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설계 시스템

Search Result 2,33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종합병원 외래약국을 위한 자동 물류 취급 시스템의 설계 및 실시간 운용

  • 김종원;우중원
    • ICROS
    • /
    • v.3 no.1
    • /
    • pp.75-82
    • /
    • 1997
  • 본 글에서는 자동물류취급시스템을 설치하여 극단적인 다품종소량생산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분석하여 설계변수들을 결정하는 틀을 설명하였으며, 이에 의해 설치되어진 자동물류취급시스템의 실례를 들어서 자동물류취급시스템이 납기단축과 간접공수절감에 얼마나 효율적인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정보처리와 실시간 이산현상시스템의 해석 및 검증을 위하여 Colored and Stochastic 페트리네트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동물류취급시스템이 설치되어진 생산시스템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2) Colored and Stochastic페트리네트 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주어진 모델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3) 자동물류취급시스템의 설계변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의거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적절한 설계변수를 결정하였다. 4) 자동물류취급시스템이 설치되어진 생산시스템을 대상으로 모델과 설계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Automatical Dimension Marking on Drawing (도면 치수 자동 표시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 Lee, Keun-Ho;Cho,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9-272
    • /
    • 2003
  • 그레이팅이라는 금속제품의 자동 설계 시스템인 GDS (Grating automatic Drawing System)는 기본 설계 도면(Plan Drawing)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여러 세부 도면들을 자동 생성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GDS를 통해 자동 생성된 도면은 설계자들의 일반적인 치수기입 요령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또 치수 표시간의 겹침 현상이 발생하여 설계자가 도면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 전문가들의 치수 표시법을 지식으로 하여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제조시스템의 Online 평가를 위한 Simulator 개발

  • 서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04a
    • /
    • pp.127-132
    • /
    • 1999
  • 본 연구는 제조시스템 설계를 자동화하면서 설계된 제조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조 시스템 설계를 자동화하는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많은 부산물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에 이용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구성 요소 모델링 모듈과 시뮬레이션 모델 생성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이렇게 생성된 시뮬레이션 Data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 Event기반의 simulator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제조 시스템 자동설계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제조 시스템 평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 PDF

설계 패턴의 자동 추출을 위한 역공학에 관한 연구

  • 황하진;차정은;김행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83-88
    • /
    • 1997
  •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을 실험,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이해를 획득하고 나아가 재사용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역공학이 필요하다. 또한 설계 문제의 추상화와 특정 영역의 일반적인 해결책에 대한 정보 표현 및 그 관계는 패턴 형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시스템의 설계 구조 를 추출하여 시스템 분석과 설계를 향상시키고 표준화 된 설계 용어 및 컴퍼넌트 관계 구조 를 통해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설계 패턴 추출을 위한 역공학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 문에서는 기존 코드에서 설계 패턴 추출을 위한 역공학 적용의 타당성과 설계 패턴 자동 추 출을 위한 몇 개의 알고리즘을 살펴보고 간단히 적용시켜 본다.

  • PDF

An Application of Expert System to Automatic Specification Generation System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의 전문가 시스템 적용)

  • 최문희;조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57-62
    • /
    • 2004
  • 그레이팅(Grating)이라는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5 업체에서는 설계 자동화 시스템인 GDS(Grating automatic Drawing System)를 통해 전체 설계도면(Plan Drawing)을 생성하고 GDS의 도면자료 자동생성 시스템(ASGS: Automatic Specification Generation System)을 통해 전체 도면상에 배치된 각각의 그레이팅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현된 단품별 도면과 완성된 제품들에 대한 검사 기준을 표현한 검사도면을 생성하며 전체 제품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도면자료 자동생성 시스템을 통해 자동 생성된 도면은 설계자들의 일반적인 치수 기입요령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또 치수 표시간의 겹침 현상이 발생하여 설계자가 도면을 수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 전문가들의 치수 표시법을 지식으로 하는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 연계 자동계류장치 개발

  • 김명성;서대원;박지혁;조익순;김헌희;김병규;최부림;장화섭;김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33-235
    • /
    • 2022
  • 43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해운분야에도 자동화 및 무인화 기술을 접목한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중이다. 그중 선박의 신속하고 안전한 이/접안을 돕도록 고안된 자동계류시스템은 선박의 식별 정보와 융합센서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 인력의 개입이 최소화하거나 무인화할 수 있으며, 이는 계류 라인을 이용한 기존 방법 대비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줄이고 효율적인 도선 지원이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팀은 기초단계 연구로서 자율 운항 선박 구현을 위한 자동 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를 제시한다. 연구내용은 크게 자동 계류시스템의 하드웨어 설계, 제어 및 운용 프로세스 설계, 선체 계측 기술 개발, 운동변위/계류력 산정 수치모델 개발, 항만 내 운영환경 및 시나리오 분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발표에서는 연구현황과 추후 진행 방향에 대해 다루도록 한다.

  • PDF

Automated design of optimal viterbi decoders using exploration of design space (설계 영역 탐색을 이용한 최적의 비터비 복호기 자동 생성기)

  • Kim, Jong Ta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8 no.4
    • /
    • pp.35-35
    • /
    • 2001
  •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오류정정을 위한 길쌈부호의 대표적인 복호방식인 비터비 복호기는 사용되는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서 그리고 복호기의 복호 아키텍처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설계방법들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복호기의 설계구조를 결정해서 자동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는 비터비 복호기의 VHDL 모델을 생성해내는 자동생성기를 제시한다. 자동생성된 VHDL 모델을 이용하면 설계 초기단계에서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자동생성기는 설계영역 내에서 복호기의 설계크기와 복호속도를 비교해서 여러 가지 설계 아키텍처들 중에서 가장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설계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ic Main Placing Macro of Beams for RC Structures based on BIM (BIM기반 철근콘크리트 보의 주철근 자동배근 매크로 생성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Cho, Young-Sang;Shin, Tae-Song;Hong, Sung-Uk;Lee, Je-Hyuk;Jang, Hyun-S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37-54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보의 주철근을 대상으로 건물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통합 설계 시스템 상에서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 시스템(ARPM, Automatic Reinforcement Placing Module)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조분야에서의 BIM 프로세스는 정보호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 있으며, 철골 구조 프로세스의 경우 표준 호환 포맷을 이용하여 원활한 정보 호환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철근 콘크리트의 BIM 통합 설계 시스템은 철근 배근정보의 생성과 호환이 원활하지 않아 표준 정보 호환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2차원 기반 프로세스에서는 철근 배근 설계에 있어 표준화된 기준에 따른 배근이 아닌 관행이나 일률적인 배근 지침에 따라 배근 상세를 정하고 있고, 2차원 배근 설계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상호 호환 가능한 철근 배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의 철근 배근 정보를 생성하고 BIM 통합 구조 설계시스템에서의 정보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의 주철근을 대상으로 구조 해석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설계 플랫폼 간의 호환 시스템을 생성하고,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른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시스템(ARPM)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uto Exposure Algorithm And Hardware Implementation for application of Mobile Phone Camera (모바일 폰 카메라에 적용하기 위한 자동노출 알고리즘 개발 및 하드웨어 설계)

  • Kim, Kyung-Rin;Ha, Joo-Young;Kang, Bong-S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
    • /
    • pp.29-3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uto exposure(AE) algorithm and hardware implementation for apply to mobile phone camera. AE is a function that control camera exposure automatically for appropriate to object. Existing AE is using micro controller unit and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high expense and slow processing speed. For improve these problems, we proposed AE algorithm for hardware implementation without micro controller unit therefor we can expect improvement about the content of a production and operation speed. We proposed the algorithm that is considered efficiency of hardware resource and the results of hardware implementation of proposed AE algorithm apply to mobile phone camera sensor, we verified proposed AE function.

Design of Auto Navigation System for Apparel HS Code Based on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기반 HS CODE 자동 제안 시스템 설계)

  • Choi, Shinah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155-158
    • /
    • 2018
  • 수출입 기업이 관세 혜택을 받거나 올바른 관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관 진행 시 올바른 품목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품목 분류의 기준이 1만개가 넘을 정도로 방대하여 신규 사용자나 품목에 이해가 부족할 경우 분류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HS Code 분류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 이미지 분석을 통한 자동 제안 시스템을 목표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HS Code 자동 제안시스템을 위한 수출입 품목 중 의류 품목의 수출입 품목에 국한하여 의류 HS Code 자동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