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살률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건강한정신, 자살없는 사회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5 no.4 s.269
    • /
    • pp.6-13
    • /
    • 2001
  • 자살은 인류 역사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어 시대의 변화나 문화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류와 함께 있어 왔다. 우리나라는 최근 급속한 자살 사망률의 증가로 인해 자살이 심각한 보건학적,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IMF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실업, 빈곤화, 가족해체 등은 IMF경제위기 이전보다 자살사망률이 급증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기존의 가족이나 사회문제, 교육문제 등으로 인해 취약한 정신건강상태로 인해 자살욕구에 대한 전염력이 강한 청소년과 젊은 청년층에게 ‘자살 사이트’라는 인터넷 매체로의 접근은 자살이라는 전염병의 새로운 감염경로가 되고 있다. 이것은 국민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위험수위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낸다. 온전한 정신 건강은 육체적 건강을 위한 필수조건일 뿐만 아니라 활기찬 생활의 바탕이 된다.

  • PDF

A Study on the Crime Analysis of NFT Transactions (NFT 거래에 따른 범죄분석 연구)

  • Song,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87-288
    • /
    • 2023
  • 매년 20여명 정도의 경찰이 자살에 이르고 있다. 업무량이 많은 타 공무원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경찰의 자살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특히 조직의 폐쇄성으로 인해 개인문제로 치부하는 경향이 높다. 경찰의 치안환경은 더욱 안 좋아지고, 위험성에 노출될 확률이 과거에 비해 높아졌으며, 잔혹한 범죄를 마주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우울증이나 업무부담 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게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경찰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심리부검을 도입하는 방안을 법적으로 검도하고, 자살유형들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자살예방모형 개발하여 자살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A Call for Community-Based Suicide Prevention in South Korea (한국의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공동체 접근)

  • Sung-Pil, Yook;Jameson K. Hirsch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6 no.2
    • /
    • pp.147-164
    • /
    • 2010
  •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ommunity-based approaches to suicide prevention and national strategies for the decrement of suicide rate, and made some suggestions to decrease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Until now, efforts to understand and prevent suicide have been pursued singularly by specialized interest groups such as psychiatrists, psychologists, mental health practitioners,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little interaction between them, resulting in narrow approaches toward suicide that existed in relative isolation to one another and that have been largely ineffective. To decline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the people lived in Korea community ought to have enough knowledge related to suicide and have to cooperate with other people. Through these efforts, Korea community would have established social safety networks to improve the community 's mental health.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uicide prevention and declining the suicide rate is reducing the stigma and increase the self-help seek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uicid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uicide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solved by suicidal patient, but a community's problem solved by community in recognizing, managing and preventing suicide.

  • PDF

Effects of Cultural Facilities and City Parks on the Regional Suicide Rates in Korea (문화시설과 도시공원이 지역별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Cho, Soo-Mi;Shin, Hyung-D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4874-4880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ultural facilities and city parts on the regional suicide rates in Korea. Data of theaters, exhibition facilities, libraries and city parts was collected in 143 local areas governments. The number of theaters and the size of city pa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ing the regional suicide rates in the areas, and the number of exhibition facilities had partial impact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ynamic components of a culture and arts environments may work more effectively to relieve depression and stress and decrease the suicide rat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ltural welfare environments can be foun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high suicide rates in Korea.

Analysis of a Suicide Attempt Patients Admitted to an Emergency Medical Center (일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분석)

  • Han, Ye-Jin;Jung, Hong-R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69-170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충남 S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환자 의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한 일반적 특성, 응급진료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연령별, 자살시도환자의 전원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망률은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숫하게 나타났고,연령에 있어서는 30-39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연령대에 맞는 효율적인 자살예방프로그램의 정책적 도입을 통하여 공중보건비용을 줄이는 사업계획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Trends of Suicide in Korea (우리나라의 자살 추세에 관한 연구)

  • Sin,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310-314
    • /
    • 2007
  • In these days we can often see examples of suicide. Nowaday suicide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Suicide rate is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suicides increase continuously from 3,157 in 1990 to 10,688 in 2006. And the annual suicide rate rapidly went up in 1996 and hit the highest in 2005. Furthermore the level of ssuicide which is of ten leading causes of death is rising steadily. In 2006, suicide rate becomes the 2nd level among all ccountries in OECD.

  • PDF

Evaluation of Prevention System of Falls and Committing Suicide with Application Technology of Rollinder System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시스템의 조사 및 Rollinder System 적용기술)

  • Park, Sea-Man;Baek, Chung-Hyun;Choi, Byong-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591-598
    • /
    • 2019
  • The statistics of committing suicide in S. Korea is ranked in top with serious attempts of falling among OECD countries since 2003. The rates is slightly dropped by 5 percent point, nevertheless the falling is still high for the age of over 10 years old and this matter must be solved. Most of the case of suicides are the falling based on a trend view of falling which is serious matter and cannot be solved easily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For example, the steel net of falling prevent was installed in the Golden Gate Bridge costed by 200 million-dollar. In New Zealand, the steel net of falling prevention had been removed and re-installed beccause of the high suicide rates. Canada and Australia also surrounded the bridge with steel fences to prevent suicide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beauty of bridg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a comparison study on both falling prevention systems in all countries and patent technologies. Also, it covers the blocking skills of approach in both security and limited area. This paper suggested the technical Rollinder system equipped with the mechanical apprentice to prevent effectively the falling sucides and wall passing. Before the installation of Rollinder System by 2016, there were 33 person who tried to fall in the river in Machang Bridge. However, the number of the committing suicides were dramatically reduced to zero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ystem.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sychological Autopsies and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Model for Police Officials (경찰공무원의 자살 후 심리부검 도입과 자살 예방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 Song, Hye-Jin;Oh, Sei-You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23-324
    • /
    • 2022
  • 매년 20여명 정도의 경찰이 자살에 이르고 있다. 업무량이 많은 타 공무원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경찰의 자살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특히 조직의 폐쇄성으로 인해 개인문제로 치부하는 경향이 높다. 경찰의 치안환경은 더욱 안 좋아지고, 위험성에 노출될 확률이 과거에 비해 높아졌으며, 잔혹한 범죄를 마주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우울증이나 업무부담 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게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경찰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심리부검을 도입하는 방안을 법적으로 검도하고, 자살유형들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자살예방모형 개발하여 자살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uicidal behavior factors (일부 지역사회 주민의 자살행동 유병률과 관련 요인)

  • Shin, Jong-Hun;Lee, Tae-Yong;You, Mee-Sun;Kim, Kwa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904-906
    • /
    • 2011
  • 2008년 9월부터 2009년 3월까지 6개월간 일개 도의 7개 시군에 주민등록을 갖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1,4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사회 주민의 자살행동 평생유병률을 구하고, 자살생각만 하는 집단과 자살생각 및 자살계획을 갖는 집단의 위험요인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자살생각률은 15.9%, 자살계획은 4.3%, 자살시도율은 1.8%이었으며, 자살생각자 중 27.0%가 자살계획을, 자살 계획자 중 42%가 자살시도를 하였다. 전체 독립변수간의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 다변량분석을 한 결과 우울증, 스트레스, 연령, 삶의 질, 사회적 갈등, 직업이 전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며, 자살생각만에는 우울, 스트레스, 삶의 질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살행동을 효과적으로 예방 관리하기 위하여 우울증, 스트레스, 연령, 삶의 질, 사회적 갈등, 실직 상태에 놓인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