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돈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31초

HACCP시스템 적용이 중규모 양돈농장의 동물용의약품 사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n Medicine Use and Productivity of Medium Scale Swine Farms in Korea)

  • 남인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71-76
    • /
    • 2010
  • 본 연구는 양돈 사육규모가 2,000두 이상 5,000두 이하인 국내 중규모 농장의 HACCP 시스템 적용 전 후의 항생제를 비롯한 동물용의약품의 사용 현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차후 수행될 농장 HACCP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선정된 HACCP 적용 양돈장의 평균 노동인력은 내 외국인 모두 6.55명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간별 평균 사육 구성 비율은 모돈 11.23%, 자돈 38.37%, 육성-비육 50.40%로 조사되었다. 농장의 생산성지표인 분만율, 총산자수, 포유 개시두수, 평균 이유두수, 평균 이유기간, 모돈 두당 연간 이유 두수, 모돈 두당 연간 규격돈 출하 두수 등은 HACCP 시스템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출하두당 생산비와 사료비도 HACCP 시스템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 증가하였으나 이는 조사 당시 국제 곡물가격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월평균 약제비와 사용항생제수는 HACCP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 각각 -13.27, -27.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구간별 항생제 첨가농장수-사료공장에서 첨가와 사육구간별 항생제 첨가농장수-농장에서 첨가는 HACCP 적용 전 많은 농장에서 항생제가 첨가된 사료를 급여하였으나 적용 후에는 사용율이 평균 59% 감소하였으며, 특히 육성 및 비육구간에 사용되었던 항생제 첨가사료가 상당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3T3-L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and 3T3-L1 Cells)

  • 송미연;이재준;차선숙;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3
  • 본 연구는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_3T_3-L_1$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는 신생자돈의 등지방에서 분리했다. 세포를 접종한 1일 후에 세척했고(day 0),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일 동안(day 0~day 2) 25 ng/ml과 100 ng/ml의 콜라비 알코올 추출물(과피와 과육)를 처리했다. 세포분화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DMEM/F- 12 배지에 6일 동안(day 0~day 6) 배양하고 배양초기 2일 동안(day 0~day 2) 콜라비를 처리하고 day 6에 세포 분화를 측정했다. 콜라비 과피 25 ng/ml와 100 ng/ml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각각 4.59%, 17.7% 억제했고, 콜라비 과육은 각각 11.4%, 19.2% 억제했다. 반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다. 콜라비가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돼지 지방전구세포처럼, 세포 배양초기 2일간 콜라비를 처리했는데 콜라비 과피와 과육 둘 다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비는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고, 한편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SCST3을 이용한 돈사의 복합악취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Complex Odor from Pigsty by Using ISCST3)

  • 권우택;홍상표;이우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602-6609
    • /
    • 2013
  • 돈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주변지역 영향을 EPA가 권장하는 ISCST3 모델을 적용하여 악취모델링을 실시하여 복합악취 기준과 비교하고 악취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돈사 악취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돈과 성돈에 따라서 평균치와 최소, 최대치로 분류하여 악취 농도를 예측하였다. 양돈장의 혼합 악취의 예측 결과에서 인접 건물들은 허용한계를 초과하나 양돈장으로부터 185m 떨어진 거리에 있는 피해지역에서는 허용한계를 만족하였다. 허용한계에 대한 악취 배출량을 확인하기 위해 관리동에서 누출량을 측정하였으며 누출량 50%, 30%, 10% 기준으로 악취 농도를 예측한 결과는 관리동에서 1hr 기준 최대 발생량이 10.59~52.93, 19.05~31.76, 10.59 $OU/m^3/s/m^2$로 수인한도 10.00 $OU/m^3/s/m^2$를 다소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누출량을 10% 미만으로 관리시 수인한도를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ED 바이러스 Spike 단백질의 세포 수용체 결합 부위 확인 (The N-terminal Region of the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Spike Protein is Important for the Receptor Binding)

  • 이동규;차세연;이창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0-145
    • /
    • 2011
  • 돼지유행성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는 자돈에게 감염 시 수양성설사를 동반한 급성 장염을 유발하며 매우 높은 폐사율을 보이는 그룹 1 코로나바이러스이다. PEDV는 다른 그룹 1 코로나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숙주 세포에 감염 시 aminopeptidase N (APN)을 세포 수용체로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spike(S) 단백질은 숙주세포의 표면에 부착과 관련하여 감염 개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S 단백질의 S1 도메인은 세포 수용체에 특이적인 결합을 매개하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eceptor binding domain: RBD)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많은 코로나바이러스의 RBD의 위치가 확인되어져 있지만 PEDV의 RBD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APN 수용체와 결합을 매개하는 PEDV의 RBD를 규명하기 위해 S1 도메인을 주형으로 하는 일련의 재조합 truncated variant들을 제작하였고 각각의 truncated들이 실제로 pAPN과의 결합을 이루는지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S1 도메인의 N 말단 부분이 pAPN과의 결합에서 중요한 부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PEDV의 S 단백질과 pAPN간의 분자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봉독이 자돈의 성장 및 혈액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injec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오백영;이윤근;김봉순;백하주;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7-295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honeybee venom injection (VI) collected using bee venom collector compared to that of bee venom accupuncture (VA) on the body weight gain, growth rat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lets. One hundred sixty two piglets from 15 sows were allocated in to three groups; honeybee venom subcutaneous injection groups (97 piglets from 9 sows), honeybee venom accupuncture -treated group (31 piglets from 3 sows), and non -treated control group and 30 days after birth. Honeybee venom subcutaneous injection groups divided by a syringeful; group A (0.5, 1.0, 1.5, 2.0 mg ), group B (1.0, 1.0, 1.0, 1.0 rug), and group C (1.0, 1.5, 2.0, 2.5 mg). During 60 days experiment, weight gain and survivability in VI and VA treatment of pigs were higher compared with control. Survival rat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96.8% in group C, 93.2 % in VA and 86.7 % in control. Weight gain and survivability were effected by VI and VA. WBC, RBC, lymphocytes, monocytes,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centration were not affected by VI and VA. Serum IgG concentration of VI and VA treatments were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In conclusion, VI and VA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an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s of blood Ig G in growing pig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for VI and V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eatment of honeybee venom injection collected using bee venom collector could be used effectively for the increase productivity.

모돈의 생산능력에 미치는 품종, 산차, 산자수, 포유기간 및 발정재귀일령의 효과 (The Effect of Breed, Parity, Litter Size, Lactating Period, and Estrus Interval on Sow Productivity Traits in Swine)

  • 연정웅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1-257
    • /
    • 2001
  • 본 연구는 품종, 산차, 산자수, 포유기 간 및 발정재귀일수가 차기 산차의 번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자료는 연암축산원예대학 부속농장에서 1998년 3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사육된 Landrace종, Yorkshire종 및 이들의 교잡으로 생산된 교잡종 모돈 429두에 대한 기록으로부터 얻었다. 품종의 효과에 있어서 교잡종은 총산자수, 생존산자수 및 포유개시두수가 순종보다 많았다. 산차의 효과에 있어서 총산자수와 생존산자수는 3∼7산까지는 다른 산차에 비해 많았고, 8산차에서 가장 적었다. 또 사산수는 산차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산차의 모든 번식형질들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산자수의 효과에 있어서 현재의 산자수는 차기 산차의 산자수, 생존산자수 및 포유개시두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의 산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차기 산차의 산자수, 생존산자수 및 포유개시두수도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포유기간의 효과에 있어서는 현재의 포유기간이 20~21일인 경우에 차기 산차의 산자수, 생존산자수 및 포유개시두수가 가장 많았다(P<0.05). 모돈의 발정재귀일령의 효과에 있어서 발정재귀일수 7∼13일이 차기 산차의 복당 산자수, 생존 산자수 및 사산 자돈수가 각각 10.00, 9.63 및 0.37두로 모든 발정재귀일수 그룹 중에서 가장 적었다(P<0.05).

  • PDF

동물의 번식 효율 증진을 위한 한약제의 활용 (Application of pure organic phyto-formulations to optimize performance results in the conventional European animal breeding and production)

  • Gupte, Ss.;Dickie, Mb;Bacowsky, H. Dvm.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5-6
    • /
    • 2002
  • 유럽에서 돼지 번식 효율 증진과 비육을 위한 적절한 활용방법과 몇 가지 잘 조제된 한약제가 규격화되어 나왔다. 이 자료에는 한약제의 효능의 기준을 비롯하여 위생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대학 및 연구기관, 임상 수의사들과 사료업체들이 수행했던 지난 수년간의 실험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돼지 번식효율 증진을 위한 한약제를 사료첨가제로 활용하여 최적화시켰다. 유럽의 수의분야에서 사용되었던 4가지의 특정 한약제를 기본으로 하여 돼지 사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의 대부분이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다. 즉 수정률, 호흡기질병, 설사와 스트레스에 관한 문제들인데 면역이 억압되고 저질의 자돈이 생산됨에 따라 생산성 저하에 따른 엄청난 경제적인 손실을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임상증상을 치료하면서 동시에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자기방어체계를 증진시킨다는 것이다. 이로써 동물의 면역력과 활력을 증가시키고 건강을 유지시켜서 폐사율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여기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항생제나 호르몬제제들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한약제들인데 고효율임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한약제들은 백신 프로그램이나 성장을 촉진시키는 인자들과 상호보완 상승작용도 가져 온다.

  • PDF

조기이유자돈에 있어서 난황항체를 이용한 장독성 대장균 987P(F6) 설사증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egg yolk antibodies in diarrhea caused by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987P(F6) in early weaned pigs)

  • 홍종욱;김인호;김정우;권오석;이상환;홍의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5
    • /
    • 2001
  • The protective effects of egg yolk atibodies obtained from chickens immunized with fimbrial antigens from ETEC 987P were evaluated in 14 and 21 d old pigs in which ETEC diarrhea was induced. For the Exp. 1, eight early-weaned pigs($5.00{\pm}0.5kg$ average BW and 14 d average age) and eight weaned pigs($6.00{\pm}0.5kg$ average BW and 21 d average age) were used to examine influence of egg yolk antibodies on growth performance and resistance to ETEC 987P infectio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administered of commercial egg yolk(14 d of age; CEY14), 2) administered of egg yolk antibodies(14 d of age; EYA14), 3) administered of commercial egg yolk(21 d of age; CEY21), 4) administered of egg yolk antibodies(21 d of age; EYA21). The 14 and 21 d old pigs were challenged with 2 ml of ETEC 987P at a dose of $10^{10}\;CFU\;ml^{-1}$ per weaned pigs. Weaned pigs treated with egg yolk antibodies recovered and pigs treated with egg yolk antibodies tended to increase average daily gain(P<0.05). Also, EYA12 and EYA21 treatments were reduced coli-form bacteria concentration and increased Lactobacilli sp. concentration from feces. For the Exp. 2, sixteen weaned pigs($6.00{\pm}0.5kg$ average daily gain BW and 21 d average age) were used to examine influence of yolk or white from egg containing antibodies on growth performance and resistance to ETEC 987P infectio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l) administered of commercial egg yolk(CEY), 2) administered of commercial egg white(CEW), 3) administered of egg yolk antibodies(EYA), 4) administered of egg white antibodies(EWA). Pigs treated only with EYA showed signs of recovery. Also, EYA treatment showed the best average daily gai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EYA treatment was reduced coli-form bacteria concentration increased and Lactobacilli sp. concentration from feces. In conclusion, egg yolk antibodies have protective effects from pigs in which ETEC diarrhea was induced.

  • PDF

국내 분리 porcine circovirus 2의 이유자돈에 대한 병원성 시험연구 (Pathogenesis and pathogenicity for the porcine circovirus 2 Korean isolates in weaned pigs)

  • 노인순;이경우;김재훈;한정희;진영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5-185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athogenesis and pathogenicity of the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Korean isolate from weaned pigs. Twenty four weaned pigs, PCV2,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and porcine parvovirus (PPV) antibodies free, were allocated to 4 groups (n = 6). Six pigs were inoculated intranasally with PCV2 alone, 6 with PCV2 and PRRSV, 6 with the combined PCV2/PRRSV/PPV inoculum, and 6 were remained as a uninoculated negative control. Pigs were killed 3 and 6 weeks after inoculation and tissue samples examined for gross and microscopic lesions and for the presence of PCV2 antigens and nucleic acids. Experimentally inoculated pigs were evaluated for 3 considerations: 1. development of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PMWS), 2. distribution of viral antigens by immunohistochemistry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3. cytokine mRNA levels in lymph nodes. Pigs inoculated with PCV2/PRRSV/PPV showed typical clinical signs, gross findings,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MWS. In the PCV2/PRRSV/PPV inoculated group, the PCV2 antigen was widely distributed in various parenchymal organs such as brain, spinal cord, tonsil, lymph nodes, lung, heart, liver, kidney, spleen, and peyer's patch. Lymph node mRNA expression of IL-$1{\alpha}$, IL-2R and IL-8 was determined by real-time PCR. The pigs of PCV2/PRRSV and PCV2/PRRSV/PPV inoculation group, the mRNA expression was characterized by a decrease of IL-$1{\alpha}$, IL-2R and IL-8. The decrease of cytokine mRNA represent the state of T cell immuno-suppression in pig, and nicely support the evidence for the impairment of immune system in pigs with PMWS. In conclusion, PCV2 infection and some additional infectious causes such as PRRSV and/or PPV are warranted for the presence of PMWS in weaned pigs in Korea.

포유 및 이유자돈의 질병발생 동향 (Investigation of diseases incident to pre- and pos-weaning piglets)

  • 오명호;은길수;김홍집;권영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3-186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incident diseases in pre- and post- weaning piglets which ages were 1 to 7 weeks old by laboratory diagnosis and in order to minimize death in preweaning piglets and of stunted growth in postweaning piglet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preventive programs in pre- and post- weaning piglets and were as follows: 23 different diseases diagnosed in 331 cases were studied in relation to age, season, and etiology. The most prevelent diseases of pre- and post- weaning piglet were Colibacillosis(79 case, 23.9%) and the major diseases were Salmonellosis(44 cases, 13.3%), Anemia(37 cases, 11.2%). Unknown viral disease(20 case, 6.1%), Rota viral infection(19 case, 5.8%), Porcine reproductive & respiratory syndrome(PRRS; 15 case 4.5%),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TGE; 12 case, 3.6%). The gastrointestinal disease, such as Colibacillosis, Salmonellosis, Swine dysentery, Clostridial infection, Rotaviral infection, TGE, Porcine epidemic diarrhea(PED) and Ballantidiosis occured pro- dominently in the period of pre- and post- weaning, which were 178 cases(53.8%) and not related to occurrence according to age and season. The respiratory diseases were Atrophic rhinitis(AR), Swine enzootic pneumonia, Pneumonic pasteurellosis, Pleuropneumonia, Branchopneumonia, PRRS and which were 48 cases(14.5%) and higher prevalent in spring and summer. The viral diseases was 73 cases(22.1%) that occurred in the period of 5 weeks piglet and prevalent mainly in spring. The bacterial diseases were 188 cases(56.8%) that were not related to occurrence according to age and season. Salmonellosis was prevalent in 3 to 5 weeks piglet and mainly occurred in summer. Viral septicemia and rotaviral infection occurred after 5 weeks piglets intensively and 3 to 5 weeks, respectively. And the both occurred without relation with season. PRRS occurred after 4 weeks piglet and prevalent in summer. TGE occurred 1 to 7 days old piglets and prevalent in spring and winter. Hematologic values of anemia was decrease in number of Red Blood Cell, concentration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Amikacin, cephalothin, colistin, norfloxacin were effective to E coli, and amikacin, cephalothin, nortloxacin, neomycin were effective to Salmonellra spp. but clindamycin, erythromycin, penicillin, sulfonamides were resistant to E coli and Salmonella sp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