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제어 실험

Search Result 48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ing heater using automatic resonant frequency tracking method (자동 공진 추종기법을 이용한 온풍기 개발)

  • Moon, Jeong-Hoon;Lee, Jung-Hwan;Park, Seong-Mi;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29-430
    • /
    • 2016
  • 농업용 하우스의 온방장치로 기존의 경유식 온풍기 구조에서 전기식 온풍기 구조로 바뀌고 있으며, 전기식 온풍기의 경우 멸균을 겸하는 고주파 유도가열 온풍기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공진 추정기법을 이용한 정격 시 공진형 영전류 스위칭 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온풍기 특성에 맞는 새로운 주파수제어 영역을 사용하여 제어하였다. 또한 새롭게 제안하는 공진점 추종 제어 기법을 사용한 유도가열 시스템을 구현 하여,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idnight Electric Ondol (축열식 전기온돌 공급시간자동제어시스템)

  • Park, S.;Jung, B.;Yu, 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369-371
    • /
    • 2002
  • 기저부하조성 및 부하율 망상을 위한 심야 전력요금제도의 정착으로 최근 심야전력축열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심야전력축열기기들이 심야요금개시시간대인 22:00경에 동시에 가동됨에 따라 23:00경에 심야전력 부하가 최대에 이르러 전력피크가 발생하여 한전의 수요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 피크 부하를 심야전력 공급시간대의 저부하 시간대로 분산시킬 수 있는 심야전력기기 공급시간제어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미 축열식전기보일러와 축열식 전기온수기에는 개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다른 심야전력축열기기와는 달리 자연방열의 바닥축열난방방식인 축열식전기온돌의 공급시간자동제어장치 알고리즘을 실증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An estimate of silicon wafer's cross section shape by interpolation (보간법에 의한 실리콘웨이퍼 단면도 추정)

  • 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345-348
    • /
    • 2001
  • 반도체에 이용되는 실리콘웨이퍼 생산에 있어 평탄도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실리콘웨이퍼의 평탄도는 POLISHING이라는 공정과정을 통하여 측정하고 제어하고 있는데 현재 측정장비에서 보여주는 웨이퍼의 모양을 사람에 의해 제어하고 있어 경험이 필요하고 일일이 사람이 체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평탄도가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측정되고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웨이퍼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하여 보여주는 장비에서 이미지와 함께 나타나는 몇 개의 정량적인 항목을 이용하여 웨이퍼의 단면도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 평탄도가 자동으로 측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Spline보간법을 이용하였고 웨이퍼의 특정단면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단면도도 추정할 수 있으며 수치실험을 통해 Lagrange보간법과 비교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ISOP active-clamp forward converter for 3.2kW DC-DC Converter of EV application (전기자동차용 3.2kW급 DC-DC 컨버터를 위한 ISOP 능동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개발)

  • Kim, Kangsan;Kim, Byeongwoo;Cho, Woosik;Naradhipa, Adhistira;Choi, Sewan;Huh, Dongyoung;Kim, Soohong;Cho, Kyungra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223-22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저전압 배터리 충전기(Low-voltage DC-DC Converter, LDC)에 적합한 입력 직렬-출력 병렬 구조의 능동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의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모든 스위치에서 소프트 스위칭을 성취하기 때문에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누설 인덕턴스의 영향을 포함한 컨버터의 정확한 소신호 모델을 통하여 모델링 기반의 제어기 설계를 제시한다. 제어기의 시뮬레이션 및 3.2kW급 시작품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컨버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 Reinforcement Learning Design for Control Automation in Heat-up Mode of a Nuclear Plant (원전의 고온대기 운전 자동화를 위한 강화학습 설계)

  • Park, JaeKwan;Kim, TaekKyu;Seong, SeungHwan;Koo, Seo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10-1013
    • /
    • 2020
  • 차세대 원전의 계측제어 기술 분야에서는 운영시스템의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운전원의 부담은 낮추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원전의 운전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원전 자동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원전 고온대기 모드에서의 자동 제어를 고안하기 위한 강화학습 설계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 원전 시뮬레이터를 강화학습이 가능하도록 확장하였고 강화학습 핵심 요소를 원전 운전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는 강화학습 기술이 차세대 원전 자동 제어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 Study on PID Gain Auto Tuning for Steering Type mobile robot (조향형 이동로봇을 위한 PID 이득 자동 튜닝에 관한 연구)

  • Jung, Se-Young;Yang, Tae-Kyu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1 no.4
    • /
    • pp.39-43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PID gain auto tuning method in steering type mobile robot. PID controller gain select method are various methods. Ziegler-Nichols step tuning method is one method tuning in PID controller. Use step tuning method find a the first gain and did experiment in steering mobile robot. and Make a new the second gains from the first gains. After appling the second gain in PID controller, Where perform observe for convergence time and stabilization error. Experiments result the second gain are useful in real steering mobile robot system.

Cooling Fluid Study i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냉각유체에 대한 연구)

  • 김준범;이흥주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7a
    • /
    • pp.93-96
    • /
    • 2005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에서는 수소이온의 이온전도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가습하여 주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가습에 소요되는 부품을 일부라도 제거할 경우 연료전지의 효율은 높이고 제작단가도 경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가습 및 무가습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정확한 data의 수집과 시험장비의 자동제어를 위하여 National Instrument사의 compact field point (cFP)를 사용하였다. Humidifier와 heater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유체의 상대습도 및 온도를 각각 조절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이론적 온도는 Antoine equation 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Anode와 cathode 양측 $100\%$ 가습 경우를 기준으로 가습량을 조절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성능 차이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양측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볼수 있도록 하였다. Stack의 온도가 $70^{\circ}C$이고 양측 무가습일 경우에 성능 측정이 어려워서 stack의 온도를 저온에서부터 변화시키면서 무가습 성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hydronium ion은 anode측에서 cathode측으로 계속 이동하여야 전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cathode측 무가습이 anode측 무가습보다 성능이 더 잘 나오는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이와 반대되는 경향의 실험 결과를 얻었다. 양측 무가습의 경우에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와 back diffusion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각종 변수들의 영향을 분리하여 관찰할 수 있는 실험을 수행 중에 있다.

  • PDF

Quality Measures for Microarray Design and Experiments (마이크로어레이 설계과 실험을 위한 품질평가함수)

  • Kim, Pan-Gyu;Jin, Bee-Jeong;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5-163
    • /
    • 2003
  •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발현실험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마이크로어레이이미지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많아지고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이미지를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각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스팟 패턴를 알아보고, 자동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품질평가함수가 필요하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마이크로어레이 이미지 분석의 자동화에 대한 평가를 도와주는 스팟 패턴의 품질평가함수(quality measure)를 정의하고, 각 실험이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품질제어평가함수(quality control measure)를 정의한다.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실험과 이미지에 대한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미지내의 블럭들과 스팟들에 대한 통계량을 이용하고, 스팟들의 발현값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한 품질평가함수들을 정의한다. 이러한 품질평가함수의 측정을 위해서 최대정규정점의 집합(maximal regular point set)과 메타그리드를 이용한다.

  • PDF

원전 가열운전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창회;박재창;김정수;정철환;함창식;박기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227-23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의 충수 및 배기가 완료된 상태에서부터 원자로 출력 2%까지의 운전을 자동화한 원전 가열운전 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운전절차서와 운전원 업무경험을 바탕으로 운전모드, 자동화 범위, 자동제어대상 등을 선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지능형 감독자시스템, 디지털 분산제어시스템, 그리고 신호연계시스템으로 구성된 가열운전 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993 MWe급 가압경수로를 모의화한 계측제어 시험검증설비와 연계하여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Systems for a Scaled Steering Bogie (축소 조향대차의 장애물 검지시스템 구축)

  • Kim, Minl-Soo;Hur, Hyun-M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57_17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의 능동조향시스템 연구를 위한 축소 조향대차의 장애물 검지시스템 구축에 대여 연구하였다. 철도차량에서 능동조향이란 곡선부 주행 시 차륜/레일 접촉에 의한 승차감 저하 및 차륜/레일의 마모와 소음을 줄이고, 고속주행을 위한 조향성능 및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휠셋의 제어기술이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조향제어전략 및 제어기법을 연구하기 위한 축소 차량모델(견인대차와 조향대차로 구성)의 개발과정으로서 자동운전을 위한 장애물 검지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행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