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예냉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Effect of Precooling Treatments on the Storability of Chicon during MA Storage (예냉 처리가 치콘의 MA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Jung, Hyun-Jin;Seo, Hyun-Taek;Choi, In-Lee;Yoo, Tae-Jong;Son, Jin-Sung;Won, Jae-Hee;Kim, Il-Seop;Kang, Ho-Mi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9 no.4
    • /
    • pp.360-365
    • /
    • 2010
  • The effects of precooling treatments on the storability of chicon were investigated during modified atmosphere (MA) storage. The forced air cooling showed faster precooling rate that reduc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chicon to $2{\pm}1^{\circ}C$, and the precooling time of forced air cooling was 1/6 of room cooling. The half cooling time was 3 hr 21 min in room cooling and 1 hr 17 min in forced air cooling. Weight loss was less than 0.5% in all treatments both $5^{\circ}C$ and $10^{\circ}C$ MA storage and maintained higher in forced air cooling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xygen, and ethylene of $50{\mu}m$ ceramic film packages were observed higher at $10^{\circ}C$ than $5^{\circ}C$. The precooling effect on respiration reduction was not shown at $5^{\circ}C$, but appeared that the gas concentration of precooling treatments showed less carbon dioxide and higher oxygen than non precooling treatment by 9 days after $10^{\circ}C$ storage. Ethylene concentration of precooling treatments showed lower than non precooling treatment until 3 days both $5^{\circ}C$ and $10^{\circ}C$ MA storage. Precooling showed the effect on maintaining visual quality of chicon both $5^{\circ}C$ and $10^{\circ}C$ MA storage. However, the forced air cooling that showed faster precooling rate did not appeared more precooling effect on the visual quality than room cooling because the fast air flow (6.0 m/sec) of forced air cooling hit directly on chicon outer leaves and might cause physical damage to chicon. Although the forced air cooling showed the effect on maintaining quality of chicon, but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needed that investigated proper air flow rate and cooling box structure can prevent physical damage by air flow.

포도 ‘켐벨얼리’의 예냉 및 저온 유통 기술 연구

  • 정대성;최선태;이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2-132
    • /
    • 2003
  • 포도 중 캠벨얼리 품종은 색이 검붉고 당도가 높아 우리나라 대표적인 품종 중에 하나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수확 후 저장 유통 중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예냉 조건 및 수송, 저장, 유통조건에 따른 품질조사를 비교실험하여 가장 안전한 저장 유통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2003년 8월20일경에 포도 주산지인 영천 농가에서 수화 한 후 바로 예냉처리를 하였다. 이때 사용한 예냉기는 원예연구소에서 개발한 시제작품을 사용하였다. 대조구로 무예냉을 두었으며 예냉 후 수송온도도 관행적인 상온과 저온(2$^{\circ}C$)로 구분 처리하였으며 저온온도별로도 함께 실험하였다. 포장단위도 2kg 와 5kg로 각각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예냉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예냉처리에 따른 호흡패턴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저장 중 중량감소율, 부패율 및 탈립율을 조사하였다. 포도 ‘켐벨얼리’의 수확 시 품온 29.5$^{\circ}C$를 적정 저장 온도인 2$^{\circ}C$로 저하시키는데 일반 저온 저장고에서 10시간 정도 걸리는 데 반하여 차압예냉기 이용시 3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예냉 포도의 처리구별 호흡량은 초기 6.65$m\ell$/kg/hr 였으나 상온무예냉 및 예냉 처리구의 경우에는 저장해가면서 급격히 증가되었고 저온에서는 무예냉의 경우에는 계속 증가되는 반면 예냉 처리구의 경우에는 포장 규격과는 상관없이 다른 처리구 보다 호흡억제 효과가 있었다. Ethylene 발생량 역시 호흡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어 예냉 시 과실의 품질 저하 요인 발생량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경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감소되나 저온 예냉 처리구의 경우가 초기 1.26N을 높게 유지하였고 자연중량 감모율은 상온저장 2주째 무예냉처리구 8.40%로 감소된데 비하여 예냉 저온 수송 구의 경우에는 0.25%로 매우 낮았다. 포도 ‘켐벨얼리’의 저온 저장중 부패율은 저장 2주째 상온 무예냉 처리구의 경우 19.8%이었으나 저온 예냉 처리구의 경우는 부패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탈립율 역시 상온무예냉처리구의 경우 53.5%인데 반하여 저온 예냉 처리구는 저장 4주경과 시까지 탈림과가 없었다. 당도 및 pH변화 역시 차압 예냉 후 저온 수송 처리구가 초기당도(12.0Bx)$^{\circ}$값과 초기 pH(3.8)를 저장 25일 경과시까지 유지하였다. 수확 시 높은 품온을 갖고 있는 과일을 산지에서 예냉 처리를 한 후 저온 냉장차를 이용하여 유통한다면 관행 유통 구조보다 고품질의 포도를 유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는 완숙된 고 당도(12.0~15.0Bx)$^{\circ}$ 포도를 수확 한 즉시 예냉 처리하고 저온 유통한다면 보다 신선한 과일을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Cultivation and Postharvest Management Status of Cut Chrysanthemum Farms in Korea (국내 절화국화 재배농가의 재배와 수확 후 관리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 Roh, Yong Seung;Yoo, Yong Kweo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26 no.4
    • /
    • pp.187-194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ilities, cultivation, postharvest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tatus of 27 cut chrysanthemum farms in Korea. The 60% of farms have cultivated the cut chrysanthemum using soil fertigation system in the PE plastic house. In Jeonnam and Busan provinces, Standard type of chrysanthemum was cultivated mainly than spray type of chrysanthemumJeoas. Most farms have been producing the rooted cuttings by plug system using cuttings self-propagated or purchased from the company, but farms in Jeonnam have been planting cuttings directly on cultivation bed. And the 66.6% of cut chrysanthemum farms have been pretreating with dipping in hot water or tap water after harvesting. Precooling was not performed on 70.4% of the farms, and precooling farms have been mainly conducted at temperature of $2-4^{\circ}C$. After harvesting, 70.4% of the farms stored the cut flowers at $2-4^{\circ}C$ for more than 48 hours to control the distribution volume. Cut chrysanthemum was graded mainly by individuals before distribution, and some export farmers have been conducting the cooperative grading. In distribution, all farms have distributed the cut flowers to the domestic markets, and 44.4% of these farms have been also exporting. The 63.0% of farms distributed to domestic market have been trading with flower auction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