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와 가능성

Search Result 4,709,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 analysis of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presented in data and chance area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 Do, Joowo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0 no.3
    • /
    • pp.265-279
    • /
    • 2021
  • In this study, by analyzing of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presented in Data and Chance area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for grades 1-6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the questions in this textbook were obtained. Types and functions of the presented questions showed different proportions of appearance according to the grade clusters, and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for each grade clus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ade cluster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s of questions are related to the types of questions. Teachers should hav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ata and Chance area as well a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or each grade clusters. In addition, the teacher should present an suitable question for the level of grade clusters and the nature of the content to be taught so that effective learning can be achiev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tatistical teaching in a progressive direction 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textbook writing and teaching/learning.

A Study on Algebraic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ers on Solving Polynomials and Searching Possibility of Self Learning the Knowledge (다항식의 해법에 대한 수학교사의 대수 내용지식과 자립연수 가능성 탐색)

  • Shin, Hyunyong;Han, Ink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4
    • /
    • pp.661-685
    • /
    • 2015
  •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on the viewpoint of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To do this, we select algebraic subject as content knowledge for solution of polynomials and develop material for group study based on selected subject. We supply the developed material to teachers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the acceptability of it. For discussion, we collect data through tests and questionnaire. Through analysing the data, we obtain the positive result.

Application on Formal Concept Analysis for Constructing Integrated GIS Database (지리정보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형식개념분석(FCA)의 적용)

  • Kim, Byung-Sun;Ku, Cha-Yong;Yun, S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91-96
    • /
    • 2008
  • 국토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다양한 출처와 종류의 자료를 통합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국토 모니터링의 범위에는 원격탐사와 같은 공중 모니터링과 지상 모니터링 자료가 모두 포함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종류와 속성을 가진 지리정보 자료들이 통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출처와 종류의 지리정보자료를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으로 형식개념분석(Formal Concept Analysis, FCA)을 살펴보고 사례분석을 통해 이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형식개념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료가 가지고 있는 중복을 제거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통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식개념 분석의 개념을 파악하고 현재 활용되고 있는 지리정보자료들에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국토 모니터링 자료의 통합기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한국의 육계질병 발생현황과 대책

  • 김선중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3 no.1
    • /
    • pp.131-140
    • /
    • 1986
  • 브로일러 계군에서 질병으로 인한 피해를 파악하는데는 어느 분야보다도 자료의 부족을 절감하게 된다. 필자가 파악하기로는 몇개 사료회사에서 사료의 질을 파악하는 방편의 일환으로 생존율을 조사하고 있으나 자료를 얻기가 쉽지 않고 또한 자료를 구한다 치더라도 조사대상 농장의 전반적인 사양관리상의 수준 등을 고려할 때 그것이 국내에서의 브로일러의 생존율을 대표하기보다 왜곡된 자료일 가능성이 많다. 그래도 유일하게 신빙성이 있는 자료는 가축위생연구소와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금질병 진단써비스 자료이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Methods in the Identification of Land Slide Prone Areas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사면붕괴지역 예측방법 연구 및 비교)

  • 장훈;윤완석;신동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99-105
    • /
    • 2004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사면붕괴 연구는 국내외 많은 연구논문과 보고서를 통하여 보고되어 왔다. 반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 다수의 학자들에 의하여 발표되고 있으나, 그 결과에 대한 비교와 국내 실효성에 대하여 언급한 논문은 다소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료의 실용가능성을 감안하여 사면붕괴지역 가능성예측 산정 모델 중 두 가지 방법, 이변량 통계분석과 결정론적 분석을 통하여 동일지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선정된 대상지역은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하여 피해가 규모가 큰 강원도 강릉시이고, 두 모델을 이 지역에 적용하였다. 결과 비교는 동일지역에 동일 자료를 사용하더라도 모델에 따라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모델 또한 자료의 질적, 양적인 성질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밝혀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Development of a Geo-spatial Representation Tool of ADCP Velocity and Morphologic Measurements Along the River Reach (하도에 따른 ADCP 유속 및 하상자료의 공간분포 표출기술 개발)

  • 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13-613
    • /
    • 2012
  • ADCP는 매우 상세한 유속 및 하상자료를 측정할 수 있어 하천의 수리학적 계측에 많은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 하천 단면에서의 유량 측정에 국한되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DCP가 제공하는 원자료인 3차원 유속과 하상자료를 유량 외의 평균유속장 및 하상 계측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후처리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ADCP가 하천의 흐름해석 및 2차원 및 3차원 수치모델의 검보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따라서 계측 방식도 하천의 단면뿐만 아니라 하도에 따른 지그재그 방식의 자료를 포괄한다. ADCP 자료의 후처리는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유량 제공에 초점을 맞춰 다른 분야에의 활용을 위해 별도의 후처리 소프트웨어의 제작이 필요하나 자료구조가 까다롭고 수십에서 수백 개의 파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툴의 개발은 용이하지 않아 ADCP를 흐름분석 등에 활용하고자하는 연구자나 관계 기관종사자들에 한계로 작용하였다. 또한 제작사 (RDI, SonTek)에 따라 원자료의 구조가 완전히 달라 한꺼번에 처리하는 데 많은 문제가 있어왔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툴은 두 제작사의 ADCP 원자료 포맷으로 구성된 다수의 관측 파일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GIS 기반에서 ADCP 자료의 위치를 표출할 수 있어 지형정보와 결부된 흐름장 해석이 가능하게 한다. ADCP 3차원 속도자료는 매우 정밀한 공간에서 측정되는 부분이 장점인 반면에 지나치게 정밀하고 또한 난류 등이 포함되어 원자료 만으로 흐름장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평균방법을 제공하여 2차원 및 3차원 공간에서의 공간보간된 평균유속장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2,3차원 수치모델의 격자에 ADCP 유속자료를 보간할 수 있어 모델 검보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ADCP 원자료 및 후처리된 결과는 GIS, Excel, Google Earth 파일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어 추후 활용가능성을 높였다.

  • PDF

Comparison of Drone and Terrestrial LiDAR DEM generation data for Analyzing Estuary Topographic Changes (하구부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드론과 지상LiDAR DEM 생성자료의 비교)

  • Lee, Jeong Ho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0-14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재해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재해 분석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자료의 정확도는 재해분석결과에 있어 중요하며, 지형촬영방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지형자료 중 하나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활용분야 또한 확대되고 있고 지도제작에 있어 DEM을 사용하면 지형도를 신속히 제작할 수 있고, 편집 용이, 수작업 인원 감축, 정확도 향상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져 체계적으로 종합적인 지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생성한 DEM은 매우 정확한 방법이며, 접촉식 측량장비에 비하여 누락되는 데이터가 적으며 정밀하게 자료를 수집가능 한 것이 장점이다. 지상LiDAR를 이용한 자료 취득 시식생과 구조물에 의해 촬영 각도가 제한되는 경우 충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여러 위치에서 스캔이 필요하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드론의 도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드론을 이용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소규모 및 중간 규모의 하천, 산지 등의 현장 조사의 경우 LiDAR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구간의 촬영 시 드론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상LiDAR와 드론을 이용하여 얻은 D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드론으로 생성된 DEM 자료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지역에 지상LiDAR와 드론 촬영을 실시하여 지형자료를 각각 획득한 후 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점을 선정한 후 지형 좌표의 편차, 표고의 편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공간 모델링을 이용한 자기지전류 탐사의 전자기 잡음 예측

  • Lee, Chun-Gi;Lee, Hui-Sun;Gwon, Byeong-D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12-123
    • /
    • 2005
  • 자기지전류 탐사의 적용에 있어 인공잡음의 영향은 탐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인공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탐사의 설계와 자료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공간자료를 이용한 공간모델링을 통해 MT 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을 예측하고 실제 탐사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MT 잡음 모델링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수치지도로부터 추출된 잡음원일 가능성이 높은 건물, 도로, 고압 송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강도를 지하매질의 전기전도도에 따른 전자기파의 전파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하는 잡음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잡음모델로부터 예측된 잡음 파워와 실제 탐사를 통해 측정된 MT 자료와의 상관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전기장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자기장은 60 Hz 부근의 대역에서만 상관관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공간모델링을 통한 잡음 예측은 특히 고도로 산업화되어가는 도시 주변지역에서의 MT 탐사를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domestic earthquake and hydro-environmental data (국내 지진과 수환경 자료의 상관성 분석)

  • Lee, Jae-Kyoung;Jo, Jun Won;Park, Seung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8-408
    • /
    • 2021
  • 지진에 의한 변동과 전조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기존 연구들에서는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은 주로 단층 운동에 의한 지각 반응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지하층에서 지진이 발생하나 발생의 원인은 지각뿐만 아니라 수환경과 연계된 인자들까지 존재하여 매우 다양하다. 즉, 지각, 토양, 토질 등 지하의 변동과 연관성이 매우 높고 수 많은 수환경자료들(지하수위, 라돈, ph, 기타 수질 요소)을 통해서 지각운동에 따른 변화와 지진발생 가능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존 지진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주로 활성 단층 운동에 의한 지각 반응의 영향으로 지진 발생 이전에 지각의 팽창과 변형에 의해 지하수, 지하수 수질요소(라돈, 전기전도도, 수온 등)의 지화학적 변동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수환경 빅데이터는 지진 발생 가능성 증대와 재현기간 및 규모 증대 등 상관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경향성 분석을 통하여 내륙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바다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경향성 및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지진 발생 지역에 대하여 수환경 빅데이터(지하수위, 라돈, 수온, 전기전도도, 강수량 등)와 지진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주요 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e Soil Moisutre Using Satelite Image and Data Mining (위성영상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

  • Kim, Gwang-Seob;Park, Han-Gyun;Cho, S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15-1619
    • /
    • 2010
  • 토양수분은 토양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표면과 대기간의 에너지 균형과 물 순환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산정을 위하여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관측 자료로부터 획득한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자료와 지표면 온도자료, 우리나라 76개소 기상관측소 중에 자료의 보유기간이 30년 이하인 관측소와 섬 지역들을 제외한 57개 지점의 강수량, 토양온도 자료 및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지피복, 유효토심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의 하나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였다. 먼저 신뢰성 높은 토양수분 관측 자료를 가진 용담댐 유역의 6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여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3개 지점의 토양수분 관측치는 토양수분 산정 모형 수립에 사용하였으며 검증에 사용된 1개 지점의 토양수분의 관측치와 추정치 간의 상관계수를 확인한 결과 전체적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어 토양수분 추정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분포와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를 추정하였다. 신뢰할 수 있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관측치가 다양한 지상조건에 대하여 존재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토양수분산정 방법은 제한된 가용자료를 사용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산정에 있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