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에너지

검색결과 1,110건 처리시간 0.047초

일본의 자연 에너지 개발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2호통권170호
    • /
    • pp.22-25
    • /
    • 1991
  • 장기화되고 있는 최근의 페르시아만 사태는 전인류에게 제3차 오일쇼크의 공포감을 안겨주면서 에너지 자원의 장기 안정적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지구환경 보호안동, 반핵운동으로 그 동안 석유를 대체할 신 에너지 원으로 한때 각광을 받았던 원자력 이용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또다른 새주역을 찾아야 한다는 명제가 부각되고 있다. 현재 가장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자연 에너지의 종류 및 일본에 있어서의 개발실태를 개괄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 PDF

자연광을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에너지 절감률 분석 (Analysis of Energy Saving according to Control Method of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Daylight)

  • 문승미;권숙연;임경미;임재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462-464
    • /
    • 2012
  • 최근 건물 내 에너지 소비량의 30%를 점유하고 있는 조명 에너지 절감을 위해 자연광을 이용하여 인공조명의 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명 에너지 소비 절감 및 재실자의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해 조명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Relux를 이용하여 소규모 사무 공간을 3D로 모델링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간대별 자연광의 유입량에 따라 조명장치를 점멸제어, 조광제어, 스텝제어의 다양한 제어방법을 적용하여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각 제어방법에 따른 에너지 절감률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광제어가 60.5%로 가장 높은 에너지 절감률을 보였다.

가막만 패류양식의 지속성에 관한 에머지 평가

  • 오현택;이석모;이원찬;정래홍;박종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9-291
    • /
    • 2007
  • 본 연구의 대상해역은 여수반도 남단에 위치한 가막만은 굴을 비롯한 패류양식 생산활동에 기여하는 자연환경의 실질적인 가치와 인간경제 시스템에 대한 EMERGY 분석법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넙치생산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2004년 통계를 기준으로 가막만 양식에 유입되는 총 EMERGY의 양은 33.42E+19 sej/yr이고, 이 중 자연환경으로부터 영속성 에너지는 2.95E+20 sej/yr 이며, 주 경제로부터 유입되는 비영속성 에너지는 3.92E+19 sej/yr이다. 자연환경으로부터의 유입이 전체 에너지원의 88%이고, 주 경제로부터의 유입은 12%로서 환경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1차 산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Net EMERTY yield ratio는 8.52으로 이는 주 경제로부터 투입된 에너지(비영속성 에너지)에 대해 8배 만큼 수산물을 얻을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EMERGY Investment Ratio 0.13은 주 경제로부터 유입된 에너지의 약 7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자연환경에서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EMERGY량이 모두 현재의 EMERGY 생산비대로 생산이 된다는 가정하면 가막만의 패류(굴) 생산량은 환경수용량의 50%정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따뜻한 에너지(4) - Hyundai Oilbank '사랑가득! 희망에너지'

  • 유준상
    • 석유와에너지
    • /
    • 통권277호
    • /
    • pp.66-69
    • /
    • 2010
  • 국내 최초의 민간 정유회사로서 시작한 현대오일뱅크는 '사랑가득! 희망에너지'라는 사회공헌슬로건을 걸로 가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에너지기업으로서 우리 사회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사랑가득! 희망에너지'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희망을 주는 미래희망+, 소외 계층과 함께 더불어 사는 이웃희망+, 푸른 자연을 지키고 사랑하는 자연희망+의 3가지 희망 정신을 담고 있다. 현대오일뱅크의 사회공헌활동은 파트너 십을 전제로 지역사회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고, 기업의 전 자원을 동원해 최대한의 효과를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잇다. 이를 위해 사업의 특성과 연계된 전략적인 프로그램과 기업, 지역사회, 임직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 PDF

용매 첨가제의 용해도 계수가 공액고분자의 자기조립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ubility Parameter of Solvent Additives on the Self-Assembly Behavior of Conjugated Polymers)

  • 권은혜;이정익;박소영;함예은;박영돈
    • 공업화학전망
    • /
    • 제23권5호
    • /
    • pp.21-32
    • /
    • 2020
  • 유기전자소자는 용액공정을 통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무기전자소자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대면적 생산이 가능하며, 유기분자의 본연 특징으로 인해 유연하고 가벼운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 반도체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전하이동도 특성은 유기전자소자의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공액고분자의 결정화도, 모폴로지, 분자배향 최적화를 통한 자기조립 박막 제조는 전하이동을 원활히 하기 때문에 유기전자소자의 개발에 필수적이다. 본 기고에서는 유기전자소자의 활성층으로 사용되는 공액고분자의 자기조립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특성을 갖는 용매 첨가제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특히 첨가제의 용해도 계수가 공액고분자의 자기조립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고자 한다.

첨단 건물용 프레넬 집광 프리즘 배광형 자연채광기술 (Fresnel Collector and Prismatic Pipe Daylighting System For Advanced Building)

  • 이의준;강은철;김기세;정학근;정봉만;한수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41
    • /
    • 2002
  • 최근 건물에서 사용되는 조명에너지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 고효율 램프, 반사갓 교체 등 ESCO관련 사업과, 친환경 조명 기술 개발이 한창이며 이러한 시점에서 첨단 건물의 실내조명에 있어서도 기존 전기조명보다는 자연채광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자연광은 실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조명에 비해 200배 이상이나 강하기 때문에 이 빛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기술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중략)

  • PDF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별 에너지성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

  • 김길태;전주영;김선동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4호
    • /
    • pp.215-220
    • /
    • 2015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환기장치를 선정하고 환기장치의 에너지특성 분석과 에너지저감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ECO2)을 이용하여 환기장치 별 에너지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환기장치 별 에너지 효율등급평가 기준에 따른 소비량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단지별 에너지소비량과 비교 검토 결과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공동주택에 적용하고 있는 환기장치별 에너지 소비량 실태를 파악하였다. 중부지방의 84type, 한 개동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자연환기장치의 등급용 1차에너지소요량 값은 $159.9kWh/m^2yr$, 전열교환환기장치 $161kWh/m^2yr$, 바닥환기장치 $179.7kWh/m^2yr$로 계산 되었다. 위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동주택의 실제 현장자료로 검증하였으며, 환기장치별 에너지소요량에 대한 비율로 비교해본 결과, 전열교환환기방식이 자연환기방식에 비해 -1~6% 적은 값을 보였으며, 바닥배관환기방식이 자연환기방식에 비해 약 10~20% 더 많은 1차에너지소요량이 나타났다. 환기장치의 팬동력과 열회수효율에 따라 에너지소요량의 난방과 환기 값이 변화하며, 향후 기계환기장치의 효율화 및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집:자연모사 그린테크놀로지 - 자연모사 지속가능 혁신 기술

  • 김완두;임현의;김성덕
    • 기계와재료
    • /
    • 제23권4호
    • /
    • pp.6-15
    • /
    • 2011
  • 자연은 인간이 만들어낸 기술적 해결책들보다 현저히 적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며, 적은 물질로 다양한 구조를 창출해 내는 고효율 최적화 시스템이며, 스스로 정화작용과 선순환을 유지하는 환경 친화적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활용하고 응용하는 기술은 최근 나노-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새롭게 각광받는 융합기술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나노스케일의 생체물질을 관찰하고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고성능의 장비가 개발되고, 생체 물질을 분자 단위로 조합하고 합성하는 등의 첨단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자연모사기술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자연 생명체/생태계가 지닌 혁신적인 해결 가능성(Innovation Potentials)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연모사기술 분야에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인류가 당면한 에너지 자원 기후변화 환경 문제 등의 글로벌 이슈를 극복하고 선순환의 개념의 자연모사 에코 기술과 지속가능한 혁신 기술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