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Hwajinpo, Korea

화진포호의 어류군집 특성

  • Park, Seung-Chu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 Choi, Jae-Seok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Eui-Yo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 Jang, Young-S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Kwang-Yeol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un-Ki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Fish community and its temporal-spacial variation in the Lagoon Hwajinpo, Korea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with different types of fishing gears from November, 2005 to August, 2006. Total 35.812 fishes caught during the period were belonged to 24 families 37 species. Dominant species was H. nipponensis(60.8%), T, hakonensis (19.8%), and K. punctatus (5.5%) ana these species were peripheral freshwater fish. Among 37 species, primary freshwater and seawater fish were 8 species (21.6%), respectively and peripheral freshwater fish were 21 species (56.8%).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was 279.3kg, and biomass of each species was T. hakonensis 152.9 kg, H. nipponensis 40.0 kg, K. punctatus 31.4 kg and C. haematochelius 25.3 kg, respectively. Hence, productivity of the Lagoon Hwajinpo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inland reservoirs. The aspect of community classified by surveyed period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Breaking-sandbar', but some of peripheral freshwater fish populations made stable community in their life cycle in the lagoon. In conclusion, the Lagoon Hwajinpo seems to be maintained more natural ecosystem better than other lagoons in Korea. Therefore, the findings provide consideration of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for this lagoon and others through the continuous observation and monitoring in future.

화진포호의 어류군집과 시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5년 1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다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24과 37종 35,812개체였다. 우점종은 H. nipponensis (60.8%), T. hakonensis (19.8%), 그리고 K. punctatus (5.5%) 등 주로 주연성담수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한 37종 중 일차담수어와 해산어는 각각 8종(21.6%), 주연성담수어는 21종(56.8%)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총 279.3kg이었으며 T. hakonensis 152.9 kg, H. nipponensis 40.0 kg, K. punctatus 31.4 kg, C. haematochelius 25.3 kg등의 순으로 나타나 내륙의 인공담수호에 비해 생산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기별 군집의 변화양상은 '갯터짐 현상'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부 주연성담수어 개체군은 호내에서 생활사를 가지며 안정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화진포호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석호 중 비교적 양호한 자연 상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찰과 모니터링을 통하여 본 석호를 비롯한 다른 석호의 관리와 회복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석남, 허성회.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2): 129-135
  2. 권혁재. 2002. 지형학. 법문사, 경기. p. 1-498
  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서울. p. 133-520
  4.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서울. p.252-264
  5.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p. 1-465
  6.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 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p. 43-515
  7. 김형섭, 김일회, 전방욱, 김재관. 1997. 동해안 석호 자연생태계 연구, 원주지방환경관리청 보고서. p. 29-35
  8. 명정구. 2002. 우리바다 어류도감. 다락원, 서울. p. 35-244
  9. 박상덕. 2002. 경포호의 변천. 자연과 문명의 조화, 구 토목-대한토목학회지 50(4): 52-56
  10. 변충규. 1984. 기수호(향호, 매호, 영랑호, 송지호, 화진포)의 환경 및 생물상 조사 보고, 제주대학교 논문집 18: 93-105
  11. 변화근, 이완옥, 김동섭. 2004. 영천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 한국어류학회지 16(3): 234-240
  12. 변화근, 전상린, 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육수지 30(4): 325-335
  13. 손영목, 송호복, 변화근, 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어지 9(1): 141-152
  14.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7a. 안동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육수지 30(4): 347-356
  15. 양홍준, 채병수, 황수옥. 1997b. 임하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육수지 30(2): 145-154
  16. 엄정훈. 1998.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6(2): 95-110
  17. 염종권, 유강민, Sampei, Y., Touoka, T., Nakamura, T. 2002. 동해안 화진포 석호의 최근 400년간 퇴적 환경 변화, 지질학회지 38(1): 21-32
  18.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997. 동해안 석호 수질개선 대책, 원주지방환경관리청, 강원
  19. 이충렬. 1990. 만경강 하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한국생태학회지 13(4): 267-283
  20. 이충렬. 1992. 금강하구의 하구언 축조 이후 어류군집의 변화, 육수지 25(3): 193-204
  21. 이충렬. 2005.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어지 17(2): 131-141
  22. 이태원, 문형태, 김광천. 2003.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0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3): 298-305
  23. 장영수, 이광열, 최준길, 서진원, 최재석. 2006. 포획도구에 따른 횡성호 내 어류채집 효과분석, 육수지 39(2): 245-256
  24.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4-49
  25. 전상린. 1986. 한국산 농어과 주연성 담수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대 논문집 18: 335-355
  26. 전상린. 1989. 한국산 황어속, 연준모치속 및 버들치속(황어아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대 논문집 23: 17-36
  27. 최기철. 1986. 강원의 자연(담수어편), 강원도교육위원회. p. 171-176
  28.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개정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서울. p. 1-277
  29. 최재석. 2005a. 의암호의 어류군집, 한어지 17(1): 73-83
  30. 최재석. 2005b. 청평호의 어류상 벚 어류군집, 육수지 38(1): 63-72
  31. 최재석. 2005c. 춘천호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환경생물 23(2): 173-183
  32.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고명훈, 권오길, 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어지 15(2): 95-104
  33.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최의용, 서진원. 2005. 평화의 댐 어류군집 분석, 육수지 38(3): 297-303
  34. 최재석, 장영수, 이광열, 김진국, 권오길. 2004.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환경생물 22(1): 111-119
  35. 최준길, 박승철, 장영수, 이광열, 최재석. 2006. 경포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특성, 육수지 39(2): 157-166
  36. 허우명, 이상균, 권상용, 김동진, 김범철. 2001.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1): 청초호, 육수지 34(3): 206-214
  37. 홍사욱, 조규송, 나규환. 1969. 화진포의 수질과 Plankton에 관한 연구, 육수지 2(3): 35-42
  38. 환경부. 2001.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환경부, 서울
  39. Bird, Eric C.F. 2000. Coastal Geomorph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 1-248
  40. Kjerfve, B. 1994. Coastal Lagoon Processes. Elsevier, New York. 598p
  41.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