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변형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자기변형재료를 이용한 초정밀 액추에이터개발

  • 황진동;김선호;안증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8-138
    • /
    • 2004
  •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이란 강자성을 띤 재료가 외부에서 인가된 자장에 놓이게 될 경우 재료의 자구 내에서 자기모멘트가 자장방향으로 정렬하면서 물체의 크기가 변하는 현상이다. 자기변형 재료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PZT보다 최고 10배 이상의 자기변형율을 가지면서 직경(20mm)에서 약 12kN의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고 자기장 방향과는 무관하게 항상 양의 자기변형을 가지는 재료이다. 주변형이 일어나는 영역에서의 자기변형은 자장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중략)

  • PDF

Magnetostriction in Antiferromagnetic Systems (반강자성 물질의 자기변형)

  • Kim, C.G.;Kim, Beom-Hyun;Min, B.I.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8 no.4
    • /
    • pp.159-162
    • /
    • 2008
  • The phenomenon of magnetostriction occurs in magnetic systems when the temperature is changed or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It is known that the magnetostriction observed in rare-earth elements and compounds is well described by the crystal-field striction and the exchange striction. In this review paper, we discuss the standard theory for the magnetostriction which includes the crystal-field and the exchange interaction.

Effect of WC Addition on the Mechanical and Magnetostrictive Properties of Fe-Co-Ge Alloy Composites (WC를 첨가한 Fe-Co-Ge 합금 복합체의 기계적 및 자기변형 특성)

  • 유광현;오승탁;강계명;김상우;윤용운;나석민;임상호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144-144
    • /
    • 2003
  • Fe-Co-Ge 자기변형 합금 복합체는 낮은 자기장에서도 높은 자기 변형 민감도와 고분자 바인더에 의한 절연으로 인하여 저항이 크고, 와전류 손실이 작아 고주파영역 에서도 우수한 자기변형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희토류계 자기변형 복합체에 비하여 그 성능은 열세이지만,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높은 성능/가격 대비 효과를 가지므로 초음파 발진소자와 같은 대량의 상업적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한 소재로 있다. [1]. 한편 이와 같은 자기 변형 복합체는 고분자 바인더와 결합되어 있어 그 기계적 특성의 향상과 사용주파수 대역의 증가가 요구되어진다. 이에 이들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670 GPa의 큰 영률을 갖는 WC 분말의 첨가에 의한 합금복합체의 기계적 및 자기변형 (정적 및 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 PDF

자기변형 물질의 소개

  • Lee, Ho-Cheol
    • Journal of KSNVE
    • /
    • v.21 no.3
    • /
    • pp.32-35
    • /
    • 2011
  •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에 관한 연재물 2번째로 이번 호에서는 자기변형 현상을 보이는 각종 물질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편의상 별도의 합금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비희토류계 물질과 특별한 공정을 통해서만 만들어낼 수 있는 희토류계 물질로 나누었다. 자기변형 현상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는 3번째 연재물부터 진행할 것을 밝힌다.

자기변형 소자와 그 응용

  • 백창욱;김병호;김용권
    • 전기의세계
    • /
    • v.42 no.9
    • /
    • pp.38-45
    • /
    • 1993
  • 자기변형소자는 압전소자에 비해 변위가 크고, 발생력이 크다는 장점으로 인해 압전소자를 대치할 소자로 기대된다. 하지만 자기변형소자가 주목받기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응용에 있어서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결된 상태는 아니다. 본문에서도 언급했듯이 높은 주파수에서 동작할때 와전류로 인한 특성의 저하, 구동하는데 많은 전류를 흘려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위의 변화 등의 문제는 실제 응용시 꼭 해결해야할 것들이다. 국내에서는 자기변형소자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특정한 분야의 응용에 앞서 소자 자체의 특성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자기변형소자의 특성에 대한 축적된 빠른 시간내에 자기변형소자를 이용한 좋은 응용이 나오기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자기변형(3) - 구동기의 이론적 모델링 -

  • Lee, Ho-Cheol
    • Journal of KSNVE
    • /
    • v.21 no.4
    • /
    • pp.25-29
    • /
    • 2011
  •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에 관한 연재물 3번째로 이번 호부터는 본격적으로 자기변형 현상을 이용한 구동기(actuator)의 이론적인 모델링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아직 필자의 이해의 수준이‘달인’의 경지에 이르지 않은 탓에 대부분의 내용은 기존의 논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거나 여러 논문들 간의 시각의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임에 대하여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또한 이 연재에서는 주로 구동기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으나 자기변형 물질 역시 피에조 물질과 마찬가지로 센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연재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센서를 설명할 때도 많은 경우 그대로 혹은 약간의 변형을 거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언급해둔다.

자기변형 기초강좌 (1)

  • Lee, Ho-Cheol
    • Journal of KSNVE
    • /
    • v.21 no.2
    • /
    • pp.29-34
    • /
    • 2011
  • 이번 기초강좌 코너에서는 앞으로 4회 혹은 5회에 걸쳐서 소위 영어로 'magnetostriction' 한국말로는 '자기변형 혹은 자왜현상'(이하 자기변형 현상으로 통일하여 지칭함)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대한 연재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능형 물질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요즘에 독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시의적절한 연재물이 되기를 기대하며 때때로 필자의 근거 없는 사견이 포함되더라도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양해를 부탁드린다.

Magnetostriction and Stress of NiFeCr/(Cu/Co90Fe10)×N/NiFeCr Multilayer Films (NiFeCr/(Cu/Co90Fe10)×N/NiFeCr 다층박막의 자기변형과 응력에 관한 연구)

  • Jo, Soon-Chul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0 no.1
    • /
    • pp.8-12
    • /
    • 2010
  • The magnetostriction and stress of multilayer $NiFeCr/(Cu/Co_{90}Fe_{10}){\times}N/NiFeCr$ films were investigated. As the number of Cu $15{\AA}$/CoFe $15{\AA}$ bilayers was increased, the saturation magnetostriction decreased from $-5.6\times10^{-6}$ at 2 bilayers to $-8.5\times10^{-6}$ at 20 bilayers. A change of CoFe thickness from 10 to $20{\AA}$ caused a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tensile stress from 980MPa to 590MPa as the number of Cu $15{\AA}$/CoFe $15{\AA}$ bilayers increased from 2 to 20. The maximum magnetostrictive anisotropy field that could be developed due to nonzero magnetostriction and stress is calculated to be 135.7 Oe when the number of Cu $15{\AA}$/CoFe $15{\AA}$ bilayers is 10.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magnetostriction of Amorphous Ribbon (비정질 리본의 자기변형 측정용 광섬유 변위센서)

  • 유권상;김철기;김중복;김현아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6 no.1
    • /
    • pp.36-39
    • /
    • 1996
  • We have constructed a disp1acerrent sensor for measuring dynamic magnetostriction of an arrvrphous ribbon under alternating magnetic field using fiber optic Fabry-Perot interferorreter. The signal of the sensor was depen¬dent on the index matching oil and the optical isolator. The resolution of the sensor was $30{\AA}$ and the measured peak to peak magnetostriction of the amorphous ribbon $Fe_{81}B_{13.5}Si_{3.5}C_{2}$ was $28{\times}10^{-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