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장 측정

Search Result 53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2.5 Dimensional EM Modeling considering Horizontal Magnetic Dipole Source (수평 자기쌍극자 송신원을 이용한 2.5차원 전자탐사 모델링)

  • Kwon Hyoung-Seok;Song Yoonho;Son Jeong-Sul;Suh Jung-Hee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5 no.2
    • /
    • pp.84-92
    • /
    • 2002
  • In this study, the new modeling scheme has been developed for recently designed and tested electromagnetic survey, which adapts horizontal magnetic dipole with $1\;kHz\~1\;MHz$ frequency range as a source. The 2.5-D secondary field formulation in wavenumber domain was construct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d verified through comparing results with layered-earth solutions calculated by integral equations. 2-D conductive- and resistive-block models were constructed for calculating electric field, magnetic field and impedance - the ratio of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which are orthogonal each other. This study showed that electric field and impedance are superior in identifying 2-D isolated-body model to magnetic field. In particular, impedance gives more stable results than electric field with similar spatial resolving power, because electric field is divided by magnetic field in impedance. Thus the impedance analysis which uses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together would give better result in imaging the shallow anomalies than conventional EM method.

KOMPSAT 삼축자력계로부터 관측된 지구자기장 분석

  • 황종선;김성용;이선호;민경덕;김정우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3-149
    • /
    • 2003
  • 다목적위성 1호(KOMPSAT-1, The first Korea Multi-Purpose Satellite)에 장착된 위성 자세제어용 3축 자력계(TAM, Three-Axis Magnetometer)로부터 2000년 6월 19일에서 21일 사이에 측정된 지구자기장을 분석하였다. TAM Telemetry 값을 지구관성좌표계에서 지구고정좌표계로 우선 변환시킨 후에 다시 구면좌표계로 변환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지구자기장의 영향 이외의 위성내의 유도 전류나 온도변화로 인한 에러, 태양풍의 영향 등을 제거하였고 태양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제도를 지방시에 따라 상승 및 하강과 두 그룹으로 나눈 후 파동수대비법을 이용해 두 그룹 사이에 서로 역으로 대비되는 (inversely-correlated) 성분을 제거하였다. 측선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동수 영역에서 Quadrant Swapping법을 도입하였고, 이로부터 연구 기간 중 최종적인 지구자기장을 추출하였다. KOMSAT TAM 으로부터 추출된 자기장의 주성분(corefield)을 동일 기간 중 KOMSAT과 유사한 고도에서 지구자기장 관측을 전문적으로 수행한 Ørsted 위성 관측값과 비교한 결과 이들 사이의 상관계수는 0.9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위성 자세보정용 자력계로 부터 관측된 자기장으로부터 신뢰도 있는 주성분 추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로부터 전지구 구면조화계수를 유도할 경우 지구자기장 전문 관측위성이 존재하지 않는 기간 및 고도에 대한 자기장 연구가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Magnetic Fields Measurement of Radio-Frequency Induction Coupled Plasma (고주파 유도 결합 플라즈마의 자기장 계측에 관한 연구)

  • 하장호;전용우;전재일;김기채;박원주;이광식;이동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52-54
    • /
    • 1997
  • 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즈마(RFICP)에서 루우프법에 의해 자기장특성을 계측하였다. 자기장 계측은 플라즈마의 거시적 변화를 시간적으로 접근하며, 반도체 프로세스의 관건인 균일하고, 고집적인 분포를 얼마나 교란, 응집하는가를 검증하고, 밀도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방적의 최적화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작은 루우프 안테나($\Phi$:외경 7.5mm)는 RF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방전속에 삽입된다. 자기장의 세기는 전형적으로 입력파워 50 - 500 [W]에 대해 0.1에서 2.5 G 사이로 변화하였다. 사용가스는 아르곤가스(99.9% 고순도)를 사용하였으며, 동작압력은 20 [mTorr] 에서 15 [sccm]까지하였다. 반경방향의 공간분포에서는 아스펙트비(aspect ratio : R/L)를 2로 하여 자기장 분포를 계측하였다. 자기장은 입력파워의존성에 대해서 200 [W]까지 상승하고, 300[W]에서 안정성을 지속한다. 압력에 대한 의존성은 300[W]에서 60 [mTorr]이상 일 때는 플라즈마의 균질한 압력상태를 벗어남을 보인다. 아르곤 가스유량에 대해서는 무거운 중성기체입자가 자기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경향이 나타났다. 반경방향의 공간분포 측정에서는 자기장은 RFICP의 대구경 특성에 맞게 전체적으로 일정한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주파유도결합 플라즈마에서의 동작생성, 유지기구등의 파악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CQUISITION OF THE FLIGHT INFORMATION USING THE KSR-3 MAGNETOMETER (KSR-3 탑재 자력계를 이용한 비행정보 획득 연구)

  • Kim, Sun-Mi;Jang, Min-Hwan;Lee, Dong-Hun;Han, Young-Seok;Kim, Jun;Hwang, Seung-Hyun;Lee, Eun-Seok;Lee, Sun-Min;Kim, Hyo-Jin;Lee, Su-Ji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0 no.1
    • /
    • pp.29-42
    • /
    • 2003
  • The KSR-3 magnetometers consist of the fluxgate magnetometer (MAG/AIM) for acquiring the rocket flight attitude information, and the search-coil magnetometer (MAG/SIM) for the observation of the Earth's magnetic fluctuations. The position (latitude, longitude, and height) and flight condition (the transformation angle) of the rocket is measured after the data based on these two magnetometers are compared with IGRF The gap in the vector of magnetic field between the position of the launching point and an impact point is taken into account in data reduction. Angular variation of pitch, yaw, and roll can be researched when the data is applied to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rocket.

A Review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Logging: Simulation Schemes (자기공명반응 시뮬레이션 해설 및 비교)

  • Jang, Jae Hwa;Nam, Myung J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6 no.2
    • /
    • pp.97-105
    • /
    • 2013
  •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logging has become an important technique for formation evaluation, detecting interaction signals between H protons and applied magnetic fields. Measured decay signals called relaxation, contai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density of H protons and different decay rate due to its fluid type in the sensitive area. Thus, petrophysical information such as porosity, permeability and wettability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decay signals. Many researches on random walk simulation have been published, since a simulation method based on random walk for solving exponential decays was adapted in the early of 1950. This study first makes a review on NMR simulation researches, explains two most important methods: simulation with or without considering magnetic field gradient. Lastly, the study makes a comparison between NMR simulation responses with and without magnetic field gradient to show the importance to consider magnetic gradient to analyze the effects of magnetic gradients on NMR responses.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magnetostriction of Amorphous Ribbon (비정질 리본의 자기변형 측정용 광섬유 변위센서)

  • 유권상;김철기;김중복;김현아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6 no.1
    • /
    • pp.36-39
    • /
    • 1996
  • We have constructed a disp1acerrent sensor for measuring dynamic magnetostriction of an arrvrphous ribbon under alternating magnetic field using fiber optic Fabry-Perot interferorreter. The signal of the sensor was depen¬dent on the index matching oil and the optical isolator. The resolution of the sensor was $30{\AA}$ and the measured peak to peak magnetostriction of the amorphous ribbon $Fe_{81}B_{13.5}Si_{3.5}C_{2}$ was $28{\times}10^{-6}$.

  • PDF

Development of Coercivity Measuring System for Ferromagnetic Materials in Open Magnetic Circuit (개방자기회로에서 강자성재료의 보자력 측정장치 개발)

  • 유권상;박진습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0 no.6
    • /
    • pp.297-301
    • /
    • 2000
  • Coercivity is defined as the magnetic field strength required to reduce the magnetic polarization to zero of magnetic specimen which has been previously magnetized to saturation. This quantity is a reference for classifying soft and hard magnetic materials. We have constructed the measuring system for measurement of coercivity of ferromagnetic materials in open magnetic circuit.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constructed system is from tens A/m to tens kA/m, the combined uncertainty is ${\pm}$0.22 kA/m as coercivity is 14.63 kA/m.

  • PDF

Measurement of Saturation Magnetostriction by the Second-order Higher Harmonics of ac Perturbing Magnetic Field (교류 섭동 자기장의 제 2차 고조파를 이용한 포화자기변헝 측정)

  • Cha, S.Y.;Kim, J.K.;Ryu, K.S.;Cho, Y.R.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5 no.2
    • /
    • pp.72-75
    • /
    • 2005
  • The profiles of the second-order higher harmonics during B-H hysteresis loop have been measured as functions of the tensile stress in grain-oriented $3.2{\%}$ Si steels. The observed harmonics profiles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the nonlinear, asymmetric magnetization which reflects the domain reorientation under the field. The field interval of the second-order higher harmonics is related to the nucleation and annihilation fields and a measurement method for the magnetostriction is proposed using the harmonics profiles under tensile stress.

NMR Measurement by Induction Method in a Low Magnetic Field (저자장에서 자기유도법에 의한 핵자기공명 측정)

  • 유권상;김창석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4 no.3
    • /
    • pp.277-281
    • /
    • 1994
  • The NMR signal by induction method was observed in a solenoid field of 1.0 mT. The center frequeocy and the half width at the half maximum of NMR signal were 42.588 Hz and 2.2 Hz in a field gradient of 3 ppm/cm. The NMR signals in different field gradients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s by considering the weighting factor of sample.

  • PDF

지구의 비쌍극자 자장과 편각

  • Park, Chang-Go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53-53
    • /
    • 2010
  • 지표위의 어떤 지점에서의 지구자기의 수평분력 방향과 진북방향 사이의 각을 편각(Declination)이라고 정의한다. 쉽게 말하면 편각은 나침반의 자침이 가러 키는 방향과 진북방향과의 사이 각을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침반의 자침이 북자기극(North magnetic pole)을 가러킨다고 잘못알고 있다. 지구 다이나모설(Geodynamo theory)에 의하면 주로 철(약 90%)로 구성된 외핵 속에서 계속 생성 유지되고 있는 복잡한 (각각 나선형(helical)의 회전축에 대체로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은) 대류(Convection currents)에 수반하는 전류가 복잡한 지구자기장을 형성한다. 지표상에서 측정한 지구자기장의 자료를 Spherical harmonic analysis 으로 분석하면 한 개의 커다란 쌍극자(Dipole) (Inclined geocentric dipole 또는 주된 자기장(Main field) 이라고 부름), 적도쌍극자(Equatorial dipole), 4극자 (Quadrupoles), 8극자(Octupoles) 등의 여러 개의 크고 작은 쌍극자들의 총합이 지구자기장의 근원인 것처럼 해석되고 있다. 어떤 지점에서의 지구자기장의 방향은 외핵에서 생성된 천체 자기장에서 Main field를 제거한 나머지 자기장과, 상부 맨틀(upper mantle), 지각 및 지표상에 존재하는 인공 물체 또는 암석 및 광석 등의 잔류자기 및 유도자기 그리고 지형 등의 영향으로 결정된다. 어떤 지점에서의 지구자기장의 방향은 태양풍(Solar wind)과 전리층 사이의 상호작용 등의 외부자장(external field)의 영향도 받는다. 비쌍극자 자장(Non-dipole field)은 지표상에서 측정되는 총자기장에서 외핵에서 생성된 주된 자기장(Main field) 즉, 지구의 회전축에서 약 11.5도 기울어진 쌍극자 자장을 제거하고 남는 자기장을 말한다. 따라서 편각은 비쌍극자자장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비쌍극자 자장은 정지한 상태의 자장(standing field) 과 매년 서쪽으로 약 0.2도 움직이는 Westward drift하는 자장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쌍극자 자장의 방향은 매우 느리게 변하지만 그 세기는 현재 비교적으로 빠르게 약해지고 있다. 비교적으로 매우 빠르게 변하는 비쌍극자 자장의 변화를 영년변화(Secular variation) 이라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