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요소

Search Result 1,7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Petr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 : I. Concepts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 : I. 개념)

  • Cho, Jin-Rae;Lee , Hong-Wo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8 no.2
    • /
    • pp.103-111
    • /
    • 2005
  • In this paper, a new meshfree technique which improves the numerical integration accuracy is introduced. This new method called thc Petrov-Galerkin natural clement method(PG-NEM) by authors is based on the Voronoi diagram and the Delaunay triangulation which is based on the same concept used lot conventional natural clement method called the Bubn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BG-NEM). But, unlike the BG-NEM, the test basis function is differently chosen, based on the concept of Petrov-Galerkin, such that its support coincides exactly with a regular integration region in background mesh.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ensures the remarkably improved numerical integration accuracy in comparison with the BG-NEM.

The Petr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 : II. Linear Elastostatic Analysis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 : II. 선형 정탄성 해석)

  • Cho, Jin-Rae;Lee, Hong-Wo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8 no.2
    • /
    • pp.113-121
    • /
    • 2005
  • In order to resolve a common numerical integration inaccuracy of meshfree methods, we introduce an improved natural clement method called Petr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PG-NEM). While Laplace basis function is being taken for the trial shape function, the test shape function in the present method is differently defined such that its support becomes a union of Delaunay triangles. This approach eliminates the inconsistency of tile support of integrand function with the regular integration domain, and which preserves both simplicity and accuracy in the numerical integration. In this paper, the validity of the PG-NEM is verifi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benchmark problems in 2-d linear elasticity. For the comparison, we also analyze the problems using the conventional Bubn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BG-NEM) and constant strain finite clement method(CS-FEM). From the patch test and assessment on convergence rate, we can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shfree method.

A Near-tip Grid Refinement for the Effective and Reliable Crack Analysis by Natural Element Method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자연요소 균열해석을 위한 균열선단 그리드 세분화기법)

  • Cho, Jin-Ra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2 no.3
    • /
    • pp.183-190
    • /
    • 2019
  • This paper introduces a near-tip grid refinement and explores its usefulness in the crack analysis by the natural element method(NEM). As a sort of local h-refinement in finite element method(FEM), a NEM grid is locally refined around the crack tip showing high stress singularity. This local grid refinement is completed in two steps in which grid points are added and Delaunay triangles sharing the crack tip node are divided. A plane strain rectangular plate with symmetric edge cracks is simulated to validate the proposed local grid refinement and to examine its usefulness in the crack analysis. The crack analysis is also simulated using a uniform NEM grid for comparison. Unlike the uniform grid, the refined grid provides near-tip stress distributions similar to the analytic solutions and the fine grid. In addition, the refined grid shows higher convergence than the uniform grid, the global relative error to the total number of grid points.

A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Conditions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for Composite Coastal Disasters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 프로세스 개발)

  • Im, Jun Hyeok;Oh, Kuk Ryul;Sim, Ou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3-293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재난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해안과 인접해 있는 지역은 풍랑, 지진해일 등으로 인해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는 자연재해대책법에 의거하여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수립 절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위험지역의 지리적·사회적 조건을 고려한 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피해이력과 침수예상도 정보가 반영된 위험성평가 지도를 활용하여 위험지역 유형을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위험)로 구분하고, 단계별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 대책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적 대책의 도출에는 지역맞춤형 요소와 특성요소를 활용하였다. 지역맞춤형 요소는 자연인자, 재해영향인자, 재해원인인자, 지형인자, 사회인자로 구분하였으며, 각 인자별로 세부인자를 선택하여 논리연산에 따라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하였다. 특성요소는 효율성, 시공성, 공공성으로 구분하였고, 각 구분별 세부요소를 평가하여 재해예방기법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해안가 복합재난이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hape Function for the Mesh-Free Method Using Singular Weighting Function and Three-Dimensional Applications (특이 가중함수를 사용한 무요소법의 형상함수와 3차원 적용)

  • Nam, Yong-Yu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3 no.1 s.31
    • /
    • pp.39-50
    • /
    • 1999
  • 특이 가중함수로 표현된 shepard interpolant와 일관조건을 사용하여 무요소법 형성함수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통상의 EFGM(Element Free Galerkin Method)과는 달리 변위로 주어지는 경계조건을 자연스럽게 부과할 수 있다. 수치계산 예로서 외팔보 문제를 다루었는데 보이론과 비교하여 매우 잘 맞는 결과를 보여주고, 유한요소법과의 결합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을 보인다. 또 penny-shaped 균열을 다루는데, 응력확대계수는 균열 표면의 변위로부처 직접 계산하여 해석해와 비교한다.

  • PDF

Study on Hangul Character Region Detection in Natural Images (자연영상에서 한글문자 영역 검출에 관한 연구)

  • Bak, Jong-Cheon;Gwon, Gyo-Hyeon;Jeon, B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430-433
    • /
    • 2010
  • 최근 모바일 기기로 획득된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증강현실을 지원하고자 자연영상으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 및 인식하여 이미지 검색을 가능하도록 하는 많은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자연영상에서 한글문자 영역 검출은 한글문자 인식을 위한 전단계로서 다양한 환경에 노출된 문자영역을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인식 성능을 결정함으로 중요한 전처리 단계이다. 본 연구는 한글문자 영역의 에지 및 지역적 연결요소 성분 특징을 이용하여 한글문자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에지 및 연결요소 성분의 특징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레이블화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한글문자 후보 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후보영역은 검증과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한글문자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환경에서 얻어진 자연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에지 및 연결요소 성분의 두 가지 특징을 결합함으로서 한글 문자영역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하였다.

  • PDF

The Selection of a Subject Case Auxiliary Word According to Modality in Korean Generation (양상에 따른 자연스러운 주격 조사의 선정)

  • Lee, Kang-Chun;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73-176
    • /
    • 1996
  • 한국어 생성기의 성능은 여러 가지 요소로 평가될 수 있다. 속도, 생성 문장의 복잡성 등 여러 가지 요소가 평가 대상이 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은 생성되는 문장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것인가 하는 것이다. 자연스러움의 정도는 정확히 측정할 수 없지만 그 중에서 어절의 순서 배치, 대응되는 정확한 어휘의 선정, 조사, 어미 등의 적절한 선정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양상을 술어가 가질 때 주격조사의 선정에 주안점을 두었다. 기존의 생성기[l,3,7,9]에서는 대표격 조사 '가(무종성)'나 '이(유종성)'를 사용하였는데 양상을 동반할 때에는 '는(무종성)'이나 '은(유종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는 것을 보이도록 하겠다.

  • PDF

백두산 화산활동이 량강도자연지리요소에 준영향

  • 유충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1.12a
    • /
    • pp.18-34
    • /
    • 2001
  • 량강도 북부지역에서는 지질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차례의 화산활동이 있어 자연경관을 훼멸, 복구하였다. 특히 갱신세에 분출된 현무암용암, 백두산 소백산에서의 알칼리성조면암의 발생, 800여년전에 분출한 부석은 원래의 자연경관을 훼멸,매몰하고 새로운 자연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자연경관 형성에서 지질,지형,기후,식생,토양 등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나 그중에서도 화산활동을 위주로한 지질작용이 주되는 인자로 되었다. 즉 용암의 분출에 의하여 본 지구의 지형을 1600m 높여 기후,식생,토양의 산지수직지대성을 형성하였고 강,호수의 형성도 식생,토양의 특성도 화산활동의 제한을 받았다. 모두어 말하면 본 지역의 자연경관은 800 여년 역사를 갖고 지금도 발전, 성숙과정에 있다. 본문에서는 백두산과 가까이 자리잡고 있는 량강도의 삼지연군, 대홍단군, 백암군, 보천군, 운훈군, 갑산군과 함경북도의 무산군, 연사군, 어랑군, 길주군의 일부지역 및 함경남도의 단천서북부가 포함된다. 지리위치로 보면 동경 128 도 16 분으로부터 동경 130 도 02 분까지이고 북위 42 도 10 분부터 북위 41 도 좌우이다.

  • PDF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ountain Landscape around City (도시주변 산의 경관보전 및 관리를 위한 GIS의 이용)

  • 김성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3 no.2
    • /
    • pp.123-134
    • /
    • 1995
  • This study applied GIS to land planning and management to conserve moun¬tain landscape, and to prevent landslide by housing development around a mountain in a city. In a case study of Kugi & Pyungchang- Dong area of Pukhan Mt. in Seoul, the landscape elements are divided into 'natural landscape conservation, ' 'visual landscape structure, and 'landslide prevention.' These elements are analysed by GIS TIN and OVERLAY modules. land¬scape classes and land use zoning maps for landscape management were developed.

  • PDF

Changes to the pH and Ion Contents of the Fogwater through the Forest Site in Pyeongchang, Kangwon Province (강원도 평창 지역 산림을 통과하는 안개의 pH 및 용존원소량의 변화)

  • 주영특;김홍률;이상덕;이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3.09a
    • /
    • pp.62-65
    • /
    • 2003
  • 깨끗한 공기, 맑은 물, 그리고 기름진 토양은 생태계의 순환과 보전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 요소들이다. 공업을 위시한 각종 산업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현대 문명사회에서 특히 이와 같은 자연 환경 요소들은 그 성질상 변화를 가속화하고, 따라서 자연환경의 오염이 극대화하기에 이르러 자연 생태계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