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항법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utomatic Landing Flight Test of TR-60 Tilt Rotor UAV based on RTK GPS (RTK GPS 기반 TR-60 틸트로터무인기 자동착륙 비행시험)

  • Yu, Chang-Seon;Jang, Eun-Yeong;Song, Bok-Seop;Jo, Am;Park, Beom-Jin;Kim, Yu-Sin;Gang, Yeong-Sin;Choe, Seong-Uk;Gu, Sam-O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30-34
    • /
    • 2016
  • TR-60 틸트로터 무인기는 전장 3m, 최대이륙중량 200kg로서 2013년 2월 자동천이비행에 성공한 비행체로서 현재 해상운용을 위한 함상이착륙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무인기 해상운용은 육상보다 심한 염무와 바람과 선박의 운동에 의한 착륙대의 이동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동이 있는 착륙대와 착륙장 주변의 장애물을 고려하면 정확한 착륙을 위한 정밀한 항법유도가 요구된다. TR-60의 정밀항법유도를 위해서 수cm 단위의 정확도를 갖는 RTK GPS 기반의 정밀상대항법과 이동 착륙장 대한 자동착륙유도를 설계하고 구현함으로 함상자동 이착륙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RTK GPS 기반의 정밀상대항법과 자동착륙유도에 대한 연구와 함상접근착륙절차에 따른 자동착륙정확도 측정 비행시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UAV with Automatic Navigation Flight (자동항법비행이 가능한 무인기의 구현)

  • Park, Myeong-Chul;Kim, Dong-Hee;Lee, Seung-Woo;Lee, Gyu-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79-280
    • /
    • 2018
  • 본 과제는 비행체에 자동제어 시스템인 자동항법비행기능을 탑재한 무인기를 제작한다. 자동항법비행이 가능한 무인기는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기존의 비행체들 보다 정밀하고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며 조종자의 시야가 닿지 않는 곳에서의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공에서 영상을 촬영하며 5.8GHz대역의 영상 송 수신기를 통한 실시간 영상 확인이 가능하다. 본 과제는 GPS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미리 지정한 좌표를 따라 비행이 가능하며 실시간 영상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오염된 지역 등의 정찰이 가능하고, 비행체에 장착되는 장비에 따라 군용, 소방용 등의 다양한 범위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Operation System for Unmaned Automatic Navigation Vehicle for Water Quality Sampling (자율항법 자동수질측정 무인선박장치 운영시스템 개발)

  • Kim, Jin-Taek;Yun, Dong-Koun;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2-442
    • /
    • 2012
  • 농업용저수지 수질측정 현황은 17,600여 개소 농업용저수지 중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시설은 저수지 800개소이며, 농업용 호소로서 환경부 조사 시행 호소수질측정망시설 26개소(저수지 16개소, 담수호 10개소)를 포함한 826개소를 대상으로 농업용수 수질을 분석 평가하고 있다. 저수지 자율항법 자동수질측정을 위하여 개발한 운영시스템은 내용적측정 무인탐사선과의 연계운항 제어모듈 개발 및 저수지 수질측정을 위한 최적항로 운항모듈을 개발하였다. 자율항법 무인탐사선의 자동수질 측정을 위한 운항 제어 알고리즘 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자율항법 탐사선의 운항 알고리즘과 수질자동 측정장치 제어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연계 제어모듈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 하였다. 운영과정은 선박운영 프로그램에서 수질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Operation Start 명령을 전송하면 수질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이 명령을 수신한 이후에 윈치제어 및 수질측정, 각 해당 수심에서 시료채수를 수행한 이후에 Opeartion End 신호를 선박운영 프로그램에 전송하면 다음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농업용저수지의 무인자동 수질측정 및 채수기술을 개발 제공하도록 하겠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a map display and matching software for an automatic car navigation system (GPS 위성을 이용한 자동차용 자동항법장치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 장성호;이기혁;우창헌;김동우;윤재경;김수용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9 no.2
    • /
    • pp.35-49
    • /
    • 1993
  • The GPS satellite system, a satellite system for global positioning, is making itself more and more useful for various kinds of civil application and especially for the automatic car navigation system. A simple map display and matching system can be developed comb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s and the accurate digiral map stored in a digital form. In this paper, the structure and the implementation details of the software half of the system and the testing results of the system are presented.

Pre-simulation based Automatic Landing Approach by Waypoint Guidance for Fixed-Wing UAV (사전 시뮬레이션과 점항법 유도를 이용한 고정익 무인기의 자동 착륙 접근)

  • Lee, Jehoon;Park, Sa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7
    • /
    • pp.557-564
    • /
    • 2021
  • This paper describes an automatic landing approach algorithm for fixed-wing UAVs using waypoint guidance.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simple 2D Dubin's vehicle pre-simulations in planning the waypoints for landing approach. The remaining time to reach the runway is also estimated in the pre-simulation, and it is used for altitude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algorithm was verified by simulations and flight tests.

Relative Navigation for Autonomous Aerial Refueling Using Infra-red based Vision Systems (자동 공중급유를 위한 적외선 영상기반 상대 항법)

  • Yoon, Hyungchul;Yang, Youyoung;Leeghim, Henze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6 no.7
    • /
    • pp.557-566
    • /
    • 2018
  • In this paper, a vision-based relative navigation system is addressed for autonomous aerial refueling. In the air-to-air refueling, it is assumed that the tanker has the drogue, and the receiver has the probe. To obtain the relative information from the drogue, a vision-based imaging technology by infra-red camera is applied. In this process, the relative information is obtained by using Gaussian Least Squares Differential Correction (GLSDC), and Levenberg-Marquadt(LM), where the drouge geometric information calcul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is used. These two approaches proposed in this paper are analyz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Robust autopilot design for submarine vehicles (강인제어법을 통한 잠수함의 자동항법장치 설계)

  • You, Sam-Sang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3
    • /
    • pp.180-190
    • /
    • 1997
  • 잠수함이 저심도 조건에서 특수임무 수행시, 표면파도 및 조류등 외란의 영향하에서 요구심도 및 위치 유지를 위한 강인한 자동항법장치 설계는, 첨단 군용 잠수함 개발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잠수함 조종 운동역학계에 기초하여, 정확한 심도 및 피치 운동 제어를 위해 선형 행렬 부등식을 이용한 혼합 $H_2/H_{\infty}$ 설계법을 사용, 다중 목적 함수로 표현된 잠수함의 조종성능들을 개선하였다. 또한, 제어기 설계법의 타당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제어법은 각종 외란 및 계의 불확실성하에서 잠수정의 만족스러운 과도 상태 응답과 일정 심도 유지 및 피치 각도 변동 최소화에 적합한 강인한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 PDF

Real-time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for Vision-based Autonomous Navigation (영상기반 자동항법을 위한 실시간 위치인식 및 지도작성)

  • Lim, Hyon;Lim, Jongwoo;Kim, H. 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5
    • /
    • pp.483-48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monocular visual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in the large-scale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continuously computes the current 6-DoF camera pose and 3D landmarks position from video inpu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builds consistent maps from challenging outdoor sequences using a monocular camera as the only sensor. By using a binary descriptor and metric-topological mapping, the system demonstrates real-time performance on a large-scale outdoor dataset without utilizing GPUs or reducing input image si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on various challenging video sequences.

Development and Estimation of Low Price-Small-Autopilot UAS for Geo-spatial Information Aquisition (지형정보획득용 저가 소형 자동항법 UAS개발 및 평가)

  • Han, Seung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4
    • /
    • pp.1343-1351
    • /
    • 2014
  •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 wireless networks an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mini-UAVs and their utilizations in various ways. This study endeavors to develop a low-cost mini-UAV with autonomous flight capability, in order to obtain geospatial information of a small or medium-sized area, and also assess its flight stability by comparing the predetermined flight paths against the actual flight paths. Based on a post-development flight test, stable flight has been proven achievable as follows: the maximum endurance speed is 1 hour, the flying distance is 50km, the horizontal accuracy of flight paths is about ${\pm}6{\sim}8m$, and the altitude accuracy is about ${\pm}8m$. Therefore, it is deemed that high-resolution images which can be utilized for geospatial information are obtainable. This indicates that a UAV flying at an altitude of 200m can acquire images across a $2km{\times}3km$ area on the ground within 25 minutes, which validates its high usability for obtaining high-solution images at low altitudes in the future.

Design and Testing of integrated MEMS GPS/AHRS navigation system (MEMS 센서를 이용한 GPS/AHRS 결합 항법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Hong, Jin-Seok;Kim, Seong-Jung;Jeong, Hak-Yeong;Lee, Hyeon-Cheol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1a
    • /
    • pp.302-307
    • /
    • 2004
  • 무인 항공기는 지상 조종 또는 자동 비행으로 원격제어, 각종 정찰, 수송, 및 공격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비행체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인기의 자율 운항을 위해서는 위치, 속도 및 자세 등의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며 크기가 작은 무인기를 위해서는 탑재체의 중량이 적은 항법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에는 반도체 MEMS 기술을 이용한 저가형 관성 센서들이 많이 개발 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소형, 저전력, 고정밀 항법 시스템들이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GPS/AHRS 결합 시스템은 자세각, 각속도, 가속도 정보 및 GPS를 이용한 위치, 슥도 정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비행체의 자율비행을 위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MEMS 센서를 기반으로한 GPS/AHRS 결합 항법 시스템 설계하고 차량을 이용하여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