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료분석도구

검색결과 2,134건 처리시간 0.043초

신뢰성 시험자료의 통계적 분석 절차에 관한 연구

  • 이낙영;김종걸;권영일;홍연웅;전영록;나명환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1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231-232
    • /
    • 2001
  • IEC 60300에서 규정한 신뢰성시험으로부터 얻은 시험자료(Test Data)의 형태와 자료분석에 쓰이는 통계적 도구와 자료분석도구와 분석과정에 대해서 수리가능한 제품과 불가능한 제품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PDF

통합신뢰성(Dependability) 시험자료 분석 및 절차에 관한 연구

  • 이낙영;김종걸;홍연웅;권영일;전영록;나명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6
    • /
    • 2001
  • IEC 60300에서 규정한 신뢰성시험으로부터 얻은 시험자료(Test Data)의 형태와 자료분석에 쓰이는 통계적 도구와 자료분석도구와 분석과정에 대해서 수리가능한 제품과 불가능한 제품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PDF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모형과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시계열예측의 비교 (A Comparison of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ime Series Prediction)

  • 윤여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16-1519
    • /
    • 2011
  • 예측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에는 비선형 자료와 시계열과 같은 선형 자료 등이 있다. 이들 자료는 그 함축적인 관계가 매우 복잡하여 전통적인 통계분석 도구로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신경망 분석은 비모수적 문제나 비선형 곡선 적합능력의 우수성 때문에 현실세계에서의 고유한 복잡성을 다루는 많은 경제 응용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신경망은 또한 경제 시계열자료의 예측분야에서도 여러 연구에서 훌륭한 도구로서 적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시계열자료의 예측은 선형 자료적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분석도구인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ARIMA)모형을 이용한 시계열분석이 일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경망과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 주가변동 자료 및 자동차등록 현황 자료등과 같은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예측결과를 비교한다. 연구의 결과는 신경망을 이용한 예측 방법들이 ARIMA 예측 결과보다 통계적으로 작은 오차를 주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의료 영상 분석을 위한 영상분석도구의 구현 (Implementation of Image Analyzer for Medical Image Analysis)

  • 이병일;최익환;황해길;최현주;최흥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61-164
    • /
    • 2001
  • 정밀한 자료처리를 위한 영상 분석도구의 개발과 더불어 영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영상처리와 분석 방법의 개발은 좋은 연구 보조 도구가 된다. 외국의 수입에 의존적인 현재의 연구환경에서 개발자로서의 영상분석도구의 설계 및 구현은 고가의 장비를 대치할 만한 대체효과와 더불어 개인의 개발의지와 아이디어를 쉽게 반영하여 실습해 볼 수 있는 도구적 기능으로서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영상 분석을 위한 영상분석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여 의료영상에 대한 처리를 하여 보았다. 영상분석도구의 계속적인 개발은 영상처리 및 분석을 연구하는 개발자에게 좋은 실험도구가 될 것이 다.

  • PDF

일변량 자료의 왜도와 첨도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의 불꽃그림 (Firework plot as a graphical exploratory data analysis tool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outliers in skewness and kurtosis of univariate data)

  • 문승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2호
    • /
    • pp.355-368
    • /
    • 2016
  • 특이점 및 영향점은 자료분석을 하는 데 사용되는 계량적이고 기술적인 많은 측도들을 왜곡한다. 각종 자료분석에 있어서의 특이점 검색을 위한 검정 통계량이나 그림도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Jang과 Anderson-Cook (2014)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림도구를 발표하였는데 이상점이나 영향점이 일변량/이변량 자료분석 및 회귀분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3-D 불꽃그림 및 불꽃그림 행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꽃그림이 일변량 자료의 왜도와 첨도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통계적 추론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의 불꽃그림 (Firework plot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outliers in statistical inference)

  • 문승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155-165
    • /
    • 2018
  • 특이점 및 영향점은 자료분석을 하는 데 사용되는 수치적 측도들을 왜곡한다. 각종 자료분석에 있어서의 특이점 검색을 위한 검정 통계량이나 그림도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Jang과 Anderson-Cook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30, 1409-1425, 2014)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림도구를 발표하였는데 특이점이나 영향점이 일변량/이변량 자료분석 및 회귀분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3-D 불꽃그림 및 불꽃그림 행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꽃그림이 통계적 추론에서 특이점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초등 읽기 어휘 조사 도구의 설계 (Design of Investigating Tool of the Vocabulary of the Korean Language Reading Textbooks for the Elementry School)

  • 배진성;김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556-558
    • /
    • 2003
  • 초등학생들에게 읽기 교과서는 어휘 습득에 있어 의도적인 자료의 시작으로, 그 어휘를 조사, 계량화하는 일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어휘 조사 과정의 중요한 작업은 많은 양의 자료를 색인, 계량하는 일이다. 이러한 자료 처리에 컴퓨터를 이용하면, 많은 부분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분석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많은 양의 자료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도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어휘 조사 과정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자료를 재활용 할 수 있는 어휘 조사 도구를 설계하게 되었다.

  • PDF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도구 분석 (Analysis of Dementia Tests Affecting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박이랑;강광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81-189
    • /
    • 2021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MMSE-K, SGDS, NPI-Q, BADL IADL CDR 평가도구 결과를 분석하여 치매평가 도구들 간의 상관관계와 치매중등도 판정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개 병원의 알츠하이머대상자의 치매검사자료인 2차 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일개 치매검진병원에서 등록 관리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총 6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매평가도구 중 치매중등도 판정에 영향력이 큰 유의한 도구로는 CDR, ADL, MMSE-K, SGDS 도구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도구로는 NPI-Q, IADL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Using History in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 김은숙;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71-4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II>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ankvist(2009)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이유와 방법에 따른 수학사 활용 유형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수학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사 과제가 대부분 정의적 도구로 사용되었고, 인지적 도구나 목표에 해당하는 과제는 소수에 불과했다. 둘째, 정의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대부분이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것이고 수학자가 겪었던 어려움 등을 통해 수학의 인간적 측면을 보여주는 수학자 과제는 1개이다. 셋째, 정의적 도구와 목표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는 모두 설명 자료이고, 인지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10개 중 2개는 설명 자료, 8개는 모듈 자료이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활용의 중요성과 가치를 고려할 때, 인지적 도구-모듈 자료, 목표-모듈 자료 형식의 수학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나 수학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Cases of Discrepancy in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Focusing on Testing Tool in Affective Area)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91-909
    • /
    • 2017
  • 이 연구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인지적 정의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불일치 사례를 분석했다. 30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성취도를 양적 자료로 수집했고, 그 중 33명의 학생을 면담한 질적자료를 분석했다. 주로 검사 도구의 측면에서 불일치 사례의 원인과 유형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양적 자료인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 영역 각각에서 과목별, 구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었고, 특히 두 영역 간 성취도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도 20% 이상 분석되었다. 선택한 진로와 진학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학 학습을 조절한 사례, 학교 과학과 과학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 등의 사례가 면담을 통해 발견되었다. 도구로 측정한 양적 자료와 학생들의 면담 내용인 질적 자료를 비교한 결과 스스로 반응한 양적 자료와 다르게 자신을 평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이 검사 도구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검사 도구와 관련된 불일치 유형은 '문항 개발자가 의도한 개념과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간 차이'와 '표현된 반응과 속마음 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용어가 학생들에게 모호하게 인식될 때 자의적이거나 일관성 없이 반응하는 경우가 전자에, 사회적 바람직성이나 자아 방어 기제에 의한 반응 왜곡은 후자에 해당한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가 학생들의 실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정교화하려는 노력, 학습 경험을 획일적으로 고정시키는 평가 개선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