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차폐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method of alignment detection between Tx and Rx set in wireless inductive charger (유도방식 무선충전기용 송수신 장치간 정렬상태 검출기법)

  • Lee, Sang Gon;Kim, Jae Mo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9 no.1
    • /
    • pp.90-96
    • /
    • 2014
  • This paper is about increasing transfer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new method is proposed to detect the alignment of transmitter and receiver of wireless charger and so smart phone can display the position of wireless charging receiver on its LCD panel for the maximum charging efficiency. The previous method is only to show the transfer efficiency, but this method is to show not only the efficiency but also coordinates of receiver. The apparatus of the wireless charger is based on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standard and has planar air coil combined with magnet shield in Tx and Rx device so that the leakage flux is minimized on condition of under hundreds of kHz operating frequency. In this paper, it's showed that relation of magnet field and distance of each coils can be linearized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x and Rx device is calculated thru trigonometry. Through the experiment, the obstacles of linearity are discovered and also showed that it can be optimized. and so the presented method is suitable for alignment detection method of Tx and Rx device in WPC wireless charger.

Positional Change of the Uterus during Definitive Radiotherapy for Cervix Cancer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시 자궁의 크기와 위치 변화)

  • Park, Won;Huh, Seung-Jae;Lee, Jeung-E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1 no.2
    • /
    • pp.135-14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uterus during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7 and 2001, 47 patients received definitive radiotherapy for cervical cancer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or each patient, two MRI scans were taken; one before and the other 3$\~$4 weeks after the radiotherapy treatment. In T2 weighted MRI images,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uterine was quantified by measuring six quantities; the distance from the cervix os to the isthmus of the uterus (Dcx), the maximum length from the isthmus of the uterus to the uterine fundus (Dco), the maximum vertical distance of the uterine body (Dco-per),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line and the cervical canal in the sagittal images (Acx), the angle of the uterine corpus from the vertical line in the sagittal plan (Aco-ap), and the relative angle of the uterine corpus from a fixed anatomical landmark in the axial images (Aco-axi). Results: The mean Dcx values, before and during the treatment, were 36.7 and 27.8 mm, respectively. The Dco deviated by more than 10 mm in 14 cases (29.8$\%$). The change in the Acx ranged from 0.1 to 67.8$^{\circ}$ (mean 13.2$^{\circ}$). The Aco-ap changed by a maximum of 84.8$^{\circ}$ (mean 16.9$^{\circ}$). The differences in the Dcx plus the Dco in the smaller (<4 cm) and larger ($geq$4 cm) tumors were 5.3 and 19.4 mm, respectively. With patients less than 60 years old, or with a tumor size larger than 4 cm, the difference in the Ac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positional changes of the uterus, during radiation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3DCRT or IMRT treatment planning, particularly in patients under 60 years of age or in those with a tumor size greater than 4 cm in maximum diameter.

Design of Multi-Stage Coilgun Using AVR (AVR을 이용한 Multi-Stage 코일건 설계)

  • Ahn, Hyun-Mo;Park, Guk-Nam;Jang, Dae-Gyu;Yun, Young-Hwan;Kim, Tae-Woo;Lim, Jin-Woo;Lim, Chae-Young;Bae, Sang-Kil;Kim, Jeong-Il;Hahn, Sung-C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315-231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Multi-stage 코일건의 동작시간에 따른 성능향상 및 솔레노이드의 최적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일한 저항값을 가진 솔레노이드에 자기차폐효과를 적용시켜 최적화된 솔레노이드 형상을 설계하였으며, 이 솔레노이드 3개를 이용해 Multi-stage 코일건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Multi-stage 코일건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AVR(ATmaga128)을 이용하여 각 솔레노이드의 동작시간을 제어하고 Multi-stage 코일건의 각 동작시간에 따라 발사체의 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측정값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그래핀의 산화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60-460
    • /
    • 2011
  • 그래핀은 탄소원자로 구성된 2차원의 나노재료로서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들을 기반으로 그래핀은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전 자기 차폐재 등의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특성은 그래핀의 구조 및 결함, 불순물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특성의 변화를 통해 전자소자로의 응용도 가능 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그래핀의 구조를 제어하고 적절한 결함 및 불순물을 부여하는 것은 그래핀의 기초물성 연구 뿐 아니라 응용연구 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그래핀의 구조변형을 도모하였다. 그래핀은 열화학 기상증착법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을 이용하여 300 nm 두께의 니켈박막이 증착된 기판위에 합성하였다. 합성된 그래핀은 산화처리 시 기판의 영향을 배제하고자 트렌치(trench) 구조의 산화막 실리콘 기판위로 전사함으로서 공중에 떠 있는 (air suspended) 구조를 구현하였다. 산화처리를 위한 장치는 직류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0.1 Torr의 압력에서 0.4W의 파워로 공기 플라즈마를 방전하여 5분간의 산화처리와 특성평가를 매회 반복함으로서 처리시간에 따른 산화처리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공기 플라즈마 산화처리를 통해 그래핀에 결함을 부여하고 그래핀의 구조변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래핀의 특성분석을 위해서는 광학현미경, 라만 분광기, 원자간힘현미경 등을 이용하였다.

  • PDF

High Resolution MR Images from 3T Active-Shield Whole-Body MRI System (3T 능동차페형 전신 자기공명영상 장비로부터 얻어진 고해상도 자기공명영상)

  • Bo-Young Choe;Sei-Kwon Kang;Myoung-Ja Chu;Hyun-Man Baik;Euy-Neyng Kim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5 no.2
    • /
    • pp.138-148
    • /
    • 2001
  • Purpose : Within a clinically acceptable time frame, we obtained the high resolution MR images of the human brain, knee, foot and wrist from 3T whole-body MRI system which was equipped with the world first 37 active shield magnet. Materials and Methods : Spin echo (SE) and Fast Spin Echo (FSE) images were obtained from the human brain, knee, foot and wrist of normal subjects using a homemade birdcage and transverse electromagnetic (TEM) resonators operating in quadrature and tuned to 128 MHz. For acquisition of MR images of knee, foot and wrist, we employed a homemade saddle shaped RF coil. Topical common acquisition parameters were as follows: matrix=$512{\times}512$, field of view (FOV) =20 cm, slice thickness = 3 mm, number of excitations (NEX)=1. For T1-weighted MR images, we used TR = 500 ms, TE = 10 or 17.4 ms. For T2-weighted MR images, we used TR=4000 ms, TE = 108 ms. Results : Signal to noise ratio (SNR) of 3T system was measured 2.7 times greater than that of prevalent 1.5T system. MR images obtained from 3T system revealed numerous small venous structures throughout the image plane and provided reasonable delineation between gray and white matter.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R images from 3T system could provide better diagnostic quali\ulcorner of resolution and sensitivity than those of 1.5T system. The elevated SNR observed in the 3T high fiel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be utilized to acquire images with a level of resolution approaching the microscopic structural level under in vivo conditions. These images represent a significant advance in our ability to examine small anatomical features with noninvasive imaging methods.

  • PDF

Magnetocardiography System in Open-door Magnetically-shielded Room (열린 자기차폐실의 심자도 시스템)

  • Kim, J.M.;Lee, Y.H.;Kwon, H.;Yu, K.K.;Kim, K.;Park, Y.K.;Sasada, Ichiro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v.9 no.1
    • /
    • pp.50-55
    • /
    • 2007
  • We have installed a 61-channel magnetocardiography (MCG) system inside a magnetically shielded room (MSR) with a size of $2.4\;m\;{\times}2.4\;m\;{\times}2.4\;m$. The MCG system consists of 1st-order axial gradiometers containing double relaxation oscillation SQUIDs (DROSs) with pick-up coils of a base line of 70 mm. The MSR holds a shielding factor of 50 at 0.1 Hz and 10000 at 100 Hz, when its door in the middle on a front wall is closed. On opening the MSR door, we have ob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CG system with a 2.9 Hz noise generated from an air conditioning unit at 13 m distance off the MSR. In an open-door MSR ($140^{\circ}$ opening), a noise at the center channel increases up to $700\;fT/Hz^{l/2}$ at 2.9 Hz and $1.7\;pT/Hz^{1/2}$ at 60 Hz. MCG signals for a healthy human do not show distortion until the door opens to $45^{\circ}$, but show the effect of noise when the door opens further at $90^{\circ}$ and $140^{\circ}$. With the door opens to $45^{\circ}$, MCG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with ease of door operation and without creating claustrophobia for the patient.

  • PDF

Optimum Combination of Pickup Coil Type and Magnetically Shielded Room for Maximum SNR to Measure Biomagnetism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최대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는 검출코일의 형태 와 자기차폐실의 최적 조합)

  • Yu, K.K.;Lee, Y.H.;Kang, C.S.;Kim, J.M.;Park, Y.K.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v.9 no.1
    • /
    • pp.45-49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optimum combination of the environmental noise condition and type of SQUID pickup coil in order to obtain maximum signal-to-noise ratio (SNR). The measurement probe consists of 1st order gradiometer with pickup coils of 100 mm, 70 mm, and 50 mm baseline length, a 2nd order gradiometer with 50 mm baseline, and a magnetometer. The pickup coils are fabricated by winding Nb wire on a bobbin with 200 mm diameter. Noise and heart signal of a healthy male were measured by various SQUID sensors with different types of pickup coils in various magnetically shielded rooms (MSR),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shielding factors were found to be 43 dB, 35 dB and 25 dB at 0.1 Hz for MSR-AS, MSR-BS, MSR-CS, respectively. White noises were $3.5\;fT/Hz^{1/2}$, $4.5\;fT/Hz^{1/2}$ and $3\;fT/Hz^{1/2}$ for the 1st order gradiometers, the 2nd order gradiometers, and magnetometer for all MSRs. SNR of the magnetometer was up to 56 dB in MSR-AS, while the 1st order axial gradiometer with 70 mm baseline length was up to 54 dB in MSR-BS. The 2nd order axial gradiometer with 50 mm baseline length of pickup coil was found to be up to 40 dB in MSR-CS.

  • PDF

그래핀 투명전도막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Strain 영향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62-462
    • /
    • 2011
  • 그래핀은 탄소원자로 구성된 원자단위 두께의 매우 얇은 2차원의 나노재료로서 높은 투광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지니며 구조적 화학적 으로도 매우 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그래핀을 얻는 방법에는 물리·화학적 박리법, 탄화규소의 흑연화, 열화학기 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등 많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중 TCVD방법이 대면적으로 두께균일도가 높은 그래핀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그래핀은 우수한 특성들을 기반으로 센서나 메모리와 같은 기능성 소자로 응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투명고분자 기판으로 전사함으로서 유연성 투명전극을 제작 가능하여 기존의 인듐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투명전극을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전·자기 차폐재 등의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CVD법을 이용하여 대면적으로 두께균일도가 높은 그래핀을 합성하여 투명 고분자 기판(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위에 전사하여 투명전도막을 제작한 후, 압축변형률(compressive strain)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래핀은 300 nm 두께의 니켈박막이 증착된 산화물 실리콘 기판위에 원료가스로 메탄(CH4)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 결과 단층 그래핀의 면적은 약 80% 이상이었으며, 합성된 그래핀은 분석의 용이함 및 향후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식각공정을 통해 산화막 실리콘 기판과 PET기판으로 전사하였다. PET기판 위로 전사하여 제작한 그래핀 투명전도막의 strain 인가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약 20%의 비교적 높은 strain하에서도 전기적특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핀의 특성분석을 위해서는 광학현미경, 라만 분광기, 투과전자현미경, 자외 및 가시선 분광광도계, 4탐침측정기 등을 이용하였다.

  • PDF

Super-Hydrophobic Coating and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for Anti-Corrosion Property of Magnesium Alloy (초발수 코팅 및 플라즈마 전해 산화를 이용한 마그네슘합금의 내식성 향상)

  • Ju, Jae-Hun;Kim, Dong-Hyeon;Kim, Gwon-Hu;Lee,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79-79
    • /
    • 2018
  • 마그네슘은 나트륨, 알루미늄과 함께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금속 중 하나로서 밀도가 약 $1.74g/cm^3$으로서 구조용 금속재료 중 가장 가볍고 우수한 비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우수한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전자파 차폐능을 지닌다. 최근 마그네슘 및 그 합금은 항공기, 자동차, 전자제품, 기계류 및 생활용품 등에 쓰이고 있으며, 사용량 및 적용범위가 매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마그네슘합금은 매우 낮은 표준 환원전위와 치밀하지 못한 표면 산화막으로 인하여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취약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합금의 표면처리 가운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은 활발한 마그네슘합금의 응용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마그네슘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자 전기화학적 플라즈마 전해 산화처리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를 하게 되는데, 아노다이징, 화성피막처리 등 과 같은 기존의 산업적 표면처리 방안으로는 불가능한 수준의 표면경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꺼운 산화피막 형성을 통해 이들 합금이 가진 기본적 취약점인 내식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다공성 산화피막 형성만으로 기대할 수 있는 내식성 향상 효과가 매우 크지는 못하다. 따라서 다공성의 양극산화피막의 단점, 즉 다공성 물질로 부식성 물질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처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수성 표면처리를 이용하여 다공성 구조물의 표면이 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초발수성 표면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후처리 방법인 봉공처리로는 얻을 수 없었던 다공성 구조물로의 부식성 물질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상당한 수준의 내식성 향상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물에 대한 반발성은 표면에 물의 이동성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주며 이로 인하여 자기세척 효과도 보여주었다.

  • PDF

Geant4를 이용한 STEIN 검출기의 입자 분리 검출 모의실험 예비 결과 분석

  • Park, Seong-Ha;Kim, Yong-Ho;U, Ju;Seon, Jong-Ho;Jin, Ho;Lee, Dong-Hun;Lin, Robert P.;Immel, Thomas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2.2-212.2
    • /
    • 2012
  • 지구 자기권에 존재하는 플라즈마 입자의 다중관측을 목적으로 개발된 초소형 탑재체 STEIN (SupraThermal Electron, Ion, Neutral) 은 경희대학교와 UC Berkeley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3대의 초소형 과학위성 TRIO-CINEMA (TRiplet Ionosphere Observatory - Cubesat for Ion, Neutral, Electron and MAgnetic fields) 에 탑재될 입자 검출기이다. 32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STEIN 검출기는 2~300 keV의 전자, 4~300 keV의 이온과 중성입자(Energetic Neutral Atom: ENA) 를 분리 계측할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하전입자가 정전장 편향기를 통과하여 서로 다른 검출기 픽셀에 도달함으로써 전자와 이온, 중성입자를 분리하여 계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STEIN 구조물에서 발생한 2차 입자의 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 편향기 사이에 차단날(blade)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EIN 모의실험 예비 결과로써 전기장에 크기 및 차단날에 의한 하전입자의 궤적과 이에 따른 분리 계측 성능을 알아보고자 Geant4 (GEometry ANd Tracking)를 사용하여 검출기 픽셀에 입사하는 전자의 초기 위치를 분석하였다. 전자의 입사 위치는 검출기로부터 5 cm 전방에서 6 mm * 20 mm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생성하여 검출기의 방향으로 수직 입사하였다. 분석 결과 전자들은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편향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저에너지 전자는 강한 전기장의 영향으로 차단날에 의해 차폐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전기장의 크기와 차단날에 따른 입자 분리 검출이 가능함을 본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STEIN 운용 시 입자 분리 검출 및 결과 분석 기반으로 본 연구 결과를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