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마을

Search Result 2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하동송림의 사회적 기능변화와 관리문제

  • Park, Gu-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5-49
    • /
    • 2005
  • 최근 해안송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를 효과적으로 보전, 활용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해안송림이 어떻게 변천되고 지역에 어떻게 기능해 왔는지 아직 알려지고 있지 않다. 본고는 해안송림의 기초연구로서, 하동송림을 대상으로 이러한 해안송림의 사회적인 기능과 관리문제를 검토한 것에 있다. 하동송림을 사례로 조사한 결과, 해안송림은 송림이 지역과 밀착함으로써 주민의 레크레이션기능은 물론 외부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지역발전의 중요한 소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안 송림이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히 연관되고 지역발전의 한 축으로서 기능하면서, 송림에 대한 관리 및 주체의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발전의 실질적 기능 및 자연스러운 관리의식의 고양은 일반 공원이나 원거리 해안림 등에서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서, 마을 숲(해안송림 등)이 갖고 있는 하나의 중요한 잠재력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관리측면에서는 하천오염이 해결되지 않고, 송림확장계획이 중지되고, 소나무재선충 방지책에 의문에 제기되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발생의 원인으로는 해안송림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부족, 책임 있는 관리주체의 부재, 구체적인 연구의 부족 등이 검토된다. 해안송림의 기능과 식생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는 것에 있어, 변화에 대응하는 개발논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성을 일반적 임업관리나, 시설보수 차원에서의 접근은 소중한 지역의 자산과 발전기회를 잃은 거와 다르지 않다. 소중한 지역자원의 가치를 빛내고,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파지티브한 관리 및 활용 정책이 요구되는 것에 있고, 이를 위해서는 책임 있는 관리주체를 조직하는 것과 함께, 토지사병에 기초한 송림의 이용 및 식생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Transitions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ies: From 1960s to the Present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 Yoon, Won-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7 no.2
    • /
    • pp.279-304
    • /
    • 2010
  • 한국의 농촌개발정책은 지난 50년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농촌개발정책은 국내외의 정책 환경인자와 관련성을 맺는 가운데, 농업 농촌이 처한 시대별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농촌개발정책은 1960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 동안에 4단계의 시기별, 정책구성요소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이념이 효율성에서 형평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농촌개발정책은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촌지역은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농촌은 곧 마을이라는 으로 변화되고, 농촌의 소도읍이 새로운 농촌지역의 삶의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되던 정책이 인근의 도시와 연계를 맺는 방향 공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서 비농업부문의 개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농업과 공간정책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농촌개발과 관련이 있는 중앙정부 부처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수직적 수평적인 분권화와 협치 체제의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의 고유성과 지역단위사업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지역단위 계획제도의 정착과 이를 현실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집단적 과제 수행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 양상

  • Jeong, Won-Yeong;Sin, Hyeon-Jeong;Lee, Go-Eun;Cha, Hyeon-Jeong;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5-25
    • /
    • 2010
  • 본 연구는 에너지와 물질 순환을 주제로 한 대학생들의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집단 내 구성원에게 개별적인 역할이 주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제가 부여되었을 때, 집단 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역할의 종류를 상호작용 기능과 양상에 따라 유형화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9명의 환경 교육 전공 대학생으로, 2008년 11월에 열린 한중일 환경교육 캠프에 참여한 한국 학생들이다. 캠프 활동 중 하나로 충남 홍성 문당리 환경농업마을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발표하는 활동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발표를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연구 맥락으로 하였다. 그리고 약 2시간에 걸친 과제 수행 과정을 촬영 후 전사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관련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 자료에의 적용 및 수정을 통해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를 코딩하기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그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는 대화를 분석의 단위로 정하였다. 대화 단위별로 구성원 간 말차례가 오고간 모습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대화 패턴을 분류하였으며, 대화를 말차례별로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라 코딩화하였다. 화살표로 도식화된 대화 패턴과 상호작용 코딩 결과에 따라 집단 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원의 역할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이렇게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학생들에 의해 자생되는 역할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유형화해봄으로써 협동 학습이나 토의 활동 등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한 과제 수행에 있어서 학생이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Applications of Spelaeology Related with Traditional Foods -Centering around the Traditional Ripe Foods and Artificial Cave Applications- (전통식품과 동굴과학 -전통(傳統) 숙성식품(熟成食品)과 인공토굴(人工土窟) 응용기술 중심-)

  • Soh, Hyun-Jin;Hong, Yong-J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9
    • /
    • pp.65-72
    • /
    • 2007
  • 인공토굴(人工土窟) 숙성식품의 장기가공보관 수단의 원조로 자리 잡아, 광천옹암리 토굴이 전통식품 산업의 지혜와 관광산업의 역동으로 변신하고, 인공 굴은 폐광토굴에서 농산물저장을 위한 인공제작 굴의 활용기술로 이어져 산업화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공토굴중의 하나는 광천토굴이며, 마을뒤편 야산에 활석암으로 된 암반을 굴착한 토굴이다. 폭과 높이가 각각 2m 정도, 200여 m의 토굴 속에 수많은 젓갈을 담은 드럼통을 저장하여 숙성, 발효시킨다. 젓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산발효식품이며, 어패류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가해 자가소화효소 및 미생물분해 작용으로 알맞게 숙성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젓갈은 일종의 균 식품으로 식품을 발효시킴으로써 독특한 맛과 향 영양을 갖게 되며, 빵, 요구르트, 장류(간장 된장 등), 김치, 막걸리, 동동주, 식혜뿐 아니라 심지어는 버섯조차도 균 식품에 해당한다. 특히 어패류를 염장 발효시켜서 독특한 감칠맛이 나도록 한 우리나라 특유의 저장식품으로 예로부터 기호식품, 조미료 및 김치의 재료로서 널리 식용되어 왔던 양질의 단백질인 동시에 칼슘과 지방질 공급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상품화된 자연친화적 농산물저장 굴로 사용되는 인공토굴도 등장하였다. 그것은 타공판과 흙을 이용한 생태환경지중건축물(生態環境地中建築物)로서 우리조상들이 오래전부터 지열을 이용하여 주거와 농산물을 저장하였던 재래식 토굴을 현대화시킨 구조물의 지중저장토굴 공간이다.

An Analysis of the Heterogeneity in Tourists' Route via the Space Syntax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관광객 동선의 이질성 분석)

  • Kim, Seonghun;Choei, Nae-Yo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1 no.3
    • /
    • pp.39-48
    • /
    • 2020
  • Gamcheon village was a poor village in the past, but it recently has boomed as a representative tourists' attraction in the region. Its unique topography and histor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own's growth as a famous tourists' attraction. The factors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formation of a special spatial structure there. In the process of the town's rapid development as a tourists' destination, however, the tourism overflowed. As such, the interest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conflicted, and the segregation between the two has augmented. These gaps seem to have enormously distorted the perception of the spaces as much as they have seriously distracted the existing traffic circulations in the vil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patial perception of both residents and tourists in the Gamcheon village. For the purpose, it assumes the residents' natural movements and the tourists' purposeful movements, and they are analyzed by the space syntax. The major findings are that the circulation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in the village are clearly separated and that the two groups perceive the same space completely differently. This confirms the fact that even the same space could be recognized and used in a totally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s.

A Study on the Documenting of Local Food Culture : Focused on the Natural Village of Gwangmyeong City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명시 자연마을을 중심으로)

  • Jo, Hae Yeong;Lee, Young Ha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0
    • /
    • pp.195-237
    • /
    • 2019
  • The food culture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and the lifestyle and values of its members. So It is one of the most revealing elements of local identity. Such a food culture has an intangible form, such as memories and customs related to food, and is an area that is likely to disappear if not recorded and preserved. Based on th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documentation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In addition, we sought ways to manage and utilize the collected and produced records. Therefore, we suggested the method of documenting the local food culture, along with proposed managing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recorded region and utilizing it in the academic and cultural aspects.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s response plan between uppermost stream and intake station (상류부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가뭄 대응방안 구축)

  • Shin, Jieun;Kim, J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4-344
    • /
    • 2021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이상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 공급 소외지역의 경우 가뭄으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특히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수도시설에 의존하는 최상류부 유역의 취수원은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강원도 춘천시 물로천의 제1지류 유역으로 주민들이 하천 계곡수를 생활용수의 주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당지역은 갈수기에 생활용수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가뭄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 다단식 Sand댐을 설치할 예정이다. 현장조사 결과 물로천의 물은 취수조로 일부 유입되며, 자갈 등을 이용하여 부유물 등이 필터링되어 물탱크로 흘러내리며 중력에 의해 각 가정으로 자연 유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하천, 취수조, 물탱크 3개 지점에 압력식 자동 수위 관측기를 설치하였으며, 2시간 간격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매달 유속 측정을 통해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도출된 일별 유량 자료와 SWAT 모형의 매개변수 검·보정한 후 이를 장기간으로 확장 적용하여 약 10년간의 장기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일별 장기 유출량 자료를 통해 평균 유량 감수곡선과 감수곡선식을 도출하였고, 무강우에 따른 최대 공급가능일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하천 유량에 따른 공급가능일수 등을 제시하여 가뭄 취약지역의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가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추후 Sand댐 건설 전후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규모수도시설의 가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체계 및 대응 방안을 구축하였다.

  • PDF

Analysis of Landscape According to Land Use at Rural Area in Korea Using GIS Application (GIS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경관유형 분석)

  • Hong, Seung-Gil;Seo, Myung-Chul;Jung, Pil-Kyun;Sonn, Yeon-Kyu;Park, Kwang-Lai;Kang, Kee-Ky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9 no.1
    • /
    • pp.1-7
    • /
    • 2006
  • To designate rural landscape spatially, land use and topographic features for 383 of "Ri"s or "Dong", which is a basic administrative unit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GIS application. We have categorized rural landscape into three types such as agricultural, natural and urban landscape by land use. On the basis of spatial landscape pattern, rural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6 groups of Mountainous area (MA), Mountainous village area (MV), Developing mountainous village area (DM), Plain agricultural area (PA), Developing plain village area (DP) and Urbanized area (UA) according to the ratios of land for agricultural and urban use as the criteria. In MA, the ratio of upland area including orchard wa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paddy, while that of paddy was about 1.5 times larger than upland in other groups. Forested area was distributed more than two-thirds among natural landscape area in MA, MV and DM. In plain types (PA and DP), the ratio of irrigated paddy was extremely larger than partially irrigated paddy and the ratio of water body area among the natural landscape area was two times as large as that of forested area. The ratio of land for industrial and livestock facilities among urban landscape area were 20% or more in MV, DM and DP, and it means that these facilitie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developing ru ral area where residents and industry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lative ratio of sloped land of 6 categorized areas, the MA area have lots of land with E and F slopes and MV and DM have all grades of sloped land evenly distributed in relative to other types of rural landscape. It has been showed that PA, DP and UA occupied more than two-thirds of land with A or B slope. In case of the analysis of topological distribution in 6 types of rural landscape, there were overwhelmingly lager highland areas in MA. Conclusively, we have confirmed that 6 types of rural landscape classified by land use pattern in 3 categorized areas such as agricultural, natural and urban landscape area would be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rural area.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he preservation of rural amenity, proper management ways should be properly applied according to rural landscape patterns.

A Study on the Meaning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of Yoohoedang Garden(Hageowon : 何去園) of Byulup(別業) Type Byulseo(別墅) (별업(別業) '유회당' 원림 하거원(何去園)의 의미경관 해석과 환경설계기법)

  • Shin, Sang-sup;Kim, Hyun-wu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2
    • /
    • pp.46-69
    • /
    • 2013
  • The results of study on the meaning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of the Byulup, Yoohoedang garden(Hageowon) based on the story in the collection of Kwon Yi-jin (Yoohoedangjip, 有懷堂集), are as below. First, Yoohoedang Kwon Yi-jin (有懷堂 權以鎭 : 1668~1734) constructed a Byulup garden consisting of ancestor grave, Byulup, garden, and a school, through 3 steps for 20 years in the back hill area of Moosoo-dong village, south of Mountain Bomun in Daejeon. In other words, he built the Byulup(別業, Yoohoedang) by placing his father's grave in the back hill of the village, and then constructed Yoegeongam(餘慶菴) and Geoupjae(居業齋) for protection of the pond(Napoji, 納汚池), garden(Banhwanwon, 盤桓園), and ancestor graves, and descendants' studying in the middle stage. He built an extension in Yoohoedang and finally completed the large-size garden (Hageowon) by extending the east area. Second, in terms of geomancy sense, Yoohoedang Byulup located in Moosoo-dong village area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including all space elements such as main living house (the head family house of Andong Kwon family), Byulup (Yoohoedang), ancestor graves, Hagoewon (garden) and Yoegeongam (cemetery management and school) which byulup type Byulseo should be equipped with. Thirdly, there are various meaning landscape elements combining the value system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value, including; (1) remembering parents, (2) harmonious family, (3) integrity, (4) virtue, (5) noble personality, (6) good luck, (7) hermit life, (8) family prosperity and learning development, (9) grace from ancestors, (10) fairyland, (11) guarding ancestor graves, and (12) living ever-young. Fourth, after he arranged ancestor graveyard in the back of the village, he used surrounding natural landscapes to construct Hagoewon garden with water garden consisting of 4 mountain streams and 3 ponds for 13 years, and finally completed a beautiful fairyland with 5 platforms, 3 bamboo forests, as well as the Seokgasan(石假山, artificial hill). Fifth, he adopted landscape plantation (28 kinds; pine, maple, royal azalea, azalea, persimmon tree, bamboo, willow, pomegranate tree, rose, chinensis, chaenomeles speciosa, Japanese azalea, peach tree, lotus, chrysanthemum, peony, and Paeonia suffruticosa, etc.) to apply romance from poetic affection, symbol and ideal from personification, as well as plantation plan considering seasonal landscapes. Landscape rocks were used by intact use of natural rocks, connecting with water elements, garden ornament method using Seokyeonji and flower steps, and mountain Seokga method showing the essence of landscape meanings. In addition, waterscape are characterized by active use of water considering natural streams and physio-graphic condition (eastern valley), ecological corridor role that rhythmically connects each space of the garden and waterways following routes, landscape meaning introduction connecting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values including Hwalsoodam(活水潭, pond), Mongjeong(蒙井, spring), Hosoo(濠水, stream), and Boksoo(?水, stream), and sensuous experience space construction with auditory and visualization using properties of landscape matters.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name and Scale of Space Surrounded with Hills - Focused on Jinan-gun in Jeollabukdo - (지명과 지형적 위요(圍繞) 및 공간규모 인식의 관계 - 전북 진안군을 중심으로 -)

  • Lee, Jin-Dong;Kim, Jung-Kyu;Jung, Tae-Yeol;Kim, Yu-Il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1
    • /
    • pp.81-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ne of the standard scales of outside space. Fortunately, Korea has interesting old geographical name representing the environment where people feel comfortable by being enclosed by hills or mountains like in a room. The name of Chinese letter "谷" meaning valley is enunciated as "Gog", and Korean native equivalent word is "Sil." We thought we can find the standards of scale of the villages with name that ends with "Gog" or "Sil" by examining the scale of the village of the certain geographical name. We could collect 33 village's geographical names in Jin An Gun area, examined the scale, and considered the results from various aspects. The main conclusions are following: 1) Almost of the 33 villages with geographical names of "Gog", or "Sil" were surrounded by the hills of mountains, and the scales of the spaces surrounded were roughly 10~25ha. 2) Our ancestors felt comfortable be being enclosed with hills or mountains like in a room, and they have recognized the certain scale of the enclosed spaces. 3) After converting the 33 areas into squares for convenience, the scales of the spaces with the geographical name of "Gog" or "Sil" were roughly $300m{\times}300m{\sim}500m{\times}5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