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관리와 절제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Family Life Consciousness of Dasan Jeong Yak-yong for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가정생활관(家庭生活觀)에 대한 고찰(考察))

  • Ju, Young-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6
    • /
    • pp.529-544
    • /
    • 2018
  • In this research, the significance and practice on life of Dasan Jeong Yak-Young's family is reviewed. Articles, letter, poetry written by Dasan and research papers regarding to him are mainly referred for the research. Family life 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 terms of family, food clothing and shelter life, and the economy of the family. Dasan's family life consciousness has been organized with self-management, temperance, thrift, sharing and giving for family and others. He emphasized practical efforts in daily life to realize sense of family life. First, Dasan sought self-managing and temperance as follows. He suggested attitude of careful speech and behavior, filial duty, peace within a family, reading, and training the body and mind including nice and independent temperament with being in good shape. Second, Dasan has been taught to practice the following to save money. It is important to be diligent, to live a simple life, to work hard on one's work, and to avoid extravagant behavior and heavy drinking. Third, Dasan emphasized to practice rational sharing and giving. It is to adapt to the environment, to live within one's means, to cope with difficult circumstances, not to have desire, and to practice giving. Dasan's family life consciousness includes the rules and values for implementing a welfare society. The welfare society is a society that shares good values and practices norms. In the future, the content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ducation about Dasan's family life consciousness. I hope this stud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hat the moral teachings of Dasan can be handed down and practiced in relation to family life.

Th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of Dance Major High School Students on Eating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기관리가 섭식태도와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

  • Ku, Mi-Na;Oh, Eun-Gye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2
    • /
    • pp.531-53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of dance major high school students on eating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9 dance major students at art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urvey tool.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terpersonal management of dance major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restrained eating, and body management affects external and emotional eating. Second, self-management of dance major high school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norexia. Third, the eating attitude of dance major high school students strongly mediates self-management and eating disorder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nagement of excessive body of dance major high school students has a high influence on eating attitude and anorexia.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leaders need careful guidance on correct eating behavior of students.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of Nurses' Abnormal Eating Behavior (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 관련 예측모형 연구)

  • Ju, Hyeon-Jeong;Jin, Su-Jin;Kwon, Young-Chae;Park, Mi-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399-41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for the effect on abnormal eating behavior targeting 493 nurses. Results, The direct effects of variables affecting abnormal eating behavior were in the order of eating abstinence and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85% of abnormal eating behavior. Explicit narciss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bnormal eating behavior through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eating restraint,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through eating restraint. In the multi-group moderating effect,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job stress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were different between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lower the socially-imposed perfectionism and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escape excessive eating abstinence.

현대의 흑사병 AIDS 증상과 예방

  • Lee, Yong-Ju
    • 건강소식
    • /
    • v.11 no.4 s.101
    • /
    • pp.18-21
    • /
    • 1987
  • 경제 발전이 절정에 달한 국민들이 인간생활의 정상적인 질서를 파괴해 가면서 방탕한 생활의 결과가 천간인 AIDS이지 않은가 생각되며 모든 삼라만상은 제 나름대로 질서가 있는 법이거늘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인간생활의 법칙을 어기며 물질 만능의 쾌락추구자에게 내리는 형벌이라고 생각된다. 자기자신을 절제하면서 아주 평범하게 사는 사람들에게는 이 무서운 병원체일지라도 감히 침범을 못 할 것이라고 확신하면서 생활하길 바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convergence awareness for healthy weight management and eating behavi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of adolescents (청소년의 건강 체중관리를 위한 융합 인식 및 식행동과 창의·융합역량과의 관련성)

  • Kim, Yunhwa;Lee, Youngmi;Lee, Yeon-Ky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5 no.3
    • /
    • pp.376-389
    • /
    • 2022
  • Purpose: Obesity can lead to several chronic diseases. With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obesity rates, sustainable healthy weight management among growing adolescents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related factors and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This could form the basi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healthy weight management of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30 adolescents in Daegu, Gyeongbuk, and Gyeonggi regions using a self-administered 5-Likert questionnair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0.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the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students in terms of healthy weight management convergence awareness, creativity,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self-efficacy, exercise, and dietary diversity. On the other hand, the dietary restraint score and the number of weight loss attempts were higher in the female students. Dietary restraint, disinhibition scores and weight loss attempts were higher in obese adolescents compared to underweight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dietary restraint,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exercise, and dietary divers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y weight management convergence awareness. Healthy weight management convergence awareness, exercise, meal amount management, junk food management, weight loss belief, and weight loss trial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ietary restraint.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weight loss experience, and obes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dietary disinhibition. Conclusion: The sustainable healthy weight management education of adolescents is based on weight management knowledge and awareness of convergence, and must include gender differences. Thus, the problem-solving ability for healthy weight management can be creatively cultivated to enhance self-efficacy.

Developing core competence model for Banasurance personnel (방카슈랑스 담당자 핵심역량모델 개발)

  • Jeon, SookYoung;Kwak, WonJun;Shim, JiHyun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7 no.2
    • /
    • pp.53-6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core competence model for bancassurance personnel. Prior studies have conducted both FGI and specialist workshops to explore and define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bancassurance personnel. As a result, 17 such competencies have been identified. A survey involving 105 bancassurance personnel from affiliated banks was conducted to compare perceived importance with retention levels of the aforementioned required competencies. SPSS 20.0, T-test,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o confirm education priority an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bancassurance personnel competencies that were rated as high in importance and retention were as follows: relationship building,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e execution of duties, and introspective self-confidence. In chronological order, the educational priorities for the required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as follows: professionalism, proposal capability, achievement orienta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Factors Related between Clinical Health Management and Laparoscopy-Aided Gastrectomy Patients (복강경 위절제환자와 임상적 건강관리와의 관련된 요인)

  • Lee, Seong-R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2
    • /
    • pp.5926-5930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between clinical health management and laparoscopy-aided gastrectomy patients. Data were surveyed using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by 201 patients who visited the surgical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which wa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from January 16 to February 16, 2012. As a result of study, first, the degree of performativit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fficiency(r=0.24, p<.01). Secondly,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in clinical health management was to 42.7% by selected variables. Third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fficiency was investigated the most influential and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degree of health management practices with 0.25(p=.02).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management level of laparoscopy-aided gastrectomy patients, it needs to develop and apply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ativity, self-achievement, and perceived barriers.

Pollution Status for Agricultural Reservior in Chungbuk Province (충북지역 농업용 저수지의 오염실태 조사연구)

  • Oh, Kwang-Young;Kim, Jin-Soo;Song, Chang-Sub;Kwon, Sung-Ill;Song,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87-992
    • /
    • 2007
  • 충청북도 내의 농업용 저수지중 26개소를 선정하여 관개초기, 홍수기 및 비관개기의 연 3회에 걸쳐 저수율을 파악하고 채수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수온, pH, DO, EC)과 실내 수질분석(Cd, As, Cn, Hg, 유기인, Pb, $Cr^{+6}$ PCB, ABS, COD, SS, TP, TN)을 실시하여 저수지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저수율 측정결과, 홍수기(97%)가 관개초기(72%)나 비관개기(66%)보다 높게 나타났다. pH 값의 측정결과, 수질기준$(6.0{\sim}8.5)$을 만족하고 있는 저수지의 비율은 35%(9개소)의 낮은 값을 보였다. EC와 DO 및 SS농도의 측정결과, 거의 모든 저수지에서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었으며, COD, TN, TP농도 측정결과, 수질기준 만족도는 관개초기 100%, 홍수기 81%, 비관개기 65%로 나타나, 저수량이 많은 관개초기보다 저수량이 적은 비관개기에 질소와 인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람의 건강항목(CN, Hg, 유기인, PCB, Cd, 비소As, Pb, $Cr^{6+}$, ABS)은 모든 저수지에서 관개 초기, 홍수기 및 비관개기에 모두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상류유역에 있는 마을하수도를 정비하고, 축산분뇨처리시설 등을 설치하여 저수지로의 유입부하량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점원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질소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용존성 성분을 제공하는 비료의 시용량을 줄여야하며, TP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시 입자성 인의 유출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에 나지(裸地)나 밭에 식생이나 멀칭(mulching) 등으로 토양침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가용한 장 단기간의 관측자료와 물수지 분석 연산식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측자료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산지 소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가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

  • PDF

Study on the Method for Data Interpolation using the Correlation among Runoff, Water Quality Concentration and Load (유출량, 수질 농도 및 부하량의 상호관계를 이용한 자료보간 방법에 관한 연구)

  • Oh, Chang-Ryeol;Jung, Woo-Cheol;Jin, Young-Hoon;Park, S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74-1478
    • /
    • 2007
  • 수문 및 수질자료는 일정한 기준에 의한 관측치를 시계열 자료로 기록하거나 전송할 때 다양한 형태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수문 및 수질자료를 관측하는 측정기기의 고장과 유지관리 등의 어려움으로 다양한 형태의 결측 자료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수문 및 수질자료는 시공간적 변동성이 크며 비선형성이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수문 및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할 경우 다양한 형태의 잡음에 대한 검증 및 잡음저감이 필수적 요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유역의 본류부를 대표하는 나주지점에 대한 유출량과 총유기탄소(TOC) 농도 및 TOC 부하량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잡음저감을 위하여 웨이블렛 변환과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였다. TOC 부하량 자료는 유출량과 TOC 자료간의 함수로서 표현이 가능함에 따라 유출량 및 TOC 자료가 결측되었을 경우 역함수에 의한 계산으로 결측 자료에 대한 보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안점은 잠음 저감 및 인공신경망에 의해 최적화된 예측 모형이 결측된 유출량과 TOC 자료에 대한 역함수로 정도있는 유출량과 TOC 자료 생성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적용 결과, 유출량 자료가 결측되었을 경우 TOC 및 TOC 부하량 예측으로 유출량 자료에 대한 간접추정 및 결측 자료에 대한 보간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R^2$는 0.99 이상의 값을 보였다. 또한, TOC 자료가 결측되었을 경우 역시 $R^2$는 비교적 우수한 0.97 이상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량 및 TOC, TOC 부하량 예측모형의 개발은 정도있는 유출량 및 TOC 수질 자료의 생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한 물순환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 하였으며, 가용한 장 단기간의 관측자료와 물수지 분석 연산식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측자료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산지 소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가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

  • PDF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