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녀의 지원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自我象) 연구 (A Study on the Self-image of Fathers having Young Children)

  • 전연우;조희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3-363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P시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012년 8월 7일에서 2012년 8월 30일까지 주 1회씩 총 3회, 회당 1시간에서 1시간 30분의 길이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은 크게 '나는 가족에게 내 마음같이 못해주는 아버지', '나는 아직 성공하지 못한 아버지', '나는 의무와 책임감 속에서 고독한 아버지', '나는 가족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는 아버지', '나는 현대판 아버지'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보다 바람직한 자아상에 관해 논의하였다.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Intention of Childbirth)

  • 은선경;박효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10-21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 결혼만족도, 자녀에 대한 가치관, 전통적 성역할, 저출산 관련 사회서비스 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기혼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이중에서 향후 출산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482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서 연령이 유의미하였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출산의향이 높았다. 또한 가족에 관련한 변인을 보면, 자녀 수, 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 결혼만족도가 유의미한 변인으로서 자녀 수가 적을수록, 배우자가 가사노동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의향이 높았다. 그리고 자녀에 대한 가치관, 출산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잔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을수록, 정부의 출산지원정책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을수록 출산의향이 높았다. 특히 정부의 출산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출산휴가와 난임지원에 집중되어 있었고 다른 정책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출산의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성역할과 가사노동에 대한 배우자의 분담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인식변화의 이행을 위한 일-가정양립 지원체계의 강화, 그리고 난임지원에 대한 확대 및 저출산관련 서비스정책에 대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어머니의 개인·사회적 대처자원이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의 돌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and Social Coping Resources of Mothers on the Stress of Caring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심석순;남정휘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43-64
    • /
    • 2016
  •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대처자원과 돌봄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실천적 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만18세 이상에 속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고 있는 주돌봄자인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돌봄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은 50세 ~ 54세 집단이 연령이 낮은 49세 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구 소득은 200만원 이하 집단이 550만원 이상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취업 중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돌봄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대처자원 중 사회적 대처자원인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어머니의 돌봄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주 돌봄자의 돌봄을 완화를 위해 정부정책 중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돌봄부담의 경감과 어머니의 연령, 경제수준, 취업여부 등 개별적인 특성에 입각한 돌봄지원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가족 내 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 어머니를 직 간접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 구축 및 동일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과의 자조모임 등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장애학생 부모의 자녀 진학결정과 관련된 자녀학교교육 만족도와 배경변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arents'Satisfaction towards School Educa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Associated with Decision-Making on Post High School Academic Completion for Their Child with Disability)

  • 이지경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145-16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부모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관계되는 부모의 자녀학교교육 만족도와 배경변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일반 고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고등학교 3학년 장애학생들의 부모 162명의 반응이 담긴 한국교육종단연구 조사자료(부모 설문지)가 이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퍼센티지, 표준편차를 산출해주는 기술통계,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산출하는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해 주는 카이검증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녀학교 교육만족도를 조사한 세부문항 중 '대학진학과 관련한 정보제공 및 상담','장애학생의 학습능력향상','장애학생들의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관계', 마지막으로'학생들을 위한 전반적인 학교교육'이 부모들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배경변인들 중'어머니의 학력'이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유의한 차이(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도움을 줄 구체적인 지원방법들이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에서 제시되었다.

가업승계 - 중소기업 경영자를 위한 가업승계 지원제도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54호
    • /
    • pp.54-62
    • /
    • 2011
  • 기계설비건설업계의 성장을 이끌어온 창업세대가 세대교체 중에 있는 회원사가 늘어남에 따라 가업승계가 중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가업승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부담을 완화하고 창업지원을 통한 투자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가업승계에 대한 세제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연간 매출액 1.500억원까지는 가업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최대주주 등의 주식 또는 창업자금을 자녀에게 증여시 10% 세율로 과세하는 증여세 과세특례 제도를 2013년까지 연장했다. 본지는 정부의 중소기업 가업승계 지원 제도를 연재한다.

  • PDF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 생활실태와 서비스 욕구 분석 (Analysis on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 박주영;김동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29-244
    • /
    • 2018
  • 본 연구는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성인 여성장애인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1명, 고졸이하, 무배우, 정신적 장애로 경제활동 고용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2명, 고졸이하, 유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일상생활지원, 경제활동 고용,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1인 가구, 자녀수 3명, 초졸이하, 무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건강 의료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경제활동 고용 지원으로 직업훈련, 취업지원, 경력개발 지원으로 최근 경북 핵심사업인 신소재 산업, 스마트 프로젝트, 농산업, 관광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재활시설의 확대도 요구된다.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일상생활 지원,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이 요구되므로 산간지역으로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곳은 교통인프라 마련과 여성장애인 전용 산부인과 지정제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건강 의료 서비스 지원으로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정기 방문, 신체 및 심리 지원, 가정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기업의 자녀돌봄지원제도가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이직의향 및 일-가정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care program in workplace on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interaction for married working women)

  • 정영금;한영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1호
    • /
    • pp.61-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having a family care program in the workplace for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ffects these women's work and family life. This study employs a pane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is on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urnover of married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Second, the negative effects of work on the family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and maternity leave. Third,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i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sitive effects of work on the family. In conclusion, a family-friendly care program including financial support for nursery care and maternity leave in the workplace is an important support system for working mothers in raising their children.

자녀의 성장에 따른 주거 내 거실 공간의 행태지원성 변화 연구 - 서울시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1자녀 맞벌이 가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Behavioral Affordance of the Livingroom in a Residence Depending on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 - Focused on Double-Income Families with One Child Residing in Apartment Housing in Seoul -)

  • 이은주;정경숙;강혜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9-18
    • /
    • 2016
  • This research was aimed at finding clues of improving behavioral afford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scrutinizing change of the residents' behavior in a livingroom depending on the child's development stage. 30 double-income families with one child were the subjects of depths interview, survey, observation of this research, who were residents of 3-bedroom apartment housing in Seoul. They presented obvious different behavioral patterns according to their child's development stage. Breeding and playing behavior were prior to the others when their child was in childhood, then relaxing with TV and PC behavior were getting superior when their child was in school period. It is important that residents perceive that the numerous types of behavior may take place in a livingroom, some of which has originated in our long residential culture. And then real housing should be provided to them that has proper behavioral affordance to support all those behavior. Housings with minimum walls and rooms would make it possible. A family has its inner dynamics can live a sustainable life in that housing as a home, that lasts along their whole life.

자녀교육비 및 노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이 둘째자녀 출산의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20{\sim}45$세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Education Expenditure for a Child and Financial Support to Parents on Childbirth Intention, Elderly Life Preparation)

  • 이선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2호
    • /
    • pp.43-6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expenditure children and financial support for parents on childbirth intention and, elderly life preparation. This study uses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data. The research subjects are married women aged between $20{\sim}45$ years old who have one child and are living with at least one parent. The analysis method includes chi-squar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presum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relative influence or power. As a result, the first subjective perception is that economic conditions influence childbirth intention and elderly life preparation. Second, the portion of education expenditure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traditional ones, such as the child's sex, the married woman's job and her income. Third, elderly life prepara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facto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subjective or objective factors. Finally, analyse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a decision about childbirth is influenced by education expenditure. This refer to the costs related to the child's generation. A decision about elderly life preparation i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meaning costs related to the parents's generation.

  • PDF

부모-자녀 놀이에 대한 자녀의 인식과 행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Their Happiness)

  • 이승미;김희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9-105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arent-child pl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children's happiness. Methods: One hundred twenty 5-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parent reported the current status of play with their child and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children about their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their happines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played with their child for about 52 minutes on weekdays and 2-3 hours on weekends. Mothers played longer with their child than fathers on all days. Parents perceived that they played with their child at average frequency and showed above average participation. 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were actively playing with them and children enjoyed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play with parents. Children were happier when parents spent more time playing with them in an engaging fashion, and when they enjoyed the nature of the pla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s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parent-child play on children's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