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 정확도

Search Result 6,36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GOCI-II Accuracy in the Early Stage of the Mission (임무 초기 GOCI-II 자료 정확도 고찰)

  • Jongkuk Choi;Hahn Chul Jung;Wonkook Kim;Jun Myoung Choi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2
    • /
    • pp.1523-1528
    • /
    • 2023
  • Since the successful launch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 (GOCI-II) in February 2020, various studies for improving the accuracies of the product have been underway through full-scale Cal/Val (calibration and validation) activities. This special issue examines the algorithm for GOCI-II data quality management at present, two years after the start of studies on Cal/Val and algorithm improvement of GOCI-II data, and introduces accuracy improvement and application progress along with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We expect that highly accurate data will be provided and utilized through continuous Cal/Val activities for GOCI-II data.

Application and Accuracy Improvement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for Rainfall and Flood Forecasting (강우 및 홍수 예측을 위한 수치예보자료의 적용 및 정확도 개선)

  • Moon, Hyeji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10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여 치수 구조물의 설계 홍수 빈도를 초과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침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수치예보자료를 활용한 홍수 예 경보시스템의 적용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치예보자료는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지예보모델(LDAPS)과 일본 기상청의 중규모모델(Meso-scale Model ; MSM)을 이용하였으며, 남강댐 유역 내의 산청 유역에 대해 태풍 및 정체 전선 등 3 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강우유출 해석에는 분포형 수문 모형인 KWMSS(Kinematic Wave Method for Subsurface and Surface)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LDAPS와 MSM 모두 강우발생 유무를 잘 재현하였다. 특히, 광역적 강우인 태풍사상에 대해 강우 예측에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강우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강우장의 공간 변위를 고려하여 앙상블 강우 분포를 적용한 결과, 강우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 예측의 경우 두 수치예보자료 모두 유출 패턴을 잘 재현하였다. 앙상블 홍수 예측 결과, 단일 강우 자료를 통한 홍수 예측에서의 예측 불확실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강우 사상에 대해 MSM의 예측 결과가 LDAPS의 예측 결과보다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 및 홍수 예측에 수치예보자료의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홍수 예 경보의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Composite technique development of rain rate by using COMS and microwave satellite (통신해양기상위성 및 마이크로웨이브자료를 이용한 강수량합성기술개발.활용)

  • Suh, Ae-Sook;Park, Jong-Seo;Kim, D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59-263
    • /
    • 200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태풍, 폭설 등 악기상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태풍은 단일 기상현상 가운데 가장 강력하며, 태풍으로 인하여 집중호우 폭풍 및 해일 등 부차적 악기상이 함께 발생하여 인명 및 경제 사회적인 피해 또한 막대하지만, 태풍으로 인한 강수량 측정은 다른 현상에 비해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이것은 태풍이 발생에서 소멸까지 일생의 대부분을 해상에서 보내, 육상 관측으로는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성자료를 활용하면 해상에서의 태풍 구름에 의한 강수분포를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구름을 투과하여 아래 내부구조 파악이 가능한 마이크로파 영역의 적외복사에너지를 이용하면 좀더 정확한 강수량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관측영역 확대를 위해서는 가능한 마이크로파위성자료를 합성처리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수신하고 있는 Aqua/AMSR-E, SSM/I, TMI, QuilSCAT 등에서 산출되는 강수량을 상호 검증기법을 이용하여 합성처리 하였다. 위성자료마다 정확도와 해상도가 다른 것에 대해서는 높은 정확도에 가중치를 주고, 고해상도 자료에 맞추어 픽셀 크기를 맞추었다. 사용한 자료는 2005년$\sim$2007년 간 발생한 태풍 중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나비, 나리, 에위니아 등 3개 사례이며, 검증은 자동관측자료(AWS : Automatic Weather Station)자료와 일본 AWS자료(AMEDAS : Automatic Measurement Data Aquisition System) 및 미해군 연구소 발표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오차 분석 및 산포도를 분석하였다.

  • PDF

Accuracy Analysis by Extract Method of Road Centerline (도로중심선 추출기법에 따른 정확도 분석)

  • 이종출;김희규;김진수;김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77-83
    • /
    • 2004
  • 최근 통신, 전자, 제어, 기계등의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도로와 차량 그리고 운전자의 일체화를 통한 교통체계의 효율화, 첨단화, 정보화를 실현하기 위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연구가 많이 진행되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ITS에서의 기본적인 자료인 도로위치정보의 정확도가 낮은 단계인 자료로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기존도로의 설계자료나 수치지도가 없는 지역인 경우가 많아 그 자료들을 획득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PS 측위기법과 수치사진측량의 기법으로 도로중심선을 추출하여 보다 정확한 기법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

Comparison of Drone and Terrestrial LiDAR DEM generation data for Analyzing Estuary Topographic Changes (하구부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드론과 지상LiDAR DEM 생성자료의 비교)

  • Lee, Jeong Ho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0-14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재해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재해 분석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자료의 정확도는 재해분석결과에 있어 중요하며, 지형촬영방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지형자료 중 하나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활용분야 또한 확대되고 있고 지도제작에 있어 DEM을 사용하면 지형도를 신속히 제작할 수 있고, 편집 용이, 수작업 인원 감축, 정확도 향상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져 체계적으로 종합적인 지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생성한 DEM은 매우 정확한 방법이며, 접촉식 측량장비에 비하여 누락되는 데이터가 적으며 정밀하게 자료를 수집가능 한 것이 장점이다. 지상LiDAR를 이용한 자료 취득 시식생과 구조물에 의해 촬영 각도가 제한되는 경우 충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여러 위치에서 스캔이 필요하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드론의 도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드론을 이용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소규모 및 중간 규모의 하천, 산지 등의 현장 조사의 경우 LiDAR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구간의 촬영 시 드론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상LiDAR와 드론을 이용하여 얻은 D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드론으로 생성된 DEM 자료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지역에 지상LiDAR와 드론 촬영을 실시하여 지형자료를 각각 획득한 후 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점을 선정한 후 지형 좌표의 편차, 표고의 편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Accuracy Assessment of Ground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 from LiDAR Data (LiDAR자료의 지면정보 추출기법의 정확도 평가)

  • Choi, Yun-Woong;Choi, Nei-In;Lee, Joon-Whoan;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4 s.38
    • /
    • pp.19-26
    • /
    • 2006
  • This study assessed the accuracies of the ground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s from the LiDAR data. Especially, it compared two kinds of method, one of them is using directly the raw LiDAR data which is point type vector data and the other is using changed data to DSM type as the normal grid type. The methods using Local Maxima and Entropy methods are applied as a former case, and for the other case, this study applies the method using edge detection with filtering and the generated reference surface by the mean filtering. Then, the accuracy assessment are performed with these results, DEM constructed manually and the error permitted limit in scale of digital map. As a results, each DEM mean errors of methods using edge detection with filtering, reference surface, Local Maxima and Entropy are 0.27m, 2.43m, 0.13m and 0.10m respectively. Hence, the method using entropy presented the highest accuracy. And an accuracy from a method directly using the raw LiDAR data has higher accuracy than the method using changed data to DSM type relatively.

  • PDF

A Cost Effective Reference Data Sampling Algorithm Using Fractal Analysis (프랙탈 분석을 통한 비용효과적인 기준 자료추출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창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171-182
    • /
    • 2000
  • Random sampling or systematic sampling method is commonly used to assess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results. In remote sensing, with these sampling method, much time and tedious works are required to acquire sufficient ground truth data. So , a more effective sampling method that can re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is required. In this study, fractal analysis is adopted as an index for reference sampling . The fractal dimensions of the whole study area and the sub-regions are calculated to choose sub-regions that have the most similar dimensionality to that of whole-area. Then the whole -area s classification accuracy is compared to those of sub-regions, respectively, and it is verified that the accuracies of selected sub regions are similar to that of full-area . Using the above procedure, a new kind of reference sampling method is proposed. The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d sampling area and sample size keeping up the same results as existing methods in accuracy tests. Thus, the proposed method is proved cost-effective for reference data sampling.

  • PDF

Validation of Discharge Data in Sumjin River in 2004 (2004년도 섬진강 유량자료 검증)

  • Han Myung Sun;Jung Sung Won;Park Sang Woo;Jung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74-678
    • /
    • 2005
  • 수문학 분야에서 수문자료의 정확도를 높이는 문제는 오래전부터 고민해왔던 사항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는 수문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전국의 수자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문관측 매뉴얼을 작성하고 전국의 주요 지점에 수위관측소를 설치하여 유량측정을 하고 있다. 2004년에도 5대강 권역별로 유량측정이 실시되었으며, 이중 섬진강에서 유량측정이 실시된 6개 지점에 대해 올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수행된 유량측정 검증시스템의 적용 결과에 따른 유량측정성과, 수위-유량관계곡선 및 유량자료의 개선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유량측정 검증시스템은 유량측정성과의 기본특성 검토, 이상치 여부 판별 및 평가 등 유량측정성과의 검증, 개선된 방법론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작성 환산된 유량자료의 평가 및 평가 결과 개선이 필요한 경우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재작성하는 피드백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PDF

Accuracy of the annual prediction of the stage-discharge relationship (수위-유량 관계식의 경년별 정확도 분석)

  • Choi, Sung-Uk;Kwon, Bum-Soo;Lee, S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6-520
    • /
    • 2012
  • 홍수시 유속 및 유량을 직접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수위-유량 관계식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그러나 수위-유량 관계는 유량 및 하도조건에 따라 변화하므로 매년 갱신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유속계 (Ultrasonic Velocity Meter: UVM)에 의한 연속적인 수위 및 유량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수위-유량 관계를 구축하고 제시된 수위-유량 관계식을 적용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측정자료는 임진강 적성지점으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7월 및 8월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유속계는 홍수기 연속적인 수위와 유량의 측정이 가능하므로 측정자료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는 일반적으로 단일 홍수사상에 대해 고리 (loop) 모양을 보였다. 또한, 초음파유속계에 의한 수위 및 유량 측정이 안정된 경우 수위-유량 관계식은 고리 형태의 수위-유량 관계의 중앙을 관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유량 관계식의 정확도는 당해 연도 측정자료에 대한 오차가 가장 작았으며, 오차의 크기가 차년도 자료 그리고 전년도 자료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천에 홍수 유과 이후 수위-유량 관계식을 개선해 주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The Evaluation of Flood Forecast Applicability of Merged Predictive Precipitation Data (병합 예측강수 자료를 활용한 홍수 예측 가능성 평가)

  • Kagn, Narae;Yoon, Jungsoo;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8-318
    • /
    • 20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기상청과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생산중인 강수예측자료의 정확도 향상과 홍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 예측강수 병합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 평가된 강수량 예측 정확도 외에 홍수예보의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각 예측 강수량 자료의 유출량 정확도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한강홍수통제소의 비상용 홍수예보모형을 이용하여 +6시간까지 병합 예측 자료의 유출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의의 강우분포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기존 홍수예보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