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포괄분석

Search Result 3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Science Information Services (정보기술과 사회과학 정보봉사)

  • 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 /
    • pp.295-324
    • /
    • 1993
  • 최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 따라 사회 전반적인 체제의 정보화 현상으로 개인이나 조직의 활동이 정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이용자의 정보 수요에 적합한 정보원을 제공하는 매개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역할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이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모든 활동에 파급됨에 따라 정보를 수집, 가공, 분석. 저장 및 전달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 전문가는 종래의 문헌중심봉사(book-based service)에서 정보중심봉사(information-based service) 형태로 역할 변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제전문 봉사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나 정보전문가는 이러한 정보기술의 파급효과를 더욱 실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첫째, 정보기술의 발달이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봉사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살펴보고. 둘째로 사회과학 분야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특성 분석과 정보기술을 매체로 이용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정보기술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정보사회에서 다양한 정보제공을 담당할 사회과학 정보전문가의 새로운 역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학제적 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가능하다.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은 인간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의 전반적인 분야를 포괄하고 있어 많은 주제분야가 서로 중복되거나 상호 호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사회과학 정보시스템이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만족을 주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유형, 정보요구의 형태 및 그 해결방안에 일차적 관심을 가져야한다.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유통 체제를 살펴보면, 대부분 통계자료나 단편적인 데이타로 시작되는 원자료가 사회과학자나 연구자에 의해 "지적 변환(intellectual transformation)" 과정을 거쳐 논문이나 저서 등과 같은 정형화된 문헌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정형화된 문헌이 다른 이용자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다시 "서지적 변형(bibliographic transformation)" 과정이 수반됨으로써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정보시스템에서 문헌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보급 이전에는 서지적 변형 단계에서 대부분 정보제공시스템의 역할이 종결되었으나, 최근 정보기술의 활용으로 서지적 변형 후 각종 정보자료의 색인과 초록 및 네트웍 화를 통한 자동화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최대의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효율적인 통제로 포괄적인 정보관리 차원으로 이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활용에 따른 정보전문가의 인지적 혹은 업무 적 변화가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기술을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서들은 정보기술이 그들의 정보봉사 업무를 쉽게,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처리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보기술 습득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보기술의 이용에 따른 추가적인 책임이나 의무가 수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기술이 정보전문가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로 위협을 느끼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종합적인 반응은 대부분의 사서들이 정보 봉사 업무에 정보기술의 활용을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용자 요구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관리에 필수불가결 한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과거의 유능한 사서나 정보전문가는 자관의 정보원에 대한 철저한 이해로 이용자의 요구에 봉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유능한 정보전문가는 자관은 물론 국가적 혹은 세계적인 정보원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원 관리 능력은 물론 정보기술의 활용과 이용자에 대한 교육적 능력을 동시에 지녀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제공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새로운 역할을 크게 이용자 보조 역할, 주제전문가 역할. 시스템 전문가 역할, 그리고 정보원 관리자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n and Now (미국 공공도서관의 이민자 대상 서비스: 과거와 현재)

  • Lim, Yeo-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2
    • /
    • pp.7-25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the U.S. in the early 1900s and nowadays. U.S. public libraries in the early 1900s supported the Americanizing movement by opening English language classe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essential for U.S. citizenship. Public librarian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materials; by providing foreign language materials and developing diverse services to reach immigrants, public libraries eventually hastened assimilation processes. Despite a gap of one hundred years, the situation today is not very different. Public libraries still try hard to serve their ethnic patrons with extensive foreignlanguage collections and culturally diverse library programs, while still emphasizing English language educ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sic Collection Catalog for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국립장애인도서관 장애인자료 수집을 위한 기초목록 개발 연구)

  • Hyojung Sim;Sin-You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8 no.1
    • /
    • pp.351-371
    • /
    • 2024
  • This study presented basic data to be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in prepa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library building and expansion of its scope. Due to legal and practical limitations,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must invest annual budget to collect materials for the disabled and focus on purchasing th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of educational and academic resources, as well as retrospective material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basic research to comprehensively collect resources on the disabled based on the curren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Ten institution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nd trends in the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led people and disability-rela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ose institutions. The basic collection catalog presented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determine the resources to be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Developing Standard Clas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국가지식정보 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 Ko Young-Man;Seo Tae-Sul;Cho Sun-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3
    • /
    • pp.151-1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draft fo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named "Knowledge Classification 'KC' is suggested. KC consists of 3 classification systems classification by subject, type of resources and type of media.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has 12 main classes, and each main class has divisions. Main classes consist each of major discipline or group of related disciplines. The type of resources is classified by 10 types of content, likewise numbered 0-9, and the media of knowledge are classified by 8 types. likewise 0-7. In the Practice the notation always consists of 2 characters and 2 digits. The first character designate main class and the second character designate division. The first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resources and the second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media.

Effects of Poverty Status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hood : Focused on Comparing the Effects of Proxy Variables and Poverty-Co-Factors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빈곤대리변수와 빈곤동반 위험요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Park, Hyun-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26
    • /
    • pp.113-137
    • /
    • 2008
  •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verty and poverty-co-factors in childhood. The effect of poverty status was measured by needs-income ratio. It compared its effect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ith that of poverty proxy variables such as recipient of public assistance, financial stress, subjective perception about social class, residence in public housing.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poverty-co-factors after poverty status were controlled. Results show that poverty status has a more consiste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an other proxy variabl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isappeared after poverty-co-factors were controlled.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argeted efforts for decreasing poverty-co-factor risks should be made along with financial support.

A Study on Examining the Impac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Mix on R&D Efficiency (과학기술정책조합이 R&D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Woo, Chungwon;Chun, Dongphi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268-1295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olicy mix on R&D efficiency in by using data from 2014 and 2016 Korean Innovation Survey. The DEA-Tobit analysis is used to estimate the impact of policy mix on relative R&D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DEA analysis, the R&D efficiency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irms is low, because the R&D investment has not been use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Tobit model, policy mix have a positive effect on R&D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market-oriented, market supply-oriented, and supply demand-oriented policy mix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D efficiency. R&D portfolio is necessary to improve R&D efficiencies and government has to facilitate a policy mix in view of the nature of firms and Consistency of policy tools.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 Improvement of Bibliographic Database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Lee, Man-Soo;Lee, Sang-Loel;Shin, In-Soo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3
    • /
    • pp.21-39
    • /
    • 2003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Bibliographic database : The Union Catalog system(UNICAT) and Korean Library Information System Network(KOLIS-NET). The seven criteria(Coverage, Accuracy, Completeness, Currentness, Consistency on the quality of data itself and easy of use, Customer Support on the quality of database service) are used to measure their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ignose the quality of two bibliographic database mentioned above and analyses the measured result of quality comparatively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m and also to provide possible suggestion for their improvements.

Practical Interpretation and Source of Error in Traffic Assignment Based on Korea Transport Database(KTDB) (KTDB 기반 노선배정의 예측오차 원인과 분석결과 해석)

  • KIM, Ik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5
    • /
    • pp.476-488
    • /
    • 2016
  • This study reviewed factors and causes that affect on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In general, the causes of forecasting errors come from variety and irregularity of trip behaviors, data limitation, data aggregation and model simplification. Theoretical understanding about the inevitable errors will be helpful for reasonable decision making for practical transportation policies. The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raffic assignment with the KTDB data, and described the factors and causes of errors by classifying six categories such as (1) errors in input data, (2) errors due to spacial aggregation and representation method of network, (3) errors from representing values for variations of traffic patterns, (4) errors from simplification of traffic flow model, and (5) errors from aggregation of route choice behavior.

Divide and conquer kernel quantile regression for massive dataset (대용량 자료의 분석을 위한 분할정복 커널 분위수 회귀모형)

  • Bang, Sungwan;Kim, Jaeoh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3 no.5
    • /
    • pp.569-578
    • /
    • 2020
  • By estimating conditional quantile functions of the response, quantile regression (QR) can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and the predictors. In addition, kernel quantile regression (KQR) estimates a nonlinear conditional quantile function in reproducing kernel Hilbert spaces generated by a positive definite kernel function. However, it is infeasible to use the KQR in analysing a massive data due to the limitations of computer primary memory. We propose a divide and conquer based KQR (DC-KQR) method to overcome such a limitation. The proposed DC-KQR divides the entire data into a few subsets, then applies the KQR onto each subsets and derives a final estimator by aggregating all results from subsets. Simulation studi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Study on the Network Design of Sediment Load (유사량 관측망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Yeon-Kil;Go, Ju-Yeon;Jang, Bok-Ji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0-320
    • /
    • 2011
  • 하천 유사량은 유량과 마찬가지로 충적 하천의 기본적인 자료로서 하상변동 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유사 유출량 추정, 하도 계획과 설계, 유사조절 계획 수립 등에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선진 외국의 경우는 유사량관측망을 구축하여 일찍이 유역관리 및 하천관리, 하천시설물관리 및 댐 관리 등을 위한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유사량 측정 기반 및 실측된 유사량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치들의 활용 빈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성에 맞는 관측망을 구축하기 위해서 국내외 관측망 구축 사례 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사량관측망 구축 방법을 개념화하였다. 개념화된 유사량 관측망 구축방법은 유역관리, 하천관리, 하천시설물 관리, 댐 관리 측면을 포괄하는 방법으로 관련계획 및 설계기준 검토, 유사량조사 현황 검토, 설계대상 수위관측소 선정, 현장조사 등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망 구축대상 지점을 국가수위관측망(643개소)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138개소의 유사량관측망을 목적별로 구축하였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 44개소, 낙동강 권역 37개소, 금강 권역 33개소, 섬진강 권역 12개소, 영산강 권역 12개소로 구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