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선정

Search Result 6,29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e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의 자료선정에 관한 연구)

  • Kang, Eun-Yeong;Chang, Durk-Hy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3
    • /
    • pp.457-479
    • /
    • 2012
  • This paper strive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processes in public libraries. It specifically attempts to survey the budget allocati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usage of selection criteria, and priority of selection decision in collection development units in public libraries. Staff structure, committee activities, methods of selection, usage of selection tools and librarians' recognitions about selection process are also investigated. Data are drawn from a survey with 315 public libraries in the country. Specific statistics to be analyzed via literature, although not detailed in nature, are scrutinized as well. As a conclusion, the paper discusses such an issue as current situation in selection of materials public libraries and possible impetus toward a better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Application for the Selection Criteria of Ap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기준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Kim, Soo-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9-173
    • /
    • 2006
  • 일반적으로 확률수문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수문자료에 대해 빈도해석을 실시한 후 확률수문량을 산정하게 된다.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확률분포형에 따라 확률수문량의 값은 많은 차이를 나타내므로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은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나,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에 있어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는 검정통계량을 이용한 방법의 적용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umbel, GEV 분포형과 Weibull,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을 선택하고 각각의 분포형에 대해 자료의 크기별 모의를 통해 자료를 발생시킨 후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적합도 검정 단계에서 산출되는 검정통계량을 비교하여 적정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여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자료 발생에 이용된 분포형과는 관계없이 자료수가 작을수록 2변수 gamma, 자료수가 많을수록 5변수 Wakeby가 제일 많이 선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umbel, GEV,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의 경우는 대체로 자료의 수가 많아질수록 선정되는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selection method for Hydrological Reference Station (수문학적 참조관측소 선정방법 개발)

  • Chi Young Kim;Young Hun Jung;Hee Joo Lim;Hyeok Jin 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1-271
    • /
    • 2023
  • 수문학적 기준지점(HRS, Reference Hydrological Station)은 유량의 변동성의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하는 관측소를 의미한다. 선진외국의 경우 운영목적과 수문학적 기준지점의 정의는 조금씩 다르지만 유사한 개념의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간의 수자원 부존량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모니터링 지점으로 정의하며, 미국의 경우 시간에 따른 수문학적 특성의 자연적인 변화 및 인간의 활동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준값을 제공하기 위해 참조지점(HBN, Hydrological Benchmark Network)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한다. 영국은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수문학적 응답을 조사할 목적으로 참조지점(RHN, Reference Hydrological Network)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로 자연유역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WMO는 2006년 '기후연구를 위한 적절한 유량관측소'를 선정해 줄 것을 회원국에 요청하고,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독일의 GRDC(Global Runoff Data Centre)에 수집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 '자연에 가까운 유역특성을 갖는 하천 유량관측망 중 양질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관측소'를 고려하여 수문학적 기준지점을 선정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간의 유량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관측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장기간의 유량자료를 보유한 지점 또한 홍수예보, 댐 운영 등 물관리 업무에 직접 활용하기 위해 대하천의 본류 중심으로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를 기준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부합하는 기준관측소를 선정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으로 미래에 수문학적 기준지점이 될 수 있는 관측소를 선정하여 장기간 모니터링을 통해 기준관측소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수문학적 기준관측소 선정기준을 비교 검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준관측소 선정기준을 개발하였다. 선정 기준은 ① 유역의 개발정도, ② 댐·저수지 등 인위적인 조절 정도, ③ 취수량 또는 방류량 등 유역간의 물 이동, ④ 유량자료의 보유기간 및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기준지점의 선정을 위한 절차를 ① 수위관측소 사전목록의 작성, ② 관측소 정보 분석(유역특성, 시계열자료 등), ③ 수문학적 기준관측소 후보 선정, ④ 유관기관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한 우선순위 선정 등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PDF

Digital Resources Selection Policy of the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 전자자료 선정정책)

  • Kim, Yi-Sook;Nam,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195-204
    • /
    • 2005
  • 본 연구는 전자자료의 활용을 통한 학교도서관의 전자자료 선정정책에 관한 다양한 문제 및 그에 따른 현황을 조사, 분석, 평가하였다. 그 결과와 함께 전자자료 선정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학교도서관 선정정책의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인 장서구성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

지하수 오염 분포도 작성에서 정규크리깅과 지시크리깅 기법의 상호 보완성 연구

  • 김태형;정상용;강동환;김민철;서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77-481
    • /
    • 2004
  • 지하수 수질자료의 분포가 광역적이고 자료의 수가 많은 지역과 자료의 분포가 국부적이고 갯수가 적은 지역을 선정하여, 모수적 통계기법인 정규크리깅과 비모수적 통계기법인 지시크리깅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베리오그램 분석은 각 수질자료의 원시 자료와 제한값을 적용하여 제한값 보다 낮거나 동일하면 '1' 의 값으로, 제한값 보다 높으면 '0' 의 값으로 변환된 자료에 대해 실시하였는데, 원시 염소이온 성분은 선형 모델이 선정되었으며, 비소 성분은 지수형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정되었다. 변환된 염소이온 성분과 비소 성분은 모두 구상형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정되었다. 정규크리깅과 지시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분포도를 작성하여 비교해 본 결과, 정규크리깅 기법은 연구지역의 자료 분포, 갯수와 범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시크리깅 기법은 연구지역의 자료 분포와 특히 제한값에 따라 변환된 자료의 갯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정규크리깅 기법과 정성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시크리깅 기법을 같이 적용한다면 지하수 오염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OASIS Selection Guidelines (OASIS의 선정지침 개선(안)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Go,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3
    • /
    • pp.105-137
    • /
    • 2012
  •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Internet resources is indisputable, therefore many national institutions have created Web archiving projects to hand down this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s. The selection guidelines are the most crucial aspect of these projects because they aid in differentiating which resources are worth collecting and preserving from the large number of web resources avail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OASIS Selection Guidelines by analyzing the selection guidelines of oth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 archiving project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Web archiving projects abroad, we proposed improvements for the definition of Web data and other term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llection, collection methods, and collection cycle. Second, we proposed substantial improvements in the target resources for archiving, and also stated what kind of web resources must be excluded from Web archiving. Finally,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legal deposit of online resource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 database for selected target materials,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archiving policies.

Swell Effect Correction of Sub-bottom Profiler Data with Weak Sea Bottom Signal (해저면 신호가 약한 천부해저지층 탐사자료의 너울영향 보정)

  • Lee, Ho-Young;Koo, Nam-Hyung;Kim, Wonsik;Kim, Byoung-Yeop;Cheong, Snons;Kim, Young-Jun;Son, Woohy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8 no.4
    • /
    • pp.181-196
    • /
    • 2015
  • A 3.5 kHz or chirp sub-bottom profiling survey is widely used in the marine geological and engineering purpose exploration. However, swells in the sea degrade the quality of the survey data. The horizontal continuity of profiler data can be enhanced and the quality can be improved by correcting the influence of the swell. Accurate detection of sea bottom location is important in correcting the swell effect. In this study, we tried to pick sea bottom locations by finding the position of crossing a threshold of the maximum value for the raw data and transformed data of envelope or energy ratio. However, in case of the low-quality data where the sea bottom signals are not clear due to sea wave noise, automatic sea bottom detection at the individual traces was not successful. We corrected the mispicks for the low quality data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by picking a sea bottom within a range considering the previous average of sea bottom, and excluding unreliable big-difference picks. In case of trace by trace picking, fewest mispicks were found when using energy ratio data. In case of picking considering the previous average, the correction result was relatively satisfactory when using raw data.

Artificial statistician/tool selection (AS/TS: Insight 2를 이용한 통계기법선정자문시스템)

  • 김용진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5 no.1
    • /
    • pp.45-55
    • /
    • 1988
  • 다양한 통계기법을 이용하는 연구자들은 부적합한 통계기법을 선정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는 실정이며, 자신의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통계기법을 선정함에 있어 어느 기법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통계기법 선정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AS/TS)은 수집된 자료의 특성과 연구목적에 적합한 기법을 연구자에게 선정해주는 전문가 시스템이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통계 패키지들은 이용자 자신의 연구목적에 가장 적합한 통계기법을 선택할 수 있는 지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AS/TS는 이들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기 전에 통계기법만 선택해 주도록 설계되었다. AS/TS는 MS-DOS를 탑재한 16bit 퍼스널 컴퓨터로 INSIGHT 2(shell)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limate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atellite Imagery for Asia-Pacific Regions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상 위성영상 기반 기후 자료 관리 시스템 개발)

  • Park, Jihoon;Park, Kyungwon;Jung, Imgook;Cho, Wo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영상 기반 고해상도의 신뢰성이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수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후 관리 시스템은 총 3가지의 위성자료(원시위성자료, 편의보정한 위성자료, 공간상세화한 위성자료)를 제공한다. 위성자료의 공간해상도는 $0.1^{\circ}$, $0.05^{\circ}$이며, 시간해상도는 1 day이다.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기후 자료가 구축된 한반도를 대상으로 위성영상 편의보정, 공간상세화 기법을 검증하고, 개발한 기법을 아시아-태평양에 위치한 바누아투에 적용하여 기후 자료를 생산하였다. 원시위성자료는 TRMM (Tropical Rainfall Measurement Mission) 위성과 GPM (Global Precipitation Mission) 위성을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편의보정은 GRA-IDW (Geographical Ratio Analysis-Inverse Distance Weighted), GRA-Kriging, QM (Quantile Mapping) 기법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 중 최적의 결과를 보여주는 GRA-IDW 기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공간상세화는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원시위성자료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상관계수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0.775로 비교적 정확도가 높게 나왔다. bias 값은 원시위성자료 값이 지상관측자료보다 과대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인 편의보정 기법으로 GRA-IDW 기법을 선정하여 편의보정한 위성자료를 생산하였다. 공간상세화한 위성자료를 검증한 결과를 앞서 분석한 원시위성자료, 편의보정한 위성자료와 비교하면, 공간상세화를 수행하기 전보다 상관계수는 다소 작아지고, RMSE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아 공간상세화한 위성자료를 응용분야에 직접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법을 활용하면 아시아-태평양에 신뢰성 있는 기후 관측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상지역 이외에 기상관측소의 수가 희박하고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본 과업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기후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00년 도서관계 10대 뉴스

  • Lee Yong-Hun
    • KLA journal
    • /
    • v.41 no.6 s.325
    • /
    • pp.48-51
    • /
    • 2000
  • 우리 협회에서는 한해의 도서관계 주요 뉴스를 정리함으로써 1년을 정리하고 새로운 발전을 도모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삼고자 올해부터 매년 도서관계 10대 뉴스를 선정ㆍ발표하기로 하였다. 올해 10대 뉴스는 우리 협회 사무국에서 기초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이를 참고자료로 첨부하여 관련 단체 및 협회 전문위원회 위원장 및 도서관인 대중에게 서면, 인터넷 등으로 의견을 수집한 후, 취합된 의견을 참고하여 협회 사무국에서 최종 선정하였다. 10대 뉴스 선정에는 우리 협회 조원호 사무총장, 이용남 기획위원회 위원장, 이경구 간행물편집위원회 위원장이 참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