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선정

Search Result 6,29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stimation of Andong Reservoir Long-Term Daily Inflow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안동댐 장기 일 유입량 산정)

  • Kang, Min-Suk;Yu, Myung-Su;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68-872
    • /
    • 2012
  • 유역의 유입 및 유출은 강수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가지 기후 조건과 토지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은 이러한 여러 가지 복잡한 기후 조건과 토지 상태를 반영하며, 장기간 입력 자료에 따른 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유역을 안동댐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을 이용하여 10년(2000년 ~ 2010년) 동안의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이를 안동댐의 실측 유입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ArcSWA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입력 자료는 SWAT의 분석단위인 HRU(Hydrologic Response Unit)를 산정하기 위한 정밀 토양도 및 토지피복도와 기상입력 자료인 강우 및 최고기온, 최저기온, 습도, 풍속, 일사량 등을 사용하였다. 강우관측소는 안동댐 유역의 고선, 남회룡, 도천, 미질, 석동, 석포, 석현, 의촌, 재산, 황지를 선정하였고, 일사량관측소는 안동, 대관령, 포항을 선정하였으며, 기온, 습도, 풍속관측소는 안동, 봉화, 태백, 영주를 선정하였다. 또한 기상입력자료 중 결측값은 역거리 자승법을 이용하여 보완하였다. SWAT 모형은 유출량 계산 시 여러 가지 다양한 매개변수가 사용되며, 이러한 매개변수들의 검 보정을 통하여 실제 유역의 특성과 하천 흐름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험유역인 안동댐유역은 산림과 초지가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식물에 의해 차단되는 강우에 관한 매개변수와 지하로 침투되는 강우량에 관한 매개변수 등을 보정하여 실제 유역특성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안동댐 유역의 10년 동안의 일 유출량을 산정한 결과, 홍수기의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에는 실측자료와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실측자료와 매우 유사한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quifer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서해의 연안지역 대수층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Kim, Il Hwan;Kim, Min-Gyu;Chung, Il-Moon;Chang, S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4-264
    • /
    • 2021
  • 해수면 상승 및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해수 침투 영향 반경의 예측 및 모의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해수 침투 피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해수 침투 피해 대응 방안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수 침투 피해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지역을 선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 방안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의 방법은 대수층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자료의 결측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평가 인자에 대한 자료 수집이 어렵고, 대수층에 대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으로 직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도서지역을 제외한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다. 해수침투에 대한 직관적인 해석을 위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문 성분 중 해수면, 지하수위, 함양량, 지하수 이용량을 지표로 선정하고, 행정구역 단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각의 자료에 대한 평균, 기울기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인자에 대해서 객관적 가중치 산정 방법인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TOPSIS)를 이용하여 가장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객관적 가중치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통해 직접적인 평가 가능하며, 추세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해수침투 취약성에 대한 전망도 가능하다.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해안의 지하수자원의 지속가능한 운영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limate change effect analysis through meteorological data in the Han river basin (기상자료를 통한 한강 유역의 기후 변화 영향 분석)

  • Yang, Jeong-Seok;Kim, Il-Hwan;Kim, Nam-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52-356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4대강 중 한강의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대습도, 강우량의 관측자료를 통해 과거와 최근의 변동특성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상청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강의 상, 중, 하류로 나눠서 3개 지점에 대해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인위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도시지역을 제외한 도서 지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실시한 항목으로는 최고, 최저, 평균기온 및 상대습도, 연강우량, 일 최고 강우량, 강우 집중률이 있으며 강우 집중률은 강우량에 의한 강우강도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과거(~1994)와 최근(1995~2011)의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항목별로 비모수적 검정을 실시하고, 상위 10개를 선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모수적 검정으로는 Mann-Kendall, Hotelling-Pabst, Sen's Trend Test를 이용하였고, 표준정규변량을 통해 과거와 최근의 경향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지점 중 양평의 평균 기온은 상위 10개 중 9개가 최근 자료에서 선정되었고 경향성의 유의수준도 더 높게 나타났다. 최저 상대습도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더 높은 유의수준의 하강하는 경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강수량은 최근 자료에 상위 8개가 나타났고, 표준정규변량 또한 높은 유의수준을 가지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최고 강수량, 강우집중률 또한 상위 10개 관측자료 중 1995년 이후 7개가 관측되었고, 이는 강우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대습도의 경우 평균 및 최소 상대습도에서 2개가 관측 되어 기온은 상승하고 강우는 집중되는 반면 상대습도는 온도의 영향 이외에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오난해지는 가운데 건조해지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MARC Format for Motion Pictures (영화자료를 위한 KORMARC형식의 확장 설계에 관한 연구)

  • 이미화;최석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55-158
    • /
    • 1994
  • 본 연구는 영화자료의 목록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ORMARC형식을 확장 설계하였다. 영화자료를 위한 적절한 목록요소를 선정하기 위해서 국제필름보관소연맹이 권고한 데이터요소와 각국 필름 보관소에서 목록하는 영화자료 데이터요소를 함께 분석하였고 선정된 데이터요소는 영화자료의 확장 기술과 자원공유를 위해 MARC으로 설계하였다.

  • PDF

A Case Study of Sea Bottom Detection Within the Expected Range and Swell Effect Correction for the Noisy High-resolution Air-gun Seismic Data Acquired off Yeosu (잡음이 포함된 여수근해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탐사자료에 대한 예상 범위에서의 해저면 선정 및 너울영향 보정 사례)

  • Lee, Ho-You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2 no.3
    • /
    • pp.116-131
    • /
    • 2019
  • In order to obtain high-quality high-resolution marine seismic data, the survey needs to be carried out at very low-sea condition. However, the survey is often performed with a slight wave, which degrades the quality of data.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seismic data by detect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sea bottom signal and eliminating the influence of waves or swells automatically during data processing. However, if noise is included or the sea bottom signal is weakened due to sea waves, sea bottom detection errors are likely to occur. In this study, we applied a method reducing such errors by estimating the sea bottom location, setting a narrow detection range and detecting the sea bottom location within this range.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sea bottom was calculated using previously detected sea bottom locations for each channel of multi-channel data. The expected location calculated in each channel is also compared and verified with expected locations of other channels in a shot gather.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ethod to the noisy 8-channel high-resolution air-gun seismic data acquired off Yeosu, the errors in selecting the strong noise before sea bottom or the strong subsurface reflected signal after the sea bottom signal are remarkably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high-quality seismic section with the correction of ~ 2.5 m swell effect.

Method to Determinate Monitoring Points in Sewer Networks (하수관망 내 모니터링 지점 선정 기법)

  • Lee, Jung-Ho;Jun, Hwan-Don;Park, Moo-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229-235
    • /
    • 2011
  • In order to manage a sewer system effectively, flow conditions such as flux, water quality, Infiltration and Inflow (I/I),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etc need to be monitored on a regular base. Therefore, in sewer networks, a monitoring is so important to prevent the river disaster. Monitoring all nodes of an entire sewer system is not necessary and cost-prohibitive.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s that can represent a sewer system should be selected in a economical manner. There is no a standard for the selection of monitoring point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observed data has not been applied in sewer system. In this study, the entropy method was applied for a sewer network to evaluate and determine the optimal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s using genetic algorithm. The entropy method allows to analyze the observed data for the pattern and magnitude of temporal water quality change. Since water quality measurement usually accompanies with flow measurement, a set of installation locations of flowmeters was chosen as decision variables in this study.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IS Data Processing using 3-Tiers Architecture for selecting Route (3계층 구조를 이용한 GIS 자료처리 설계 및 구현 -도로의 노선선정을 중심으로-)

  • 이형석;배상호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7 no.3
    • /
    • pp.23-29
    • /
    • 2002
  • The design of data processing of GIS requires efficient method with analysis procedure. This system is easy to be used and managed for presenting route according to conditions as a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al window system by applying three tiers based object-oriented method. The tier of data is in charge of a class for the exchange, extraction and conservation of data between GeoMedia and application tiers. A route selection algorithm was applied to application tiers, considering all condi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route selection between a beginning point and an end point, and it was added by module such as data handing, road condition, buffering, clothoid and AHP to select the alternative route followed by new condition. The user tier can express the data acquired by an application tier. Thus three tiers based architecture was presented by implementing design of GIB data processing for its efficiency.

  • PDF

The Quantification Research of Multi-Factors for Route Determination Using AHP Technique (AHP 기법을 이용한 도로의 노선 선정시 다중인자의 정량화 연구)

  • 양인태;김동문;최승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2
    • /
    • pp.199-206
    • /
    • 2002
  • The application of GSIS for most route determination is provided by selecting several basic data such as land use, land construction quantity and land price, and then establishing a database to analyze for the route determination. However, this strategy rarely considers the complicated multi-factors that are essential for route determination.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use the GSIS and attempt to support the decision of majority for optimum route determination and standardize the rout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qualification of multi-factors was attempted using the AHP technique, and so the data for the route determination was provided effectively, which resulted in the optimum route determin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HP technique, optimum routes were selected more rationally than randomly applying the values of multi-factors as before.

Design of the Curation Platform for User-participat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of Selecting on Alternative Material for the Disabled (대체자료 선정을 위한 이용자 참여형 도서 추천 큐레이션 플랫폼 설계)

  • Cho, Hyun-Y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3
    • /
    • pp.41-6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alternative materia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Details of usage data by users from DREAM was analysed in order to develop the way of a method on selecting proper alternative material, and then the data by user preference were allocated under each category of 10 KDC categories. The keyword, selected from the title of users' usage data from a certain period of time, were divided into 10 subject categories and ranked by the order of frequency of appearance. Books including high frequency of the keyword in title can be selected as a preferred target for producing alternative materials. Lastly, a dynamic linkage for sharing usage data among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and other libraries is proposed to produce more proper alternative materials, based on user preference.

Evaluation o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inflow to Chungju Dam by user-centered selection of GCM and downscaling method (사용자 중심의 GCM 및 상세화 기법 선정에 따른 충주댐 유입량 기후변화 영향 평가)

  • Cho, Jaepil;Kim, Chul-gyum;Park,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25
    • /
    • 2018
  • 본 연구는 충주댐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댐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목적에 접합한 GCM 및 상세화 기법 선정을 위한 절차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가 유입량의 재현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편이보정 전의 29개 원시 GCM에 대한 강수량 및 기온의 순단위 시 공간적 재현성 평가를 통해서 상위 16개 GCM을 선정하였다. 이후 상세화 기법을 선정하기 위해서 유입량 전망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총강수량(prcptot) 및 일최대강수량 (rx1day)을 기후지수(Climate Indices)로 선정하였다. 상세화 기법은 과거기간의 재현성이 평가, 미래기간 시그널 왜곡도 평가, 공간상관성에 대한 재현성 평가를 통해 SQM 기법을 선정하였다. 제한적인 기후변화 전망 자료를 고려하여 과거 30년 기간에 대한 모의결과 월단위 모형효율지수(ME) 및 결정계수 ($R^2$)는 모두 0.92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GCM 선정에 따른 오차는 원시 GCM을 통해 선정된 16개 GCM을 사용한 경우 유입량 재현성 평가에 있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상세화 자료를 유역 모델링에 활용하는 경우 GCM의 선정보다는 상세화 기법의 선정이 전체적인 재현성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기간에 대한 평균 유입량 전망은 모든 RCP 시나리오에서 근 미래 보다는 중간 및 먼 미래 기간 동안에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미래 기간에 대해여 RCP 8.5 시나리오가 RCP 4.5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유입량의 증가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홍수 관리측면에서 중요한 일 최대 유입량의 미래 변동은 평균 유입량과 비교하여 최대 두 배 이상의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댐운영 측면에서는 연간 총 유입량의 변화보다 시기별 유입량의 변동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평균 유입량 및 일단위 최대 유입량 모두 근 미래 기간에 대해서는 RCP 시나리오 모두 7월 및 8월을 중심으로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중간 미래에서 먼 미래로 갈수록 평균 및 일단위 최대 유입량 모두 전체 기간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