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선택

Search Result 819,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An Analysis of Mastering Concept and Connection with Operations in Natural Number and F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초등 수학에서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 익히기 및 연산 사이의 연결 분석)

  • Roh, Eun Hwan;Jeong, Sang Tae;Kim, Min Jeo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9 no.4
    • /
    • pp.563-588
    • /
    • 2015
  • In elementary school, didactical transposition is inevitable due to several reasons. In mathematics, addition and multiplication are taught as binary operations, subtraction and division are taught as unary operations. But in elementary school, we try to teach all the four operations as binary operations by didactical transposition. In 'Mastering' the concepts of the four operations, the way of concept introduction is dealt importantantly. So it is different from understanding the four oper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our operations of natural numbers and fractions from two perspectives: concept understanding (how to introduce concepts and how to choose an ope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ons. As a result,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In division of fractions, students attempted a connection with multiplication of fractions right away without choosing an operation, based on the situation. Also, to understand division of fractions itself, integrate division of fractions presented from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fth grade to the first semester of the sixth grade are needed. In addition, this result can be useful in the future textbook development.

Genetic Algorithm Implementation in Python (Python 을 사용한 유전 알고리즘 구현)

  • Lee, Won-Jae;Kim, Ha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73-4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Python 을 사용한 유전 알고리즘 구현을 다룬다. 유전 알고리즘은 생물의 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연선택과 같은 유전법칙을 모방한 확률적 탐색기법이다. 유전 알고리즘에서는 염색체를 하나의 리스트 혹은 문자열로써 다룬다. 리스트나 문자열 처리 위주인 유전 알고리즘의 경우, 기존의 C/C++/Java 보다 표현력이 풍부한 Python 으로 프로그래밍할 경우 별도의 라이브러리 없이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Python 을 사용한 유전 알고리즘 구현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추가적으로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논의한다.

  • PDF

Cartoon Style Video Generation Using Physical Motion Analysis (물리적 운동 분석을 이용한 만화 스타일의 비디오 생성)

  • Lee, Sun-Young;Yoon, Jong-Chul;Lee, I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a
    • /
    • pp.195-196
    • /
    • 2007
  • 우리는 비디오의 모션을 전통적인 애니메이션과 같은 스타일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우리의 시스템은 비디오의 물리적인 상황에 맞게 자연스러운 변형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비디오의 만화화 방법이다. 선택된 비디오 오브젝트의 운동량, 운동방향, 힘과 같은 물리적인 요인들을 분석하여 물리적으로 타당한 변형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효과를 적용한다는 것이 장점이다.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183호

  • Korea Organic Farming Association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183
    • /
    • pp.1-24
    • /
    • 2002
  • 제24회 한국유기농업대회 개최!!/자격증시대의 현명한 선택은?/유전자 변형작물 유해 논란속 확산 가속/잘하는 농가 '집중지원'/농업종합자금제/토비, 유기질비료의 선두주자/당신도 무병장수를 꿈꾸는가?/'먹거리서화장품까지' 유기농상품 뜬다/환경개선으로 병해충을 막아보자/유기농업에 의한 양계/10월중 농사정보/딸기의 주요병해와 친환경적 방제기술/농산물 소포장 판매 '붐'/유럽의 어메니티 정책동향/시설채소의 병해방제/골벌고을 그린투어 성료

  • PDF

Selection & Application of Rust Preventives (부식방지제의 선택과 적용)

  • 박봉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4 no.1
    • /
    • pp.25-29
    • /
    • 1988
  • 대부분의 기계장치는 철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다. 철은 본래 순수 금속으로서는 존재하지 않고 주로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산화물로 존재한다. 철 산화물이나 철광석을 재련하면 순수금속(free metal)이 얻어지는데 성능을 개량하기 위해 소량의 다른 원소를 첨가하게 된다. 그러나 금속철을 철산화물로 되돌리려는 자연의 힘이 막강하여 유용한 금속이 못쓰게 된다. 이는 마치 인간이 철광석에서 유용한 금속을 만들어내는 것을 자연이 다시 환원시켜 인간의 성공에 반항하는 것 같다. 미국에서만 매년 철 종류의 부식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 60억달러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철 종류 50톤중 1톤이 매년 산화물인 녹으로 바뀌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A Study on interaction factor in intuitive gesture (직관적 제스쳐 인터랙션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 Kim, Yong-U;Hwang, Min-Cheol;Kim, Jong-Hwa;U, Jin-Cheol;Kim, Chi-Jung;K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6-69
    • /
    • 2009
  •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직관적 제스쳐 인터랙션의 요소 추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마우스와 키보드의 8가지 기본 인터랙션 요소를 제시하여 그 요소와 적합한 의미의 어휘를 선택하도록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선택한 어휘가 가지는 의미를 표현한 제스쳐를 빈도수에 따라 최종 선정한 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설문시 마우스의 상하좌우 이동과 ESC의 의미는 30명 전원이 상하좌우 이동과 취소라는 동일한 의미를 선택하였다. 마우스의 좌클릭은 30명 중 28명이 선택, 우클릭은 26명이 설정 탐색, 키보드 엔터의 경우 25명이 실행이라는 의미를 선택하였다. 최종 선정된 제스쳐의 검증 결과 상하좌우 이동과 취소 요소로 제시했던 손전체 상하좌우 이동과 손전체X는 70~100%의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선택 요소로 제시했던 정지상태 검지손 아래는 60%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설정 탐색을 위해 제시되었던 손전체 회전과 중지손 클릭 중 손전체 회전이 60%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중지손 클릭은 선택과 하단 이동이 73%로 설정 탐색의 요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실행 요소로 제시했던 손전체 두번 클릭은 27%의 낮은 검증 결과가 도출되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n Scheduling-enabled App for Playing Sound Effects (스케쥴링이 가능한 효과음 재생 앱의 개발)

  • Kim, Sung-Wan;Lee, Han-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79-182
    • /
    • 2012
  • 스마트 기기의 보급률 향상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 혹은 앱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동물 소리, 자연의 소리 등의 효과음을 선택 및 재생할 수 있는 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앱들은 제공되는 효과음 중 특정 효과음만을 선택하여 1회 단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효과음들을 미리 선택하여 등록하였다가 재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효과음 재생 앱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앱은 업무 특성 상 사전에 필요한 효과음들을 특정 시나리오에 따라 순차적으로 미리 선택 및 등록하여 재생이 필요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ARWand based Interaction Method for In-situ Augmented Reality Authoring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웨어러블 증강현실 환경에서 In-situ 증강현실 저작을 위한 ARWand 기반 상호작용 방법)

  • Ha, Tae-Jin;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33-435
    • /
    • 2012
  • 웨어러블 증강현실 환경은 동적으로 움직이는 HMD와 ARWand로 인한 시스템 오차와 사용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3차원 공간 상에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3D 객체를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6 DOF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HMD, ARWand, 3D 객체간의 기하정보를 기반으로 3D 객체의 선택 확률을 모델링하고,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최고의 선택 확률을 가지는 3D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근/원거리에 위치한 3D 객체를 효율적으로 조작하기 위해서 ARWand의 조작-디스플레이 맵핑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3D 객체의 자연스러운 6 DOF 직접-간접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에머지(Emergy) 개념을 이용한 산지가치의 계량화에 관한 연구

  • Kim, Nam-Guk;Kim, Jin-Lee;Lee, Seok-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4
    • /
    • 2006
  • 종래의 개발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개발로 인한 경제적 효율성과 편리성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 및 생태계 파괴이다. 이로 인해 개발과 보전은 양립할 수 없는 상반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개발론과 보전론의 대립적 구도가 지속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 이상이 산지이기 때문에 산지의 부분적 개발은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인 동시에, 산지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서 생태계 보전이 필수적인 지역이다. 이러한 산지 개발과 보전에 대한 상반적 이해를 통합하여 자연과 인간의 공생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사람과 생태계 그리고 자연을 하나로 보는 총체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의 정량적인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시 공간적으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에머지 개념을 통해 산지 본래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에머지 개념은 그 동안 생태계가치평가, 개발사업의 편익-비용평가, 환경수용력 평가, 개발대안 평가, 환경계정, 환경훼손 소송관련 비용 평가 등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평가 방법을 통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산지뿐만이 아닌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의 선택과 이의 이행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연환경 가치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서 우리는 한층 더 자연환경 및 자원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자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measured by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methods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 Kim, Bum-Suk;Shin, Soo-Yeon;Lee, Jong-Hyuk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6 no.5
    • /
    • pp.443-454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A clinically successful color mat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to get an esthetic dental restoration. Dental shade guides are commonly used to evaluate tooth color in restorative procedure. But numerous reports have indicated that common shade guides do not provide sufficient spectral coverage of the natural tooth colors. To address issues associated with the shade guide, distinct avenues have been pursued objective spectrophotometric / colorimetric assessment.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of tooth color selection of spectrophotometer with that of human visual determination. Three main factors were investigated, namely, the effect of light, the individual varia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observer. Material and methods: At the first experiment, on ten patients, one operator independently selected the best matching shade to the unrestored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a Vita Classical Shade Guide in the morning, at noon and in the afternoon. The same teeth were measured by means of a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At the second experiment, on ten patients, ten operators (5 experts, 5 novices) selected and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bove at noon. At the third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econd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t and novice, and analyzed. Result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assessment (mean ${\Delta}E$ values) in experiment 1, 2, 3 (P < .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novices group, when comparing with each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assessment (mean ${\Delta}E$ values). Conclusion: Spectrophotometer could be used to analyze the shade of natural tooth objectively. Thereby, this method offers the potential tominimize considerably the need for corrections or even remakesafter intraoral try-in of restoration. Furthermore, to achieve its advantage, both the shade-matching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dentist and technician should be optimized with use of visual and instrumental shade-matching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