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f-image of Fathers having Young Children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自我象) 연구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elf-image of fathers who have younger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er conducted profound interviews with 6 fathers residing in P city who have young children in order to identify images that they were having about themselve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 7th to 30th, 2012 over a total of 3 sessions for each of the subjects on the basis of 1 session a week and 1 or 1 and a half hours per s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were having different self-images that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father who can't do for family as much as he wants', 'father who has not yet been successful', 'father who feels lonely under his own duty and responsibility, 'father who sacrifices himself for family' and 'father who is different from fathers of the past'. Based on the analysis and discussion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how fathers having younger children should do to have a better image about themselves.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P시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012년 8월 7일에서 2012년 8월 30일까지 주 1회씩 총 3회, 회당 1시간에서 1시간 30분의 길이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은 크게 '나는 가족에게 내 마음같이 못해주는 아버지', '나는 아직 성공하지 못한 아버지', '나는 의무와 책임감 속에서 고독한 아버지', '나는 가족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는 아버지', '나는 현대판 아버지'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보다 바람직한 자아상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자(2002). 초등학생들의 성격특성에 대한 자기지각 및 타인지각의 유형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재희(2006). 그림책 관련활동에 따른 유아의 아버지상 변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록이(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 효능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기란(2012). 한국 현대 연극의 가족이야기와 가족정체성 고찰 : 가족무대 (Familienbühne) 구성의 수행적 과정 분석을 통해. 드라마연구, 36, 5-31.
  5. 김보람(2013).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숙(200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정환(2012). 한국 30대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진(2005).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혜선(2005). 첫 아버지됨의 체험. 아동학회지, 26(6), 73-87.
  10. 박문재(2010).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자녀의 의사소통 유형 연구. 국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미라(201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서혜영(1998).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및 부모로서의 유능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설경옥, 문혁준(2006).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7), 1-9.
  14. 성영혜, 송주미, 장미경(1995). 아버지도 부모인가? 서울 : 샘터사.
  15. 송효숙(2009).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신현옥(1991). 아버지와 자녀관계에 관한 문헌적 연구. 배화논총, 10, 149-172.
  17. 안설하(2012). 아버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오미경(1990).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 수행정도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오수나(2012). 스포츠 스타의 이미지 지각 및 제품유형별 광고효과.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20. 오정인(2012).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오현복(2010).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주관적 인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윤현경(2010). 아버지의 정서적 공감과 양육참여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미정(1987). 아버지의 자기존중감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부영(2008). 분석심리학. 서울 : 일조각.
  25. 이숙현(1995). 아버지의 일과 가족생활. 서울: 한국가족학연구회(공저).
  26. 이정묵(2012). 좋은 아버지 수업. 서울 : 도서출판 좋은 날들.
  27. 임지윤, 문동규, 김영희(2009). 아버지의 직장생활 만족도에 따른 부부갈등 및 양육 참여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학회지, 16(2), 93-118.
  28. 윤서영, 정옥분(1999)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0(2), 101-123.
  29. 정광민(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정현정, 문혁준(201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21-42.
  31. 전연우, 김윤숙, 조희숙(2012). 손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32. 조선화(2010).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 상(像)에 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2), 81-95.
  33. 조형숙, 김지혜, 김태인(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론집, 12(1), 239-264.
  34. 최진주(2010).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아버지 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홍영오(2000). 암묵적 편견이 고정관념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Biddulph, S. (1997). Raising boys: why boys are different - And how to help them become happy and well-balanced men. Sydney : Finch.
  37. Capuozzo, R. M., Sheppard, B. S., & Uba, G. (2010). Boot camp for new dads: the importance of infant-father attachment. Young Children, 65(3), 24-28.
  38.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London : Sage.
  39. Diachenko, O. M. (2011). On major developments in preschoolers' imag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9(1), 19-25. https://doi.org/10.1080/09669760.2011.570996
  40. Gray, P. B., & Anderson, K. G. (2011). Fatherhood: evolution and human paternal behavior, 아버지의 탄생 (한상연 옮김). 서울 : 초록물고기(원판 2010년).
  41. Lamb, M. E. (1981). Father and child develop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M. E. Lamb(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NY : Wiley.
  4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 Sage Publications, Inc.
  43. Martin, E. P. S. (2004). Authentic happiness, 긍정심리학 (김인자 옮김). 서울 : 물푸레(원판 2004년).
  44. Nicholi, A. (1985). The impact of parental absence on childhood development: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Family and Culture, 1(3).
  45. Perry, A. R., Harmon, D. K., & Leeper, J. (2012). Resident black fathers' involve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married and unwed, co-habituating fathers. Journal of Family Issues, 33(6), 695-714. https://doi.org/10.1177/0192513X11428125
  46. Ringsmose, C. (2012). Social welfare and minding the achievement gap: A view from Denmark. Childhood Education, 88(3), 185-188. https://doi.org/10.1080/00094056.2012.682552
  47. Rold, G. H., & Canfield, K. R. (1994). Measuring the dimensions of effective father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 212-217. https://doi.org/10.1177/0013164494054001027
  48. Smith, C. D. (1990). Religion and crisis in Jungian analysis. Counseling and Values, 34(3), 177-186. https://doi.org/10.1002/j.2161-007X.1990.tb00928.x
  49. Snarey, J.(1993). How father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a four-decade study.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