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사용권

Search Result 6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organization of Water Rights Data Based on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MIS)을 기초로 한 유역 수리권 자료 재구성)

  • Kim, Jung Ho;Kim, Ta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2-282
    • /
    • 2015
  • 도시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구증가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은 새로운 저수지 건설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개발이 불가능한 현 상황에서 더욱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한된 물 사용에 대한 효율적인 배분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물에 대한 권리, 즉 수리권(water rights)에 대한 자료 및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수리권에 대한 자료는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에서 특정년도에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에 대하여 정보가 권역, 시도 및 하천등급별로 구성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텍사스 수자원 관리 모델인 Water Availability Model(WAM) 시스템의 구성 요소 모델인 Water Rights Analysis Package (WRAP) 모델에 적용하기 위하여 권역별로 구성되어 있는 수리권 정보를 물 사용자의 지정학적 위치 및 점용년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한강유역의 수리권 정보를 중점으로 수행되었으며 재구성 수리권 정보는 자연 순위 (natural order) 및 우선 순위 (priority order) 수리권의 두가지 형태의 입력값으로 WRAP 모델에 활용되었다.

  • PDF

Assessing Impacts of Water Rights Corresponding to Simulation Periods (모의 기간에 따른 수리권 영향성 평가)

  • Kim, Tae Jin;Kim, Jae Ha;Lim, Ji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7-377
    • /
    • 2022
  • 수리권은 물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닌 지속적이고 배타적으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국내 수리권은 공유하천용수권, 관행수리권, 허가수리권, 댐사용권 및 농어촌용수 수리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연안주의 수리권 (Riparian Rights), 유용한 사용의 원칙 (Beneficial Use Doctorin)에 근거한 우선전용 수리권 (Prior Appropriation Rights)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물 분쟁이 발생할 경우 동등배분원칙에 따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수리권의 경우 댐 건설할 경우 건설 주체 및 비용 분담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어 별도의 수리권 규정 절차가 없으며 농업용수에 대한 관행수리권 또는 기득수리권이 존재할뿐 그 외의 생활용수 등에 대한 수리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검토된 국내외 수리권 법률 및 해결 방안에 대한 비교 및 검토 결과는 향후 국내의 수리권 법률 규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DC 제21판의 특성과 사용법

  • O, Dong-Geun
    • KLA journal
    • /
    • v.38 no.3 s.304
    • /
    • pp.3-39
    • /
    • 1997
  • 본고는 DDC 제21판의 제1권에 실려 있는 "Introduction to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을 원출판사로부터 한국어 번역권을 얻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서론은 DDC 제21판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그 편찬자들이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서, 일선 실무 사서는 물론 DDC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ediction of Snow Damag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대설피해 예측 및 적합성 검토)

  • Lee, Hyeong Joo;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2-192
    • /
    • 2020
  • 취약성 분석의 결과로 폭설에 의한 기후노출은 현재에는 강원권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래에는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을 연결하는 축으로 취약지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대설피해 예측을 실시하였다. 머신러닝 기법으로는 로지스틱회귀모형, 서포트벡터 머신, 의사결정트리 모형을 적용하였다. 종속변수로 대설피해액 자료를 이용하였고, 독립변수로 기상관측자료, 사회·경제적 요소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사용했던 다중회귀모형과 머신러닝 기법으로 예측한 예측력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예측력이 가장 높은 머신러닝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설피해 예측을 위해 사용된 예측력이 가장 높은 기법을 활용하여 대설피해를 예측한다면, 미래에 전국적으로 확대될 대설피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tercomparison of Middle and Low Tropospheric Temperature from Satellite with ECMWF Reanalyses;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위성관측에서 유도된 중간 및 하부 대류권 온도와 ECMWF 재분석 결과 사이의 상호 비교; 시.공간 변동)

  • 이은주;유정문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43-48
    • /
    • 2000
  • 중간 및 하부 대규권의 열적 상태에 대한 결과들의 상대적인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기대순환 모델의 재분석(1980-93년) 그리고 세 종류의 위성관측 자료들(1980-97년)을 태평양, 한반도 부근에 대한 시.공간 분석으로 상호 비교하였다. 중간 대류권 온도를 반영하는 위성자료는 본 연구에서 유도된 Microwave Sounding Unit (MSU) 채널2 직하점 밝기온도(MSU2)와 Spencer and Christy(1992a)가 전체 주사자료를 사용하여 유도된 채널2 밝기 온도(SC2)이고, 하부 대류권 온도를 반영하는 위성자료는 Spencer and Christy(1992a)가 유도한 것이다(SC2R). 또한, 모델 자료는 ECMWF 재분석 온도이며, 위성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위하여 재구성되었다. 한편, 각 위.경도 격자에서 위성관측과 모델 재분석의 월평균 값들의 상관도 전구적으로 조사하였다. 세 종류의 관측 자료들 간의 상관은 중.고위도에서 높았으나(r$\geq$0.9), 저위도 그리고 대류가 활발한 열대 서태평양 및 콩고강 부근에서 낮았다(r~0.65). 특히 SC2R에 대한 다른 자료의 상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하부 대류권의 열적 상태를 반영하는 SC2R이 수적 및 지표방출의 영향으로 잡음을 크게 내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관측들과 모델 온도에 대한 월평균과 아노말리 값의 분석에서 시.공간 변동은 대체로 유사하였다. 관측 및 모델 자료는 열대 태평양 이외의 지역에 대한 월평균 값 모드1에서 연주기를 보였으나, 열대 태평양의 경우 모드2에서 보였다. 열대 태평양의 MSU2 모드1은 Walker 순환에 의한 동.서 대비를 보인 반면, 다른 위성관측과 모델 자료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현저하지 않았다. 이 지역의 아노말리 값 모드2에서 위성관측들은 엘리뇨 기간에 적도를 중심으로 열대 동태평양 부근에서 아령모양의 대칭 형태를 보였으나 모델 결과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약하였다. 관측과 모델 모두는 열대 태평양에 대한 아노말리 값의 모드 1,2에서 엘니뇨와 라니냐에 의한 경년변동을 뚜렷하게 보였다.

  • PDF

Ionospheric and Upper Atmospheric Observations in Korea (국내 우주환경 자료 보유 현황: 전리권/고층대기)

  • Lee, Changsup;Lee, Woo Kyoung;Division of Solar and Space Environment of KSSS,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1 no.2
    • /
    • pp.199-216
    • /
    • 2021
  • In 2020, the solar and space environment division at the Korea Space Science Society surveyed the status of data archives in solar physics, magnetosphere, and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 Korea to promote broader utilization of the data and research collaboration. The survey includes ground- and satellite-based instruments and developing models by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reports the status of the ground-based instruments, data products in the ionosphere and upper atmosphere, and documentation of them. The ground-based instruments operated by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clude ionosonde, Fabry-Perot interferometer in Arctic Dasan stations, Antarctic King Sejong/Jang Bogo stations, and an all-sky camera, VHF radar in Korea. We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otal electron content and scintillation observations derived from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tation networks in Korea. All data are available via the webpage, FTP, or by request. Information on ionospheric data and models is available at http://ksss.or.kr. We hope that this report will increase data accessibility and encourage the research community to engage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Space Science Data Ecosystem, which supports archiving, searching, analyzing, and sharing the data with diverse communities, including educators, industries, and the public as wells as the research scientist.

Scheduling for guaranteeing QoS for continuous media (연속적 미디어의 서비스 질 보장을 위한 스케줄링)

  • 길아라;구제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93-195
    • /
    • 2003
  • 분산 환경의 않은 멀티미디어 응용들은 연속적 음성/화상 자료들을 위한 실시간 특성을 가지는 패킷들을 생성하고, 실시간 태스크 스케줄링 이론에 따라 이들을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 멀티미디어 응용의 연속 미디어를 위한 트래픽의 특성을 모델링하고, 보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 질의 보장을 위하여 비선점적 경성 실시간 태스크 스케줄링 이론인 PDMA 알고리즘을 도입한다. 또한 응용 시스템의 고 품질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트래픽 발생 요청이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어하는 사용권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사용권 제어 기법은 PDMA 알고리즘을 위한 충분조건식이기 때문에 이를 만족하는 메시지 집합에 대하여 PDMA 알고리즘은 항상 실행가능한 스케줄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요청을 포함하는 전체 메시지 집합이 제안하는 사용권 제어 기법의 조건들을 만족하면, 새로운 요청에 의한 트래픽의 발생을 허용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새로운 요청을 거절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용권 제어 기법을 이용하는 스케줄링의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한 모의실험 결과를 보인다.

  • PDF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by Sex (남녀별 경제활동참가율의 지역별 비교분석)

  • Park, Jong T.;Jang, Hee S.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4 no.1
    • /
    • pp.71-81
    • /
    • 2014
  • It is important for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abou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by sex and total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to a policy data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an use policies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region and keep the efficiency of detail policy application. This paper shows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abou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by sex fo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Gangwon region, Chungcheong region, Youngnam region, Honam region usi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in 16 cities and provinces. We used the survey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for 13 years from 2000 to 2012, we calculated total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by sex about the 5 regions. And we analyzed the relative ratio betwee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of male and female by each region, w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by sex.

  • PDF

Terrestrial Magnetospheric Observations and Models in Korea (국내 우주환경 자료 보유 현황: 자기권)

  • Park, Kyung Sun;Min, Kyungguk;Division of Solar and Space Environment of KSSS,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1 no.2
    • /
    • pp.178-198
    • /
    • 2021
  • The Solar Space Environment Division of the Korean Society of Space Science (KSSS) has recently conducted a survey among the domestic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cademia,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for-profit institutes of how the data and models in their professional research field are produced, maintained, and utiliz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space environment data and models as well as to promote constructive collaborations amo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The models and data surveyed are categorized into three sub-fields: the solar and interplanetary space, the (terrestrial) magnetosphere, and the ionosphere and upper atmosphere. The present paper reports the survey results in the "Magnetosphere" category. The survey shows that the domestically produced data in this category are far less than the data produced in other categories. This can be understood in part as follows: Magnetospheric research relies heavily on the in-situ observations bu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pace-hardened satellites require a significant investment. Nevertheless, the recent publications show an increasing trend of research using the data from the ground stations and the recently launched domestic space missions. In the modeling front, there are first-principles physics models covering from the magnetospheric scale to the sub-ion scale and the models geared towards the space weather prediction. The detailed survey results can be accessed from the KSSS website (http://kss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