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광 유입 시스템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Performance Evaluation of Solar Mirror Sunlighting Systems (반사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성능 평가)

  • Lee, Beom-Seok;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37
    • /
    • 2005
  •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자연광의 유입이 어려운 공간에 주광을 유입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인간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등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 도입 및 확대가 크게 기대 되는 장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건축물 적용시의 채광성능을 평가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의 설치는 2004년 10월 25일 (주) 동아산전과의 공동작업으로 설치되었으며, 수원에 있는 K대학 공과대학 5층 옥상 파라펫에 설치하였다. 평가실험은 2005년 4월 5일 9시30분부터 15시30분까지 청천공 상태에서 실시하였고, 총32개의 측정점을 선정하여 주광조도비로 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반사거울을 설치 시 창이 있을 경우 실내의 주광조도비는 평균 20.3[%] 상승하였고 창을 제거할 경우 실내의 주광조도비는 평균 38.2[%]정도 상승하여 채광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 및 옥외의 음영진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Control System based on Natural Light Change for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을 위한 자연광 변화 기반 LED 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Hwa-Soo;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307-1310
    • /
    • 2012
  • 최근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도심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지하공간의 개발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지하공간은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상 자연채광의 유입이 불가능한 구조로서 지하 거주자의 심리적,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므로 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간의 질적 제고가 선행되어야 한다. 빛과 조명은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거주자를 위해 건강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생체리듬과 부합하는 자연광과 유사한 광 환경(색온도, 조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하공간을 대상으로 인공조명의 광 환경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빛과 유사하게 서비스하기 위한 LED제어시스템을 개발한다.

Application Experiment of Mirror Sunlighting System to House (반사거울형 태양광채광시스템의 주택적용 실험)

  • Jeong, In-Young;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57-60
    • /
    • 2005
  • 자연채광은 실내공간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며, 재실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적인 측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에 반사거울형 태양광채광시스템은 도시가 과밀하고 고층화됨에 따라 자연채광의 도입이 어려운 실내공간에 태양광을 도입할 수 있는 자연에너지 활용장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태양광채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주거건물 옥상에 1차반사거울을 설치하고, 반지하의 상부에 2차반사거울을 설치하여 거실공간에 태양광을 유입하였다. 시스템 미설치시와 설치시에 대한 거실의 바닥면조도와 외부조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외부조도에 대한 내부조도의 비율인 주광조도비를 분석하고, 증감율을 구하여 반사거울형 태양광채광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채광성능평가 결과 채광시스템의 설치로 인한 실내 주광조도비는 평균 $80{\sim}1,400%$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창면부에 비해 실의 후면부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채광성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험한 반사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주거건물에서의 적용이 용이하고 높은 채광성능을 제공할 수 있어 실내 빛환경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Energy Saving according to Control Method of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Daylight (자연광을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에너지 절감률 분석)

  • Moon, Seung-Mi;Kwon, Sook-Youn;Im, Kyoung-Mi;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462-464
    • /
    • 2012
  • 최근 건물 내 에너지 소비량의 30%를 점유하고 있는 조명 에너지 절감을 위해 자연광을 이용하여 인공조명의 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명 에너지 소비 절감 및 재실자의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해 조명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Relux를 이용하여 소규모 사무 공간을 3D로 모델링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간대별 자연광의 유입량에 따라 조명장치를 점멸제어, 조광제어, 스텝제어의 다양한 제어방법을 적용하여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각 제어방법에 따른 에너지 절감률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광제어가 60.5%로 가장 높은 에너지 절감률을 보였다.

Study on the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of State-of-the-Art Daylighting Design Cases -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Multi-Family housing - (최신 자연채광 디자인 사례들 분석 및 그 적용에 관한 연구 - 미국 LEED 인증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

  • Yoon, Hea-Ky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2 no.1
    • /
    • pp.265-27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of-the-art daylighting design among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multi-family housing cases and to explore the feasibilities for their applications in domestic housing design. Occupants in multi-family houses are reported to consume more electricity power than those in single houses. That may imply the problems of daylighting design in domestic housing design for multi-family houses have better insulation system and less windows and outside walls than single houses. Therefore two systems, daylight delivery system and daylight control system, are scrutinized for daylighting design with LEED cases. The findings show when windows as a daylight delivery system are combined with overhangs, fins, louvers, fenestration materials, speciality fenestration, or interior controls as a daylight control system, the outcome goes with more energy savings and better facade design. Beside those, lightshelves as a daylight delivery system seem to have potentials in domestic multi-family houses with deep plans and less outside walls. Daylighting designs in domestic multi-family houses need to pursue available options more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energy and aesthetics values.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solar tracking daylighting systems (추적식 자연채광시스템 현황 및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Won Sik;Jeong, Hae Jun;Chun, Wongee;Han, Hyun Joo;Lim, Sang H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4
    • /
    • pp.62-73
    • /
    • 2016
  • Daylighting systems offer substantial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ones in illuminating the building interior. Especially, considering that lighting accounts for about 28% of total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the use of daylighting systems deem very important in lessening the dependency on artificial lighting. This work has carried out a survey and analys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various daylighting systems with solar tracking features recently introduced in Korea.

Building Energy Savings due to Incorporated Daylight-Glazing Systems (통합 채광시스템의 건물 냉난방 에너지 성능평가)

  • Kim, Jeong-Tai;Ahn, Hyun-Tae;Kim, G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6
    • /
    • pp.1-8
    • /
    • 2005
  • The quantity of light available for a space can be translated in term of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through a process of a building energy simulation. To get significant energy savings in general illumination, the electric lighting system must be incorporated with a daylight - activated dimmer control. A prototype configuration of an once interior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integration between the building envelope and lighting and HVAC systems is evaluated based on computer modeling of a lighting control facility. First of all, an energy-efficient luminaire system is designed and the lighting analysis program, Lumen-Micro 2000 predicts the optimal layout of a conventional fluorescent lighting future to meet the designed lighting level and calculates unit power density, which translates the demanded met of electric lighting energy. A dimming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the contribution of daylighting has been applied to the operating of the artificial lighting. Annual cooling load due to lighting and the projecting saving amount of cooling load due to daylighting under overcast diffuse sky m evaluated by computer software ENER-Win. In brief, the results from building energy simulation with measured daylight illumination levels and the performance of lighting control system indicate that daylighting can save over 70 percent of the required energy for general illumination in the perimeter zones through the year A 25[%] of electric energy for cooling and almost all off heating energy may be saved by dimming and turning off the luminaires in the perimeter zones.

Assessing the Economic Benefit of Diverse Drought Mitigation Strategies for Korean Reservoir Systems Based on Simulated Inflow Sequences (유입량 모의 기법을 활용한 국내 다목적댐의 가뭄 대책별 경제성 평가)

  • Sukwang Ji;Kuk-Hyun 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79-379
    • /
    • 2023
  •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해 진행 속도는 느리지만,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을 지녀 경제·사회·환경 전반에 막대한 규모의 피해를 유발하는 심각한 자연재해이다. 국내 가뭄의 발생 빈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가뭄의 발생 빈도와 강도는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댐 가뭄 단계별 실행계획'을 가이드 라인으로하여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가뭄 대책의 경제적 편익 산정은 물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 평가 및 정책의 개정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기초연구 중 하나이지만, 가뭄 대책의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위치한 17개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가뭄 대책의 시행에 따른 경제적 편익을 산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는 가뭄 대책의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제적 편익의 산정은 용수의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추정하였으며, 개별 가뭄 대책에 따른 용수별 공급량 가능량을 계산하기 위해 각각의 저수지 운영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편익 산정 과정에서 부족한 시계열 자료로 인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다양한 가뭄 환경에서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해 추계학적 기법을 활용한 모의 유입량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가뭄 대책별 경제적 효용은 향후 물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Differentiated Daylight-Glazing Systems (가변 투과시스템의 광제어 특성을 고려한 통합 채광시스템의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Gon;Kim, Jeong-T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2
    • /
    • pp.13-22
    • /
    • 2005
  • This research aimed to generate two points of daylighting application as follows: 1) providing daylight performance data with a variety of glazing materials for a large window and 2) designing and evaluating an experimental type of differentiated window.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the daylight and distribution performance of new defined type of window configuration to the conventional window counterpart with a variety of glazing materials. The comparison was made for a deep, south-facing perimeter zone with large window, without any interior obstruction. The conventional window is the base single homogeneous glass pane, where as the differentiated window uses of two different glazings; an upper daylight glazing with high visible transmission and lower view window with lower transmittal glass. The daylight performance data was translated into a ratio between outdoor illuminance and the interiors. The simulated analysis of the conventional window indicates that the interior light levels have been changed proportionally dependent on the transmittance of the applied glass. The comparison of daylight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ifferentiated window has lots of photometric advantage by the optical function of upper daylight window. In particular, the contribution of higher daylight window into deep rear space must be stressed for daylighting application.

Reduction of the Nitrogen in the Secondary Effluent by the Hybrid Sequential Aerobic-Anoxic Natural System (자연현상을 이용한 질산화-탈질공정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질소제거)

  • Kim, Young-Chul;Chung, Paul-Gene;An, Ik-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3
    • /
    • pp.323-329
    • /
    • 2005
  • In this paper, performance of a hybrid sequential aerobic-anaerobic natural system was investigated. Continuous aerobic and anoxic conditions were created by alternatively placing waste stabilization pond (WSP) and wale. hyacinth pond (WHP). Two pilot-scale treatment lines were built and operated; The first consists of WSP integrated with WHP and the second of WSP connected with Dark Pond(DP), namely control system ponds which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ater hyacinth on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he overall performance in nitrogen was 86% reduction in WSP-WHP and 36% in WSP-control pond system. Nitrogen was mostly removed by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which simultaneously occurred in the same water hyacinth ponds. For the de-nitrification, benthic layer was found out to be adequate support as a carbon source. In addition, WSP-WHP system was very effective in reducing phosphorus. Overall P removal efficiency in WSP-WHP is 81%, while it is only 16% in WSP-control. difference in phosphorus reduction between those two systems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plants and probably their roots producing extra-cellular materials, but these aspects need to be further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