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성장

검색결과 854건 처리시간 0.034초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Hope)

  • 장민;김예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31-141
    • /
    • 2020
  •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성격 변인인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르게 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경험이 있는 전국의 만19세부터 만65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분석에 적합한 3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은 자기효능감, 인지 유연성의 대안과 통제, 그리고 희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의 증가는 희망의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증가된 희망은 증가된 대안과 자기효능감 수준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대안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CSI- based self-growth program on self-efficacy,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dergraduates)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469-3477
    • /
    • 2014
  • 본 연구는 일 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LCSI를 활용한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단일군 전후 실험 연구로 대학생 3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4주간 총 8회기의 LCSI 자기 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자기 효능감과 그 하부 요인 자신감, 자기조절, 과제 난이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학생활 적응과 그 하부 요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정서적응, 신체 적응, 대학 애착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CSI를 이용한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각각의 대상자 특성과 다양한 상황을 적용한 LCSI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한다면 의사소통이나 갈등 관리 등 여러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독서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 (The Impact of Reading on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 박성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93-31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한국교육고용패널 II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관심변인인 독서와 자기효능감, 다문화수용성의 성장궤적을 분석하고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독서량과 자기효능감, 다문화수용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서량의 초기값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 초기값과 정(+)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독서량 초기값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자기장 단결정 성장장치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agnetic field device for single crystal growth)

  • 김신애;조상진;엘레나 마가이;류선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3
  • 중성자회절을 이용하여 단백질 내의 수소원자 위치를 포함한 3차원 상세구조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중성자 회절용 단백질 단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해 상용자석을 이용한 자기장 단결정 성장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중성자 회절실험에 필요한 1 $mm^3$ 이상 부피의 lysozyme 단결정 시료를 성장시켰다. 자기장 영향 하에서 성장시킨 단결정은 자기장의 영향 없이 성장한 시료보다 평균 부피가 크고 결정도가 우수하였으며, X-선 측정 결과에서도 해상도가 높고 작은 mosaicity를 나타내었다.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분석 (The Convergent Effects of Self Growth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Girls)

  • 김정경;김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23-332
    • /
    • 2018
  • 본 연구는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자료수집은 G도, K시에 소재한 여자중학교 1학년 24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19일부터 12월 28일 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프로그램 사후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교사관계와 학교수업에서 프로그램 사후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을 통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을 보이므로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고 시사된다. 추후 다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중국 대학생의 학업소진이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academic burnout on academic self-efficac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tudy engagemen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owth mindset)

  • 오미평;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31-239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소진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의 한 전문대학교에서 유의표집한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학업소진은 성장 마인드셋, 학습몰입 및 학업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성장 마인드셋, 학습몰입과 학업자기효능감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업소진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업소진이 학업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는 상황에서 학습몰입과 성장 마인드셋을 적용하여 학업자기효능감를 보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균열 유도 재령에 따른 결정성장형 자기치유 고상캡슐 활용 시멘트 모르타르의 균열 치유 특성 (The Crack Healing Properties of Cement Mortar Materials Using Crystal Growth Type Self-Healing Solid Capsules According to the Crack Induction Age)

  • 최연왕;남은준;김철규;오성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75-4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결정성장형 자기치유 고상캡슐의 코어조성비에 따라 3수준의 고상캡슐을 제조하였으며, 결정성장형 자기치유 고상캡슐을 혼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상캡슐은 시멘트 질량의 3%와 혼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의 균열 유도 재령에 따른 치유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정성장형 자기치유 고상캡슐을 혼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균열 유도 재령에 따른 균열치유 특성을 평가한 결과, 7일 재령 동안 반응하지 않은 수화물질이 남아있기 때문에 고상캡슐과 혼합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자기치유 성능은 28일 재령 대비 7일 재령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ZnTiO 박막의 성장과 전기적 특성 연구

  • 유한태;이영민;유승용;김형준;이진용;이세준;김득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0-19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Ti이 도핑된 ZnO의 성장 및 후처리 과정에 따른 구조적, 전기적, 자기적 특성에 관하여 보고한다. ZnTiO 박막은 Pt/SiO2/Si기판에 $500^{\circ}C$, 20 mTorr에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법과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으로 코스퍼터링을 통하여 증착 하였다. 그리고 박막 성장 후 질소분위기에서 $600{\sim}900^{\circ}C$($50^{\circ}$ step)에서 급속 열처리 공정(RTA)을 이용하여 후열처리에 따른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조적 특성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XRD 측정을 하였으며, Ti이 Zn와 치환되어 성장 한 것을 관측하였다. 한편 자기적 특성 확인을 위한 SQUID 측정 결과, ZnTiO 박막에서 강자성 특성인 자기-이력곡선을 확인하였다. 또한 강유전 특성 분석을 위한 I-V 측정에서 ZnTiO 박막에서 강유전 특성인 전류-이력 현상을 관측하였다.

  • PDF

자기장 세기에 따른 브로콜리 씨앗의 발아와 엽록체 생성 (Germination and Chloroplast Formation of Broccoli Seeds Caused by a Magnetic Field)

  • 박종호
    • 새물리
    • /
    • 제68권12호
    • /
    • pp.1384-1388
    • /
    • 2018
  • 브로콜리의 발아율과 엽록체 형성에 대한 자기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브로콜리의 발아율과 성장률은 실험군 B > 실험군 A > 대조군 C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로콜리 형광 및 엽록체 양의 실험에서는 실험군 A > 대조군 C > 실험군 B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로콜리의 발아율과 성장은 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발아율과 성장율 그리고 형광, 엽록체 양의 실험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이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장 처리는 엽록체 생산과 식물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적절한 자기장의 범위 내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기도금 시 외부자기장이 CoPtP 합금의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During Electrodeposition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CoPtP Alloys)

  • 정원용;박호동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276-281
    • /
    • 2005
  • 전기도금 시 외부자기장을 인가하여 CoPtP 합금을 제조하였을 경우 인가 자장이 합금의 결정성장 방향과 입자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기 도금 시에 도금되는 박막의 수직방향으로 외부의 자기장을 0에서 1 T까지 인가하여 CoPtP 합금을 제조하였다. 외부의 인가자장이 없을 경우에는 합금의 성장이 fcc (111)과 hop (002)가 혼합된 형태를 나타내지만, 외부 인가자장이 1 T일 경우에는 hcp (002)의 형태로만 이루어졌다. CoPtP 합금은 columnar 형태로 성장을 하고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서 합금의 입자크기가 커지게 됨을 확인하였고, 자기장이 존재하는 경우는 CoPtP의 두께가 200nm까지는 cell의 크기가 Co의 단자구 크기 이하인 20nm 이하로 제어되고 박막에 수직방향으로 자화 용의축인 (002)방향으로 hcp 결정의 성장이 유도되었다. 이를 통하여 자기적 성질이 가장 우수한 박막의 두께를 정할 수 있었으며 전류밀도를 제어하여 보자력 6.1 kOe, 각형비 0.9의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CoPtP 합금의 전기도금 조건을 확립하였다. CoPtP 합금의 자기적 특성을 VSM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결정방위와 미세구조조직은 XRD와 TEM을 통하여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