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세재현성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4초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차이 및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uiding methods for natural head posture in cephalometrics)

  • 송진명;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41-350
    • /
    • 2005
  • 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는 매 촬영 시마다 두부의 수직적 회전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두부자세의 재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수직적 두부회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 두부자세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대 성인 남녀 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과 self balance posture를 이용한 방법(SBP법)으로 자연두부자세를 유도하여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각각 한 달 간격으로 촬영한 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상에서 유도 방법에 따른 수직적 두부회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한편,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방법으로 유도하여 촬영한 두 사진 상의 동일 계측항목 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각 두부자세의 유도방법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SBP법으로 유도한 자연두부자세는 HPA법에 의해 유도된 자연두부자세보다 평균 $2.79^{\circ}$ 고개를 숙인 자세로 나타났다. 또한 HPA법 또는 SBP법을 이용하여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2회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상의 계측치는 모든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HPA법과 SBP법으로 유도한 자연두부자세가 모두 재현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HPA법과 더불어 SBP법도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 PC-CRASH의 주요 충돌 인자 설정 (Establishment of Important Impact Parameters of Traffic Accident Reconstruction Program "PC-CRASH")

  • 하왕수;한석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5-164
    • /
    • 2003
  • 현재 국내에서는 교통사고 재현 방법이 노면 흔적물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고, 노면 흔적물이 없는 경우 교통사고 재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외국에서는 충돌모델을 이용한 교통사고 재현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 PC-CRASH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사고마다 알맞은 충돌특성 인자 값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활용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제 발생된 교통사고 사례에 대해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인 PC-CRASH와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충돌 인자들로 교통사고를 재현하였고, 차량의 최종위치간 거리와 자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실제 역 해석을 하기 위해 차량의 최종위치와 자세만으로 각각의 사례에 적절한 인자값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구성하였고, 통계적으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사고 재현에 필요한 주요 충돌인자들의 초기치 설정시 추정식을 이용할 경우, 사고 재현 프로그램 활용 시, 시간 단축 효과를 프로그램 내부에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반복횟수로 추정식의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체질량지수(BMI)와 방사선 치료 시 직장암 환자의 자세 오차 분석 (Analysis of Body Mass Index on Set Up Errors Rectal Cancer in Radiotherapy)

  • 심재구;정홍량;서정민;박병석;장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2
    • /
    • 2013
  • 방사선 치료를 받는 모든 환자의 경우 먼저 모의 치료를 시행한 후에 동일한 자세로 방사선 치료를 실시한다. 이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자세의 재현성이다.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에도 모의 치료와 동일한 자세 유지가 요구되어진다. 하지만 호흡 및 환자의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자세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 중에 환자의 체지량 지수 차이에 의한 자세 재현성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자세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부정교합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according to the skeletal malocclusion types and sex)

  • 김하란;이동렬;김광원;윤영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7-315
    • /
    • 2000
  •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시 이용되는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격성 부정교합의 형태와 성별에 따른 두부위치의 재현성을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90명을 대상으로 자세변수 6항목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남,녀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2.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각 부정교합군과 전체 표본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method error를 이용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모든군에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골격성 부정교합의 양상과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는데, 이는 자연두부위치를 이용한 많은 연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교정적 문제와 관련된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그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보조기구를 이용한 DR System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Utilize the DR System using Assistive Devices)

  • 서선열;김정호;이진옥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5-122
    • /
    • 2023
  • 엉덩관절 고정기구는 골밀도 검사 및 미세골절, 관절염의 진단 시 내회전을 위한 중요 고정기구입니다. 이러한 고정기구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재현성 유지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엉덩관절 고정기구를 개발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습니다. 방사선과 재학생 30 명을 대상으로 기존과 개선된 고정기구를 적용하여 자세잡이 소요시간과 의료영상을 통한 재현성을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도 평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기존 고정기구에 비해 개선된 고정기구는 자세잡이 시간은 약 32%의 감소를 보였으며, 재현성은 약 6.2 배 향상되었습니다.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량은 자세잡이 시간은 기존 고정기구는 증가된 반면 개선된 고정기구는 감소되었으며, 재현성은 개선된 고정기구보다 기존 고정기구가 더 저하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개선된 고정기구의 사용을 통해 영상의 질 향상과 방사선사의 업무부담 감소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Arm-up holder의 보조기구 제작에 따른 유용성 평가

  • 이현직;최병기;심재구;김종식;오동균;박영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5-88
    • /
    • 2002
  • I. 목적 : arm-up holder는 흉부 및 복부 질환 치료의 환자고정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손잡이 부분과 어깨가 닿는 부분까지 거리 때문에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특히 긴장을 많이 하거나 기력이 없는 환자는 방사선 치료 시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치료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arm-up holder에 팔의 지지를 위한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II. 대상 및 방법 : 기존의 arm-up holder에 어깨받침대를 부착하여 개선된 arm-up holder를 제작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기존의 arm-up holder를 사용하는 환자그룹과 개선된 arm-up holder를 사용하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자세 변화를 평가하였다. 두 그룹의 환자를 대상으로 모의 치료를 실시한 후 치료실에서 L-gram 을 2회 씩 촬영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portal film과 isocenter의 변화를 측정했다. 각 그룹 당 10명씩의 환자를 선정하여 반복 조사하였다. III. 결과 : 개선된 arm-up holder를 사용한 그룹의 isocenter 의 변화는 최대 2mm, 최소 0.5mm 평균 1.2mm 이다. 기존의 arm-up folder를 사용한 그룹과 비교하여 평균변화는 약 2배로 나라났고, 최대 변화는 2.5배의 오차범위가 측정되었다. IV. 결론 : 현재 사용하고 있는 arm-up holder는 흉부 및 복부의 사방향 방사선 치료 시 팔에 의한 방사선 감약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정용구이다. 하지만 팔을 올리고 있는 자세는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 시키며 이로 인한 치료의 정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arm-up holder에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set-up 의 안정성과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방사선치료 시 환자자세 검증을 위한 분석용 도구 개발 (Patients Setup Verification Tool for RT (PSVTS) : DRR, Simulation, Portal and Digital images)

  • 이석;성진실;권수일;추성실;이창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00-106
    • /
    • 2003
  • 목적 : 네트워크를 이용해 영상수집을 하여 방사선치료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계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및 환자자세의 재현성을 확인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y, DRR) 영상과 투과 영상인 모의치료영상, 상용전자포탈 영상장치에서 수집한 포탈영상 밑 CCD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조작할 수 있는 분석용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제작툴인 IDL(IDL 5.4, Research systems, USA)을 이용해 작성하였다. 이를 환자자세 검증도구(patients setup verification tool for RT, PSVTS)라 명명하였다. 기계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확인은 전산화단층촬영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DRR 영상과 모의치료영상을 이용하여 위치변위를 분석함으로써 치료조준오차를 구하였다. 환자자세의 재현성 확인은 첫 치료 시에 얻은 포탈 영상과 매 치료 시마다 얻는 포탈영상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과 디지털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시 요구되는 기계 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및 환자자세의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편의방식의 소프트웨어와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였다. 종양중심점과 기계중심점의 일치여부 확인 결과 치료조준오차는 두경부에서 전후, 좌우 각각 0.8$\pm$0.2 mm, 1.0$\pm$0.3 mm이었고, 골반부에서 1.1$\pm$0.5 mm, 1.0$\pm$0.6mm이었다. 환자자세 재현성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환자 자세 위치 변화를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실용성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환자자세의 재현성 및 종양중심점과 기계중심점의 일치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였고, DRR 영상의 질 증진, 사용자편의방식의 소프트웨어를 보완한다면 임상응용에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Outer Canthus Indicator를 이용한 두부 자세 기록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head posture obtained by the outer canthus indicator)

  • 김영재;손병화;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7-86
    • /
    • 2010
  • 두부방사선 사진 채득 시 발생가능한 두부의 수직회전은 계측점 선정 및 계측치의 재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진단자료의 객관화 및 중첩의 용이성을 위해 두부 회전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조직 계측점인 외안각(outer canthus)을 지표로 두부 자세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방법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상 안모의 성인 남녀 21명에서 두부고정기에 부착한 Outer Canthus Indicator (OCI)를 이용하여 벽면응시를 통한 두부자세에서의 외안각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초진 시 두부자세에서 측모 광학 사진을 촬영하고 이틀 후 같은 계측치로 두부자세를 재현하여 얻은 두 장의 사진을 중첩하여 두부의 수직 회전과 외이도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두 명의 술자가 동일 과정을 반복했을 때 두부의 수직 회전은 각각 평균 $0.69\;{\pm}\;0.43^{\circ}$, $0.98\;{\pm}\;0.65^{\circ}$, 표준오차 0.09, 0.14로 나타났다. 외이도의 수평변위는 각각 평균 $0.90\;{\pm}\;0.72\;mm$, $0.72\;{\pm}\;0.55\;mm$, 표준오차 0.16, 0.12이고 외이도의 수직변위는 평균 $0.81\;{\pm}\;0.68\;mm$, $1.17\;{\pm}\;0.67\;mm$, 표준오차 0.15, 0.15이었다. 술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paired t-test에서 변수들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Pearson 상관분석에서 외이도의 수평 변위와 수직 변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OCI가 두부의 수직 회전에 의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규격화되고 상호 중첩 가능한 방사선 사진 및 광학 사진 자료를 채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복 회음부 절제술 환자를 위한 고정용구 제작 및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the custom made immobilization device for the anteroperitoneal resectio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 양오남;이우석;홍택균;조영필;윤화룡;김정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5
    • /
    • 2003
  • I. 서론 및 실험목적 방사선 치료에 있어 환자의 고정(immobilization)은 치료의 성적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방법이 수없이 변화하고 발전을 거듭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과제로 남아있는 것이 환자를 고정하는 것과 재현성의 유지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원에서는 직장암 환자 중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에 있어 setup의 재현성을 유지하여 보다 정확한 치료를 위해 본 고정용구를 제작하였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대상 및 실험방법 본원에서 치료를 받고있는 직장암환자 중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병변 부위의 해부학적인 정보를 기본으로 고정용구를 제작하였다. 자체 제작한 고정용구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Setup의 재현성과, 변화 및 오차를 비교분석 하였다. III. 결 과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 중 고정용구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는 set-up 후 일정시간에 $5mm{\sim}1cm$ 내외의 Set-up의 변화 및 오차가 발생하였고, 고정용구를 사용한 환자의 경우는 set-up 의 변화 및 오차를 수mm이내로 줄임으로써 재현성의 유지가 가능하며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의 불안전한 자세로 인한 환부부위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치료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재현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킨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IV. 결론 및 고찰 본원에서 치료를 받고있는 직장암환자 중 복회음부 절제술 환자에게 고정용구를 사용함으로써, 고정용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환자의 set-up 변화로 인한 resetup의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었고 환자에게 인위적으로 치료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set-up의 재현성을 유지해 보다 정확한 치료를 가능하게 했고 앞으로 이 고정용구를 보완, 개선시켜서 환자의 치료에 활용한다면 더욱더 질적으로 향상된 치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