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극재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1초

슬래그 활용 콘크리트의 동절기 적용 성능 평가 (Application Properties of Slag Concrete in Winter Season)

  • 유조형;김우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2-58
    • /
    • 2017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내구성, 시공성 향상 및 경제성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20^{\circ}C$이하 저온환경이나, 동절기 등에서는 같은 물결합재비에서 OPC대비해서 초기강도 발현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온도(저온환경)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저온환경하에서 고로슬래그의 초기강도 발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알칼리 활성 자극제를 사용하여 초기강도 확보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저온환경하에서 OPC(Plain)를 사용한 배합과 동등한 강도 발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알칼리 활성 자극제 뿐만 아니라 슬래그의 특성인 단위수량 저감효과를 활용한 단위수량 저감을 통하여 같이 결합재를 사용하면서 초기강도 확보할 수 있는 동절기 슬래그 활용 콘크리트 배합을 제안하였다.

시각적 공간자극에 나타난 뇌파반응의 자극 정도와 만족도 변화특성 - 할로겐 조명과 벽의 영향을 중심으로 -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Stimul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Brain Wave Reaction to the Visual Stimulation in the Space -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Halogen and Wall -)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99-10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visual stimulus of users to the space through the experiment of EEG and the satisfaction of users depends on the lighting. To do that, the results measured with EEG experiment focusing on Beta ${\beta}$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o figure ou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the activation of human brain on lighting's situation as the lighting off and on in the same spac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users which classified with 4 types of the spatial sensi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spacial sensitivity of user is to communicate well with the different senses with stimulus through interaction among the elements. At this time, the brain plays a major role in build the spacial sensitivity of users as the place to make form. Secondly,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activation of brain depends on lighting situation even in the same space. The stimulus into the brain became generally stronger in images with lighting on than off. Especially, the response in the occipital lobe which connected with the visual center turn out strongly in the image of 'modern natural'. Because the visual stimulus interact well with the bright color, the reflectional texture and the rough texture painted the dark color. Thirdly, the satisfaction of users changed with lighting in the space. But we could know that the satisfaction of users isn't be related to the visual stimulu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ally, there isn't the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degree of brai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which are preference of users into 4 types of the spatial sensitivity through the results came from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ith SPSS Program 22.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무시멘트 경화체의 반응 특성 (Reaction Properties of Non-Cement Mortar Us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박선규;권성준;김윤미;이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2-399
    • /
    • 2013
  • 본 연구는 건설 산업에 있어서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시멘트를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고로슬래그 및 알칼리 자극제를 사용하여 시멘트 콘크리트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경화체의 제조가 가능한지에 대한 실험적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멘트 대체재로 철강 산업의 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자극제로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칼슘($Ca(OH)_2$), 수산화나트륨(NaOH) 등을 사용하여 공시체를 제작한 후, 휨 및 압축강도, XRD, EDS 및 SEM 등에 대한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무시멘트 경화체의 반응 특성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에 함유되어 있던 $SiO_2$, CaO 등이 용출되어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같은 칼슘 실리케이트(C-S-H) 수화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여 무시멘트 경화체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건설 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콘텐트 중에 하나인 시멘트 제조에 수반하는 $CO_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쇄기법(subtraction method)을 이용한 백제 무령왕릉 관련 전(塼)의 연대결정 (Age determination of bricks related to Muryong Royal Tomb of the Baekje Kingdom using subtraction method)

  • 김명진;송기웅;이찬희;장성윤;;홍덕균
    • 분석과학
    • /
    • 제20권6호
    • /
    • pp.508-515
    • /
    • 2007
  • 감마선량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백제 무령왕릉 출토 전(塼)과 송산리 고분 출토 전, 부여 정동리 가마유구 출토 전에 대한 절대연대를 산출하였다. 연대측정은 전 시료로부터 석영을 추출하여 열 냉광(thermoluminescence)을 미립자법(fine grain technique)에 적용하여 얻은 결과와 광 자극 냉광(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을 조립자법(quartz inclusion technique)에 적용하여 얻은 결과를 감쇄기법(subtraction method)에 대입하여 수행하였다. 연대측정 결과 각 시료의 연대 오차는 모두 6 % 표준편차 이내로 매우 안정적이었으며, 산출된 연대측정치는 서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결정된 백제 무령왕릉 관련 전의 연대는 AD $530{\pm}50yrs$ ($1{\sigma}$ SD)이었다.

알칼리 활성 슬래그 결합재의 미소수화열 분석 (Isothermal Conduction Calorimetry Analysis of Alkali Activated Slag Binder)

  • 최영철;조현우;오성우;문규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37-24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결합재의 반응성을 정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미소수화열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결합재의 반응성 및 작업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알칼리 자극제의 종류 및 농도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칼리 자극제 및 $SO_3$ 질량비를 변화하면서 미소수화열을 측정하였으며, 응결시간 제어를 위해 sodium tripolyphosphate ($Na_2P_3O_{10}$)와 hydrated sodium borate ($Na_2B_4O_710H_2O$)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결합재는 알칼리 활성에 의해 calcium silicate hydrate(C-S-H)를 촉진하는데 4~5% 농도의 알칼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O_3$ 함량이 높아질수록 누적 발열량이 작아지면서 전반적으로 발열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결 지연제로서 hydrated sodium bor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발열을 억제하여 지연된 효과를 나타내며, 전체적인 누적 발열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화 처리에 따른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 (Development of Parthenotes Produced by Various Treatments in Bovine)

  • 이성림;강태영;유재규;여현진;김세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7-115
    • /
    • 2001
  • 본 연구는 최근 형질전환동물의 생산 및 복제동물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핵이식 기법을 시행할 때 재조합된 핵이식란의 활성화를 위해 널리 적용되고 있는 6-dimethylaminopurine (DMAP)의 활성화 효율과 근래에 제기되고 있는 단위발생란의 비정상적인 염색체 및 핵형에 대해 알아보고 적합한 활성화 유도물질을 찾고자 시행되어졌다. 도축장 유래의 난소에서 채란한 난자를 10% 거세한 수소혈청이 포함된 TCM-199배양에서 22시간동안 체외 성숙을 시킨 후 제 2감수분열 중기의 난자만을 선별해서 5$\mu$M ionomycin에서 5분간 처리하고 1.9 mM 6-dimethylaminopurine (DMAP)와 10$\mu\textrm{g}$/mL cycloheximide (CHX)에서 각 3시간동안 처리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활성화가 유도된 난자를 18시간 동안 체외 배양시 전핵 형성, 제 2 세포기까지 분할속도, 배 반포까지의 발달을 및 활성화 및 체외수정 후 108시간에 평균 세포수와 염색체를 분석하여 활성화 물질의 효율뿐만 아니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 활성화 자극에 따른 난자의 전핵 형성은 ionomycin 처리 후 DMAP을 처리한 난자에서는 1PN 형성율이 9.1%로 ionomycin를 단독 처리하거나 ionomycin 처리 후 CHX를 처리한 난자에서의 1PN 형성율인 77.8와 79.0%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3PN 형성율은 45.5%로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ionomycin 처리 후 DMAP으로 활성화를 유도한 난자는 비정상적인 핵형을 가지지만 CHX로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때는 정상적인 전핵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2. 활성화 자극을 가한 난자의 체외 발달율은 ionomycin을 처리하고 DMAP으로 활성화 자극을 가하였을 때 분할율이 85.5%로 체외 수정한 대조군의 72.5%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ionomycin을 단독 처리하거나 ionomycin 처리 후 CHX로 활성화 자극을 가한 실험군의 분할율인 30.3와 57.9%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DMAP 처리군의 분할율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지만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12.3%로 대조군의 27.8%와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발달율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3. Ionomycin으로 처리 후 DMAP로 활성화 자극을 가한 실험군에서 난자의 발달속도는 활성화 자극 후 18시간 경과하였을 때 28%의 배분열율을 보여 분열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활성화 자극 후 24~48시간동안 체외 배양을 하였을 때에도 ionomycin 단독 처리하거나 ionomycin 처리 후 CHX로 활성화 자극을 준 실험군에 비해 DMAP으로 활성화 자극을 가한 실험군이 유의적 (P<0.05)으로 빠른 발달속도를 보였다.

  • PDF

폐렴경과 중 순환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 활성도 변화 (Longitudinal flowcytometric measurement of respiratory burst activity of neutrophils in patients with pneumonia)

  • 이재명;이종민;김동규;최정은;모은경;박명재;이명구;현인규;정기석;박찬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28-735
    • /
    • 1996
  • 연구배경: 말초혈액내 백혈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호중구는 세균 및 진균 감염시 일차 방어기전으로 염증부위에 모여 세균 및 진균을 탐식하고 이때 활성화된 호중구는 산화율을 생성하고 이와 함께 탈과립된 효소 등에 의해서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 Respiratory burst에 의하여 생성된 산화물은 감염에서의 살균 작용 외에, 염증반응의 중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조직손상, 약물대사, 노화, 발암과정에 관여하여 각종 질환과의 연관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환자에 있어서 폐렴의 경과 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중구로부터 산화물의 생성능력을 보기 위해 Respi ratory burst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건강인 24명과 폐렴으로 진단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내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 활성도를 입원 1일, 3일, 5일, 7일, 9일째에 자극하지 않은 상태 및 fMLP(formyl- MethionylLeucyl-Phenylalanine)와 PMA(phorbol myristate acerate)로 자극한 상태에서 DCF-DA를 이용한 유세포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인 호중구는 생리적 자극제인 fMLP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지만 약간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비생리적 자극제인 PMA에 대해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폐렴환자의 호중구는 PMA에 자극은 되었으나 정상인 호중구보다 활성도가 덜 증가하였다(p<0.01).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 활성도를 폐렴과 정상인에서 비교할 때, 자극 전에는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fMLP로 자극한 경우에도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PMA로 자극한 경우 내원 1일부터 10일까지 폐렴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자극에 대한 respiratory burst 활성도의 증가폭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폐렴 초기에 저하되었다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정상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의 치료과정 중 혈중 호중구로부터의 과산화수소 생성능은 항생제 투여전에는 감소된 상태였으며 이후 치료 개시와 함께 점차 증가하여 9일째에는 정상인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 PDF

전통 생약재에서의 항노화와 주름 개선 활성 신소재 탐색 (Screening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Anti-aging and Anti-wrinkle in the Skin)

  • 이상은;손동욱;윤여필;임태형;조자운;김현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7-152
    • /
    • 2005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초학과 식품공전에 수재되어 있는 전통생약재에 대한 연구는 국내 화장품 원료개발의 중요한 부분으로써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부분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는 폐와 피부 질환에 사용되는 전통생약재 121종을 선별하였다. 이들 전통생약재 추출물들을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법과 SOD 활성 측정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주름 생성의 주 기전에 관련된 elastase 효소 억제 활성을 관찰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보이면서도 주름 형성관련 효소인 엘라스타제에 대한 억제 활성을 지니는 전통생약재 9종을 선별하였다. 항주름/피부탄력 활성을 나타내리라 사료되는 9종의 생약재에 대한 각각의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효과를 나타내리라 여겨지는 0.1 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피부 일차 자극 실험을 통해 피부자극 유무를 측정한 결과 피부자극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공전과 동의보감 자료에 의거, 폐와 피부질환에 관련된 전통생약재 121종 중 9종에 대해 항주름과 피부탄력에 관련한 향장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알칼리 활성화 내화성 마감재의 내부구조 분석 (Analysis of Internal Structure in Alkali-Activated Fire Protection Materials Using Fly ash)

  • 송훈;추용식;이종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04-112
    • /
    • 2012
  • 플라이애시의 주요 성분은 $SiO_2$, $Al_2O_3$, $Fe_2O_3$로서 이들 세 성분이 전체의 80~90%를 차지한다. 최근 알칼리 자극제를 활용하여 플라이애시를 활성화하여 제조한 결합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알칼리 활성화 반응에 의한 결합재는 시멘트 수화생성물인 C-S-H와 수산화칼슘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500^{\circ}C$이상에서도 현저한 강도저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내화성 마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플라이애시를 활용하여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를 제조하고 고온에서의 내부구조 분석을 통하여 고온에서 안정한 재료임을 확인하고 내화성 마감재로의 적용에 대한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식물성 생약재 열수추출물이 어병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in vitro 효과 (In vitro Effect of Water Extract of Medicinal herbs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Superoxide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in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승희;손영찬;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0
    • /
    • 2001
  • 식물성 생약재의 항균력과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O_2^-$)의 생산에 미치는 in vitro 효과를 조사하여 금후 in vivo 실험에 적용할 때, 어류 체내 자연 저항성 증진을 꾀할 수 있는 식물성 생약재를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식물성 생약재는 고삼, 귀전우, 구절초, 박하, 방풍, 연교, 약쑥, 지유, 삼백초, 삼지구엽초, 상백피, 소회향, 편축, 팔각 등 14종류로 이들을 열수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력 시험에는 어병세균 Listonella anguillarum(Vibrio anguillarum), Vibrio sp., Vibrio alginolyticus,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Lactcoccus garvieae를 대상으로 disk법을 사용하였으며, 활성산소의 생산능은 넙치 신장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oblue tetrazolium(NBT) 반응으로써 조사하였다. 그 결과,약쑥이 다른 생약재에 비하여 시험에 사용된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월등히 뛰어났으며, 또한 넙치 대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능을 크게 자극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