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 진단 도구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지구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진단 프로그램 개발

  • Kim, Dong-Yeong;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13-2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영역의 한 부분인 학생 평가 전문성을 교사 스스로 진단해 보고 진단 결과에 대해 적절한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 도구를 구안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구성 요인은 1990년에 미국의 AFT(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 NEA(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CME(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가 공동으로 발표한 ‘학생 평가를 위한 교사의 평가전문성 기준(Standards for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7가지를 연구자가 진단 도구 개발에 적합하도록 ${\circled1}$평가 방법의 선정, ${\circled2}$평가 도구의 개발, ${\circled3}$평가 실시?채점 및 성적 부여, ${\circled4}$평가 결과의 해석?분석?활용?의사소통의 4개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진단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전문성 구성 요인별로 설문 형식의 질문에 답하고 이를 종합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식보다는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평가를 해보게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평가 능력을 실질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가 외부로부터 평가 받는데 소극적인 점을 감안하여 교사 스스로 자기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자 했으며, 진단 도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에 대해 처방이나 안내를 함께 제공하여 교사가 자신의 평가 전문성을 제고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려 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교사가 활용하는 과정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외부 지원이 무엇인지 추출하고 이러한 지원 체계와 교사가 능동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 Yang, Kilseok;Seo, Soohyun;Ok, Hyoun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7
    • /
    • pp.1-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elf-reporting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to use it as a tool for self-diagnosis 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for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the tool was developed with 45 question items of 2 areas and 8 factors.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suitability were generally satisfactory based on the assessment data from about 3,000 middle school students. The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primarily applicable to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adult education. In future research, if the system is developed to be accessible to anyone online based on this tool, and the accumulated data provide educational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s self-development,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the people.

Development of a Blended-learning based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asurement Scale for Youth (청소년을 위한 블렌디드러닝 기반 온라인 자기주도학습능력 종합진단검사 도구 개발)

  • Kim, Pan Soo;Choi, Seong Woo;Kang, Hyoung Gu;Jeon, Kyu Tae;Jhun, Min 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4
    • /
    • pp.1-11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online measurement scale for diagnos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es, and experts interview were carried out and finalized the blended-learning based SMMIS model. A total of 1,62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cale survey to validat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Based on these results, an online measurement t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was developed. The tool can be used in blended-learning environment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In conclusion,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the blended-learning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model for young students, and suggested future vision and further research.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Kim Dong-Yeong;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3-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스스로 느끼는 평가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바람직한 평가 전문성 신장 방향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자기반성적 관점에서 과학교사 스스로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와 이를 이용하여 얻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평가 전문성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학생 평가 전문성 등급 평정 척도와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안내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바람직한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의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요소를 추출하여 범주별로 정리한 다음 학생 평가 전문성 요소별로 구체적인 수준과 상태를 제시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마련된 기준을 근거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더불어 수차례의 과학교육전문가 검토 및 협의, 학교 현장 교사들의 검토 및 협의를 거치면서 수정${\cdot}$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에는 진단 내용에 과학교사의 평가에 관한 지식과 더불어 실무적인 능력과 실제로 행하고 있는 평가의 실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교사 스스로 자신의 평가 전문성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전형적인 응답 유형과 채점 기준, 해설 및 평가 전문성 등급 평정 척도를 제시했고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전문성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신장시킬 수 있도록 간략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처방과 평가 지향에 따른 교사의 전형적인 유형을 제시하여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교사가 전문성 개선 방향과 방법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본 연구는 과학교사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환심을 높이고, 이를 진단하고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려는 데에도 좋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 프로그램에 제시된 전문성 평정 기준을 좀 더 객관화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많은 교사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진단 운항을 제작하는 데 있어 지구과학 내용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 제시된 진단 문항 제작에 관한 해설을 참고하여 다른 과학교과 내용을 소재로 한 진단 문항 제작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Self Efficac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Rina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3 no.2
    • /
    • pp.63-7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thematics self-efficacy test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b-factors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derived from current studies. In this study, I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by statistically evaluating the results of applying the test tool to the 3rd-6th grade students. In this stud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ool for measuring the self efficacy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validity test, the mathematics anxiety status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The mathematics anxiety who were known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athematical self efficacy. The mathematics self efficacy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16 items with three subcategories: master experience, social persuasions, and emotional and physiological state. The mathematical self efficacy tes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s for diagnosing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oking for ways to improve it.

A Study on the Husband and Wife Epic Test (부부서사진단도구를 위한 구비설화와 부부서사의 진단 요소)

Classification of Uterine Adenomyosis: A Pictorial Essay (자궁선근증의 분류 체계: 임상화보)

  • Hanna Bae;Yu Ri Shin;Sung Eun R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5 no.3
    • /
    • pp.549-565
    • /
    • 2024
  • MRI is a crucial tool for diagnosing adenomyosis and identifying its related pathologies. To accurately diagnose adenomyos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both the typical MRI findings and atypical features of the condition. Recently, a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precise presurgical diagnosis of adenomyosis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Differentiating between various subtypes based on MRI-based classification and identifying different MRI phenotypes can aid in categorizing patients with adenomyosis into specific treatment groups and monitoring their response to therapy.

허혈성 심질환의 자기공명 영상 진단

  • 최영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6 no.1
    • /
    • pp.5-20
    • /
    • 2002
  • 허혈성 심질환 환자의 평가도구로서 MRI의 역할이 확대된 데에는 소위 "one-stop shop"이라는 통합적 심장검사법의 개발이 계기가 되었다. 즉 한 번의 MRI 검사로서 심실벽운동을 평가하여 심근의 기능과 예비능을 측정하여 만성 심근경색을 평가할 수 있고, 심근의 관류를 평가할 수 있고, 관동맥의 혈류 예비능과 심근의 viability를 평가하고, 관동맥 조영술을 통해, 수술 후의 우회로 평가 및 관동맥의 협착 여부의 진단이 가능한 프로토콜이 MRI장비마다 각각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MRI는 허혈성 심질환의 진단적 검사로서 기존의 다른 검사들과 비교하여 높은 시간적, 공간적 해상력으로 정확한 구조와 기능의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MR 관동맥조영술, 심근관류검사, 심근 표지법, dobutamine 부하검사, viability 평가, plaque characterization, MR spectroscopy 분야에서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임상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Model Design and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at a Christian University (기독교 대학에서의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 설계 및 제안)

  • Lee, Seong Ah;Kwon, Kyoung Man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203-2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life of student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b-factors were derived to diagnose the factors. From the study's findings, principles and models for developing learning status diagnosis tools were designed. The study first, based upon th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life, students'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probation studies, confirmed what factors affect student learning and from them derived a set of sub-factors. The setting dimension was divided into psychology, learning, and career factors, while also including a factor of faith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Next, in the draft model, sub-factors were constructed for each factor: faith maturity and faith training in the faith factor, positive thinking, emotion regulation, and self-esteem in the psychology fact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learning factor, and career reflection, career exploration, career management, and career barriers in the career factor. By using the Delphi method, the final model of learning status diagnosis was confirmed. As a result, we completed the model comprised of nine sub-factors in four parts.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that examines learning status diagnosis tools development research.

A Cas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초등 과학 지도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인식과 실제에 대한 사례 연구)

  • Yoon, Mi-Young;Ju, Eunjeong;Hong, Young-Si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134-14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the thre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and investigate strategic measures to improve them. The study progress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 self-awareness checklist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and agreed upon by two process-focused assessment-leading teachers and tw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experts. Consequently, the level of self-awareness of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the three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scale average of the feedback area was the lowest on average. The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th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levels and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some inconsistencies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were found. Strategic support and education are needed to enhan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and the development of self-diagnosis tools should proc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