation Production System in association with SWMM-2DIS (SWMM-2DIS를 연계한 인천시 침수심 생산체계 구축)

  • Shim, Jae Bum;Won, Chang Yeon;Hwang, Soo Deok;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7-387
    • /
    • 2019
  • 우리나라는 최근 10년간 자연재난 중 호우로 인해 인명피해 약 120명, 재산피해 약 1조 4천억원을 기록하였으며,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강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호우에 의한 침수피해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본 연구 대상지역인 인천시의 경우 도시화로 인해 인구밀도 및 불투수지역이 증가함에 따라 침수피해가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와 같은 도심지역에서의 침수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침수발생에 대한 대비 대응을 위해 하수관망 해석을 위한 SWMM 모델과 침수해석을 위한 2DIS 모델을 연계하여 인천시 침수심 생산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적용한 침수심 생산과정은 크게 강우자료 생산, 유역 및 하수관망 해석, 침수 해석 등 총 3단계 과정으로 구성된다. 강우자료 생산과정에서는 유역 및 하수관망 해석과 침수 해석을 위한 10분 단위 유역평균 강우량자료를 생산한다. 유역 및 하수관망 해석과정에서는 지형자료 및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SWMM 모델을 통해 맨홀에서의 월류량 자료를 생산한다. 마지막으로 침수해석과정에서는 지형자료와 함께 앞서 두 과정을 통해 생산된 강우 및 맨홀 월류량 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2DIS 모델을 통해 10분 단위의 시계열 침수심 정보 및 격자별 최대 침수심정보를 생산한다. 본 연구에서의 공간해상도는 도심지역의 도로단위 고해상도 침수심 정보 생산을 위해 6m 단위로 하였으며, 시간해상도는 단시간에 발생하는 도심지역의 침수특성 반영을 위해 10분으로 하였다. 또한, 침수발생 시 발생한 강우의 지표흐름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빗물받이효율 변화에 다른 침수심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의 침수심 결과를 실제 침수피해사례 및 풍수해저감종합계획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다수 지역에서 실제 침수발생지역과 동일하게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침수 양상이 유사하게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관측자료를 이용한 하수관망 및 침수해석 모델의 최적화, 하천유량 예측을 통한 하류 기점수위의 반영 등을 통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인천시 침수발생을 사전에 예측하여 침수피해에 대비 및 대응과 침수피해 발생 시 정확하고 상세한 원인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Standardized North American Marsh Bird Monitoring Protocols to Survey Inconspicuous Marsh Birds in Korea (은둔형 습지 조류의 효과적인 조사 방법 탐색을 위한 국외 프로토콜의 시범 적용)

  • Lee, Sang-Yeon;Sung, Ha-Cheo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2
    • /
    • pp.143-150
    • /
    • 2019
  • Although inconspicuous marsh birds are an indicator of marsh health,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their status and population trends due to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lack of reliable survey methods in Korea. We applied the Standardized North American Marsh Bird Monitoring Protocols(SNAMBMP) already validated in North America for effective survey of the marsh birds. We selected 29 sites with emergent marshes, rice fields and riparian forests in Seocheon-gun, Buyeo-gun and Gunsan-si.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a combination of passive 5 minute point-count and vocal survey method (30 seconds call-broadcasting+30 seconds silence) that was targeted eight species 2~7 times/site from March to July 2017. Four species, Brown-cheeked Rail(Rallus indicus), Ruddy-breasted Crake (Porzana fusca), Watercock (Gallicrex cinerea) and Greater Painted-snipe (Rostatula benghalensis), were detected at one site respectively (naïve occupancy rate=0.035). Vocal survey method with conspecific call-broadcasting provided better on Brown-cheeked Rail and Watercock than the others. We suggest a combination of passive point-count and vocal survey method like SNAMBMP to monitor inconspicuous marsh birds at nationwide scale and collection of sound files through recording of the entire process during the survey.

Unrecorded Alien Plant in South Korea: Ludwigia peploides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 Raven (미기록 침입외래종: 꽃여뀌바늘)

  • Kim, Hye-Won;Son, Dong Chan;Park, Soo Hyun;Jang, Chang-Seok;Sun, Eun-Mi;Jo, Hyeryun;Yun, Seok Min;Chang, Kae S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2 no.2
    • /
    • pp.201-206
    • /
    • 2019
  • Alien invasive species are introduced with or without intent and spreading all over Korea. They are kn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biodiversity such as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and causing decrease or loss of native species. The habitats like wetland, reservoir and riverside are especially in danger of being invaded by alien species due to stress and disturbance. Therefore, Korea National Arboretum is steadily working on research and studies on managing alien invasive species. This research aims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f Ludwigia peploides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 Raven which was found near riverside in Suwon-si and is concerned to become an invasive alien species. We expect the description, diagram and pictures of this taxon will be helpful for early detec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Historical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al and Developing Process of Bansu at the Temple-School in China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 Jung, Woo-Jin;Yan, Shaochi;Sim, W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182-197
    • /
    • 2011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Bansu(泮水) which appeared uniquely at the Chinese 'temple-school(廟學)', Confucian schools as the common and necessary facilit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urveys. The earliest record about the Bansu was shown in "The Book of Odes(詩經)". Originally Bansu was the water system which flowed near the 'Banpalace(泮宮)', but, in the following time, Bansu has become the symbol of the school which was built by the feudal lords and a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temple-school landscape. Temple-schools were started at Song(宋) Dynasty and at that time there was no certain form of Bansu, just the natural water course near the structure. Until Ming Dynasty, the "Picture of the Feudal lords' Ban-su" in the book "Samjedohoe(三才圖會)" that compiled by Wang-Xi(王圻), the form of Bansu was appeared to be transformed as the half-round pond. And the half-round pond as called Banji(泮池) of today's form was all rebuilt after Ming Dynasty. The half-moon pond appeared at the private houses, shrines, temples and villages were influenced by the book. From this research we can get the conclusions that Banji seemed one of the sacred one and used in the space arrangement formally for the various functions. This research has found the cultures of half-moon ponds which were used uniquely in China.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Technique - From the Experiment at the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 가능성 -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 중심으로 -)

  • Kim, Gawoo;Song, Youngke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1
    • /
    • pp.1-12
    • /
    • 2021
  •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eDNA) technique. The research of DNA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cology, since this is more sensitive of identify rather than traditional investigation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detect species hidden in water and be easily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sites, bad weather, researchers and so on). We applied the pilot test in aquarium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where freshwater fish species are inhabits. We conducted to sampling and analyzing the sixteen water samples (50 species from 7 orders and 13 families) using MiFish primer set. The results showed that 45 species (90%) was investigated by eDNA. It highlight that eDNA with universal primer is possible to detect freshwater fish species of Korean. However, the errors on species identific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primer that be not suited perfectly and the pollution such as aquarium, sampling coll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