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장 측정

검색결과 531건 처리시간 0.046초

비정질 리본의 ΔE 특성을 이용한 선형 자기센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inear Magnetic Field Sensor Using ΔE in Amorphous Ribbon)

  • 박수영;김철기;유권상;김동영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05-208
    • /
    • 2013
  • ${\delta}$E 효과는 재료의 영율(Young's modulus)이 자화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효과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께 $25{\mu}m$, 길이 30 mm의 비정질 리본 2605SC를 폭 3 mm, 5 mm, 8.5 mm로 각각 에칭하여 외부 자기장 세기와 시편의 폭 변화에 따른 영율의 변화를 임피던스 공명 측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가 자기장이 증가함에 따라 영율이 증가하는 것과, 시편의 폭이 넓을수록 시편에 인가되는 유효 자기장이 감소하여 영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단원자 모델로 계산한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외부 자기장 세기에 따라 변화하는 영율(${\delta}$E)의 선형적 변화 영역을 이용한 선형 자기센서 제작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자성유체의 형상에 따른 선형 펌프의 펌핑력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Pumping Force according to Shape of Magnetic Fluid in Magnetic Fluid Linear Pump)

  • 서강;박관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981-983
    • /
    • 2005
  • 자성유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선형 펌프를 개발하였다. 자성유체의 자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선형펌프로 일반 펌프에 비해 조가 간단하고, 진동/소음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기장의 조절만으로 펌프를 조절할 수 있다. 개발한 펌프는 자성유체의 관내에서의 형상에 따라 펌핑력이 매우 달라진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자성유체의 형상을 해석하고, 이로 인해 형성되는 자성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펌핑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 PDF

근피로 회복 및 근통증 완화를 위한 미약 자기장 자극에 대한 체열변화 분석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DITI) analysis by micro-magnetic stimulation for muscle fatigue recovery and muscle pain control)

  • 김수병;이나라;이승욱;이경중;이용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653-16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미약 자기장 자극이 근피로 회복 및 근통증 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 체열 영상진단검사법을 이용하여 체표면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피험자(n=96)에 대하여 등척성 운동으로 근피로를 유발시킨 후 무자극 그룹(n=32)과 저주파 자극 그룹(n=32) 그리고 자기장 자극 그룹(n=32)의 3일 동안 체표면 온도변화와 저주파, 자기장 자극 그룹의 자극 전/직후의 체표면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운동 직후 $0.86{\pm}0.43^{\circ}C$(n=96)의 좌/우측 온도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저주파 자극 직후에는 $0.78{\pm}0.12^{\circ}C$, 자기장 자극 직후에는 $0.1{\pm}0.39^{\circ}C$의 좌/우측 온도차를 확인하였다. 또한 3일 이후 무자극 시 $0.3{\pm}0.14^{\circ}C$, 저주파 자극 시 $0.05{\pm}0.21^{\circ}C$, 자기장 자극 시 $0.03{\pm}0.21^{\circ}C$의 좌/우측 온도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자기장 자극의 좌/우측 체표면 온도차이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근피로 회복 및 근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공명검층: 기본 이론 및 자료 측정 (A Review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logging: fundamental theory and measurements)

  • 장재화;남명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5권4호
    • /
    • pp.235-244
    • /
    • 2012
  • 석유탐사에서 자기공명검층은 저류층 내 유체의 양과 특성을 측정 및 평가 할 수 있는 물리검층 방법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자기공명검층은 수소 원자의 자기모멘트와 외부 자기장을 이용하여 이 둘의 반응 즉, 분극과 이완을 측정, 분석하는 물리검층 방법이다. 측정된 자료는 저류층 내 유체의 수소밀도에 대한 정보와 감쇠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자료 처리 과정을 거치면, 유체의 특성 및 유체의 양과 같은 저류층의 생산성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기공명검층 결과를 이용한 투수성, 습윤성와 같은 생산공학적 측면의 해석방법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기공명반응의 기본적인 이론과 자기공명검층의 역사 그리고 자기공명검층 장비를 통한 자료의 측정 원리에 대해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또한 랜덤워크를 이용한 자기공명반응의 시뮬레이션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고온초전도체 $Y_1Ba_2Cu_3O_{7-y}$의 자기이방성 (Magnetic Anisotropy in High $T_c\;Y_1Ba_2Cu_3O_{7-y}$ Superconductor)

  • 김문석;유성초;임우영;백종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28-232
    • /
    • 1992
  • 고온초전도체 $Y_1Ba_2Cu_3O_{7-y}$의 grain을 높은 자기장에서 정렬시켜 여러가지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Grain이 정렬된 초전도체는 단결정과 같이 Cu-O layer에 수직, 수평 방향에 대해 자기이방성을 가진다. 2~77 K의 온도영역에서 측정한 lower critical field$(H_{c1})$은 온도가 증가하면서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는데, Cu-O layer에 대하여 외부 자기장이 수직인 경우가 더욱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자율화$(4{\pi}\;X)$의 측정으로부터 극저온의 자화율이 -1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자화 곡선을 London의 공식과 two-fluid model을 이용해 최소자승법으로 fitting하여 절대 영도에서 침투깊이$({\lambda}_0)$를 구하였다. 또한 2 K에서 외부 자기장에 따른 자화곡선을 측정하였으며, Bean의 critical state model을 이용한 임계전류밀도$(J_c)$의 계산으로부터 grain내부는 단결정 수준의 높은 $(J_c)$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C 표면 전류 분포 측정을 위한 초소형 자기장 프로브 설계 (Design of Miniaturized Magnetic Field Probe for Measurement of IC Surface Current Distribution)

  • 이승배;전영현;김병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5호
    • /
    • pp.154-161
    • /
    • 2009
  • 최근 들어 작은 면적에 고속으로 동작하는 여러 기능 블록이 집적됨에 따라, 고속 직접회로는 인접회로의 오동작을 유발하고,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떨어뜨리는 중요한 전자파 간섭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 내부에서 가장 주요한 전자파 방해원을 파악하기 위한 좀 더 정밀한 분석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직접회로의 표면에 흐르는 전류세기의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고해상도 자기장 프로브를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3층 금속 배선이 가능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프로브 두께를 기존 작업보다 약 10%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정자기 해석과 전자기 모의실험을 통해 프로브의 공간분해능 및 비자기장 성분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실제 직접회로의 표면 전류를 측정한 결과, $210{\mu}m$의 공간해 상도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간 혈압 추정을 위한 자계용적맥파 시스템 개발 (Magnetic-plethysmograph system development for real-time blood pressure estimate)

  • 강승진;이강휘;이영재;김경남;이정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401-1402
    • /
    • 2015
  • 급작스레 발병하는 혈관 질환으로 인해 실시간 혈압 추정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혈압을 추정할 수 있는 자계용적맥파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자기장을 이용한 방법은 온도에 강하며 혈류와 상관성이 있기에 사용하였다. 혈압 추정의 과정은 총 3부분 나눌 수 있다. MPG측정, ECG측정 그리고 신호처리 부분이며 신호처리는 PC에서 디지털 필터링 및 PTT 계산을 실시하게 된다. 비교 기준 혈압으로 Omron 혈압계를 사용하여 동시 측정하였으며 결과로 각 PTT간 기준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비교 할 수 있었다.

  • PDF

패턴 된 미크론 자기박막 소자에서의 자기소거장 효과분석 (Effects of Demagnetization Field in Patterned Micro-magnetic Film Elements)

  • 김기출;서정대;김기보;이충선;송용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3-108
    • /
    • 2003
  • 미시자기모델과 Stoner-Wohlfarth 모델을 이용하여 미크론 크기로 패터닝(patterning) 된 퍼멀로이 박막의 자기소거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20 $\mu\textrm{m}$$\times$(40 $\mu\textrm{m}$~200 $\mu\textrm{m}$) 크기의 퍼멀로이 박막 시료를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과 광 리소그라피(photo littlography)로 제작하였고, 제작된 시료의 자기저항 특성과 전산시늉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미시자기모델에 의한 결과가 Stoner-Wohlfarth모델에 의한 결과보다 측정 데이터에 더 잘 일치하였다. 전산시늉 결과 미크론 크기로 패터닝 된 자기박막 시료의 경우 Stoner-Wohlfarth 모델에서의 자기소거장 근사식이 수정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함정에 의해 발생되는 수중 지자계 외란신호 해석 (Analysis of Underwater Earth Field Anomaly Generated by a Ship)

  • 이강진;양창섭;정현주;김동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882-88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자계에 노출된 함정의 유도자화에 의한 자기장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모델함정을 제작하여 지자계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왕복실험을 수행하고 이때 측정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함정의 수평방향으로 유도되는 자기장성분을 분리하였다. 또한 정밀 수치해석기법을 통해 측정치와 비교함으로서 정밀 수치해석 기법에 의한 예측값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함정 재질 상에 분포하는 유도자화 및 영구자화에 의한 자기장의 거동을 예측함으로서 함정의 자기정숙화(magnetic silent)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백색 LED증착용 MOCVD 유도가열 장치에서 가스 inlet위치에 따른 기판의 온도 균일도 측정

  • 홍광기;양원균;주정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5-115
    • /
    • 2010
  • 고휘도 고효율 백색 LED (lighting emitting diode)가 차세대 조명광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백색 LED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서 MOCVD (유기금속화학증착)장비를 이용한 에피웨이퍼공정은 에피층과 기판의 격자상수 차이와 열팽창계수차이로 인하여 생성되는 에피결함의 문제로 기판과 GaN 박막층 사이에 완충작용을 해줄 수 있는 버퍼층 (Buffer layer)을 만든다. 그 위에 InGaN/GaN MQW (Multi Quantum Well)공정을 하여 고휘도 고효율 백색 LED를 구현 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기판의 온도가 불균일해지면 wafer 파장 균일도가 나빠지므로 백색 LED의 yield가 떨어진다. 균일한 기판 온도를 갖기 위한 조건으로 기판과 induction heater의 간격, 가스의 흐름, 기판의 회전, 유도가열코일의 디자인 등이 장비의 설계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가열방식의 유도가열히터를 이용하여 기판과 히터의 간격에 차이에 따른 기판 균일도 측정했고, 회전에 의한 기판의 온도분포와 자기장분포의 실험적 결과를 상용화 유체역학 코드인 CFD-ACE+의 모델링 결과와 비교 했다. 또한 가스의 inlet위치에 따른 기판의 온도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열원은 유도가열히터 (Viewtong, VT-180C2)를 사용했고, 가열된 흑연판 표면의 온도를 2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Fluke, Ti-10)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했다. 와전류에 의한 흑연판의 가열 현상을 누출 전계의 분포로 확인하기 위하여 Tektronix사의 A6302 probe와 TM502A amplifier를 사용했다. 흑연판 위에 1 cm2 간격으로 211곳에서 유도 전류를 측정했다. 유도전류는 벡터양이므로 $E{\theta}$를 측정했으며, 이때의 측정 방향은 흑연판의 원주방향이다. 또한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KANETEC사의 TM-501을 이용하여 흑연판 중심으로부터 10 mm 간격으로 자기장을 측정 했다. 저항 가열 히터를 통하여 대류에 의한 온도 균일도를 평가한 결과 gap이 3 mm일때, 평균 온도 $166.5^{\circ}C$에서 불균일도 6.5%를 얻었으며, 회전에 의한 온도 균일도 측정 결과는 2.5 RPM일 때 평균온도 $163^{\circ}C$에서 5.5%의 불균일도를 확인했다. 또한 CFD-ACE+를 이용한 모델링 결과 자기장의 분포는 중심이 높은 분포를 나타냄을 확인했고, 기판의 온도분포는 중심으로부터 55 mm되는 곳에서 300 W/m3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가스 inlet 위치를 흑연판 중심으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흘려주었을 때의 불균일도는 각각 10.5%, 8.0%로 수평 방향으로 가스를 흘려주었을 때 2.5% 온도 균일도 향상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