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궁

검색결과 1,805건 처리시간 0.022초

건강한 여성-자궁경부무력증, 두려워하지 말자

  • 황경진
    • 건강소식
    • /
    • 제28권6호통권307호
    • /
    • pp.12-13
    • /
    • 2004
  • 자궁경부 무력증은 여러 원인으로 자궁경부가 약해져, 출산 때까지 튼튼하게 버텨 주어야 할 자궁경부가 임신 4~5개월 쯤에 스르르 열리면서 유산되어 버리는 경우이다. 자궁은 몸체와 경부로 구성되는데, 임신이 진행되어 자궁이 커져가게 되면 자궁경부에는 태아와 양수를 포함한 물리적인 힘이 부과된다. 그 엄청난 힘을 자궁경부는 대부분의 경우 잘 견디어서, 40주까지 안전하게 엄마의 자궁 안에서 애기를 잘 자라게 한다. 그러나 자궁경부가 약해져서 임신 중반기 이후부터 커져가는 부담을 견딜 수 없는 경우, 자궁경부가 열려서 조산이 된다. 임신 중반기 조산의 가장 흔한 원인이 이러한 자궁경부 무력증이다. 만약 임신 중반기에 조산을 한 경력이 있다면, 자궁경부 무력증에 대해 의심을 해 보고 반드시 다음 임신을 위하여 산부인과 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하며, 임신이 되면 정밀하게 진단해야 한다. 진단이 확실한 경우 반드시 자궁경관봉축술을 받아야 한다. 수술의 효과는 아주 좋다. 경부무력증은 선천적으로 자궁 자체가 약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과거 임신중절 수술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궁경부암의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시행하는 원추절개수술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PDF

애완 토끼에서 자궁수종, 자궁축농증, 자궁염전의 병발 증례 (Uterine Torsion Associated with Hydrometra and Pyometra in a Domestic Rabbit)

  • 나상기;최지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4-546
    • /
    • 2014
  • 식욕 부진과 복부 팽만을 보인 1.5살령의 암컷 토끼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 확장 소견이 확인되었고, 이틀 후 쇼크로 응급 내원하여 탐색적 개복술을 실시하였다. 양측 자궁각이 자궁 경부에서 염전되어 있었고, 양측 자궁각의 내용물에 대한 배양 검사 결과 우측 자궁각은 자궁수종, 좌측 자궁각은 자궁축농증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질병의 발생 기전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렵지만, 복부 팽만이 4개월간 지속되다가 갑자기 토끼 상태가 악화되어 쇼크로 진행된 점으로 미루어 초기에 자궁수종이 발생하였다가 감염 및 자궁 내 다량의 내용물로 인한 자궁염전이 급성으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증례는 각각의 자궁각에 자궁수종과 자궁축농증이 별도로 발생하고 염전이 동반된 매우 드문 예이다.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시 자궁의 크기와 위치 변화 (Positional Change of the Uterus during Definitive Radiotherapy for Cervix Cancer)

  • 박원;허승재;이정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35-142
    • /
    • 2003
  • 목적: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과 치료 중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삼차원입체조형치료나 강도변조방사선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궁의 크기 및 위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7부터 2000년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중간에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한 47명의 환자를 대상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골반조사와 강내조사가 시행되었는데 전골반조사는 골반 전체에 통상적 4문 조사법으로 매일 1.8 Gy씩, 주 5회 실시하며 총선량 50.4$\~$55.8 Gy (30.6$\~$45 Gy 이후에 골반중심부차폐) 조사하였고, 강내조사는 A점에 4 Gy씩, 매주 2회 시행하여 총선량 24 Gy까지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은 방사선치료 시작 전과 치료 시작 후 3$\~$4주경 강내조사와 골반중심차폐를 하기 전에 실시되었다.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중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의 T2 강조 시상면 영상과 축면 영상에서 자궁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자궁경관 크기, 자궁 크기, 자궁체부 크기, 자궁경관 굴곡각, 자궁체부 굴곡각, 과 자궁체부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궁경관 크기는 치료 전에 평균 36.7 mm에서 치료 후 27.8 mm로 감소하였고, 자궁체부 크기는 평균 2.5 mm 감소하였으며, 자궁크기 차이는 평균 6.4 mm였다. 자궁경부에서 자궁저부까지의 거리 차이는 평균 15.2 mm였으며, 이 중 6예에선 30 mm 이상 크기가 줄었는데 이 경우에 종양의 크기가 모두 4 cm 이상이었다. 자궁경관 굴곡각은 평균 13.2$^{\circ}$, 자궁체부 굴곡각은 평균 16.9$^{\circ}$ 자궁체부 회전각은 평균 13.1$^{\circ}$ 차이가 있었다. 회전이나 굴곡 중 어느 하나라도 30$^{\circ}$이상 변화된 경우가 전체 환자 중 9예(19.1$\%$)가 있었다. 연령과 자궁경관 굴곡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구한 연관이 있었고, 종양 크기에 따라 자궁경관 크기, 자궁 크기, 자궁체부 크기와 자궁경관 굴곡각은 모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인 경우에 자궁경관의 크기, 자궁 크기와 자궁체부의 크기 변화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궁경부로부터 자궁저부까지 거리 차이는 종양 크기가 4 cm 미만인 경우는 5.3 mm였으나 4 cm 이상일 때는 19.4 mm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자궁경관 굴곡각은 60세 미만인 경우 60세 이상보다 8$^{\circ}$ 정도 더 변화가 있었고,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일 때 미만일 때보다 2배 이상 굴곡 변화가 있었다. 결론: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치료에 따른 자궁 크기 및 위치 변화가 다양하고 개별적으로 예측하기 쉽지 않으므로, 특히, 60세 미만이거나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인 경우, 삼차원입체조형치료나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를 이용한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치료 중 개별환자의 계획용표적체적의 변화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생쥐 자궁벽에 있어서 $\beta$-hCG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Mouse Uterine Wall using Monoclonal anti $\beta$-hCG)

  • 오선희;최임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48-455
    • /
    • 1992
  • 생쥐에 hCG를 투여한 후 자궁벽에서 hCG와 결합하는 세포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세포가 hCG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of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수행하였다. p-hCG에 대한 단일크론항체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는 주로 자궁벽의 자궁근막 삼각과 자궁내막 기저층에 분포하였으며, 세포질에서 양성반응을 일으킨 것으미 관찰되었다. hOG를 투여하고 3, 6, 24시간 후에 각각 자궁벽라 자궁근막에서 양성반응세포를 관찰한 결과, 양성반응세포의 이동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자궁근막에서 보면, 3시간 후에는 자궁근막의 혈관내부와 주변에서 다수가 관찰되었으며, 6시간 후에는 소수가 관찰되었고, 24시간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동일 시간에 적출된 자궁벽에서는 6시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양성세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자궁벽과 자궁근막에서 관찰되는 양성반응세포의 수 사이에는 반비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난소를 적출한 생쥐의 자궁에서는 양성반응세포의 수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hematoxvlin-eosln 염색 결과 양성반응세포로 추정되는 세포의 세포질에서 호산성과림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양성세포는 GMG(granulated metrial gland) 세포로 판단되었으며, 이 세포의 이동은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소동물의 자궁축증에 대한 침술요법의 개발 (Acupuncture Therapy for Pyometra in Small Animal)

  • Tchi-chou Nam;Hee-yung Kim;Seong-chan Yeon;Kang-moon Seo;Jong-Tae Che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04-408
    • /
    • 1999
  • 개에서 정상 발정주기 때와 자궁 축농증에 이환 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전침 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상 자궁 운동은 발정기 때에 최대이었으며 발정정지기 때에 운동성이 감소되거나 결여되었다. 발정정지기 때에 전침자윽을 하거나 Prostagrandin $F_2{\alpha}$를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자궁의 운동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자궁경관이 열린 자궁축농증에 이환된 두 마리에서 전침자극을 3~4일간 실시하였다. 자궁의 직경은 감소되었고 질 분비물은 증가한 후 이후 감소하였다. 환축은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축주의 요구에 의하여 난소자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전침자극은 자궁 축농증에 이환된 환축에서 축주가 번식용으로 계속 기르기를 원한다거나 또는 난소자궁절제술을 환축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수술적인 위험이 높을 때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치료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환상 방향족 화합물이 자궁성장에 미치는 영향

  • 신윤용;류재천;문창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5-55
    • /
    • 1992
  • 다환상 방향족탄화수소류인 3-methylcholanthrene 이 자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자궁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에스트로겐 수용채와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3-Methylcholanthrene 단독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투여 용량에 관계없이 유의성있는 자궁 무게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diethylstilbesterol과 3-methylcholanthrene 병용 투여군에서는 diethylstilbesterol 단독 투여군에 비해 자궁 무게가 병용 투여한 3-methylcholanthrene 용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안티에스트로갠인 tamoxifen이 자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tamoxifen단독 투여시에는 자궁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여 (p<0.05)부분 효능 작용을 나타냈으나 diethylstilbesterol과 동시 투여시에는 diethylstilbesterol에 의한 자궁 무게 증가가 감소되었으며 그 감소 정도는 병용한 tamoxifen 용량에 의존적이었다. Diethylstilbesterol과 3-methylcholanthrene 및 tamoxifen을 병용 투여했을때 diethylstilbesterol에 3-methylcholanthrene만을 병용 부여하였을 때보다 diethylstilbesterol에 의한 자궁 성장이 유의적으로 (P<0.01)감소되었다. Diethylstilbesterol과 3-methylcholanthrene의 병용 투여군에서는 투여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diethylstilbesterol 단독 투여군에 비해 일정한 비율(23.6=3.9%)로 자궁 무게 증가가 억제되었다.

  • PDF

여대생들의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캠페인에 대한 인식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Cervical Cancer, HPV Vaccine, HPV Vaccine Campaign)

  • 장안리;김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86-597
    • /
    • 2021
  • 자궁경부암은 국내 여성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4천여 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하루 평균 3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군에 해당되며 2차 접종 대상인 14~26세 여성에 포함되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과 관련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19명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과 관련 되어서는 확산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자궁경부암이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 자궁경부암 관련 정보 접근의 우연성 및 부족, 발병원인이 여성들에게만 있다고 강조하는 정보의 편향성 및 용어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이유로는 사회적 편견, 비용, 부작용 및 막연한 두려움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은 자궁경부암 및 예방접종과 관련되어 실질적이고 팩트 위주의 매세지, 또래 여성 및 남성도 포함된 메시지, 접근성과 노출 빈도수 높은 캠페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15-35세 군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교육을 실시할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단백체학과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자궁 내 환경의 이해 (Understanding of Intrauterine Environment Changes based on Proteomics and Bioinformatics during Estrous Cycle)

  • 이상희;이승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21-630
    • /
    • 2019
  • 암컷의 자궁에서 일어나는 수정은 새로운 생명의 시작점이다. 암컷의 번식기관은 난소, 난관, 자궁, 자궁경부 및 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기관은 발정주기에 따라 생리학적인 역할이 조절된다. 자궁은 수정란의 발달과 착상이 이루어지는 곳이기 때문에, 수정란과 자궁 환경의 상호작용은 안정적인 임신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알려져있다. 자궁내막은 자궁의 한 부분으로써 이들의 형태학적인 특징은 호르몬에 의해 반복적으로 변화되며, 자궁내막으로부터 분비되는 자궁액 역시 그 특징이 변화하게 된다. 최근, 자궁내막 및 자궁액 내 포함된 대량의 단백질을 단백체학과 생물정보학의 발전에 따라 검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에 의해 번식학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대량의 단백질 정보는 성호르몬 신호기전 및 혈관신생과 같은 이론 등을 깊게 연구할 수 있는 도구로써 이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자궁내막의 재구성, 자궁선 및 자궁액에 대한 기초적인 생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단백체학과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자궁내막 및 자궁액 연구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생물정보학 도구를 활용하여 단백체학에서 탐색된 자궁내막 및 자궁액 관련 단백질들의 상호작용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따라서, 본 총설의 내용은 발정주기동안 자궁내막 안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세포 신호기전을 탐색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된다.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의 감멸 진단: 자기공명영상에서 자궁 격막 신호 강도의 비교는 유용한가\ulcorner (Differential Diagnosis of Bicornuate and Septate Uterus : Is Comparison of Septal Signal Intensity on MR Image Useful\ulcorner)

  • 김종철;변재영;백승연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4권2호
    • /
    • pp.107-112
    • /
    • 2000
  • 목적 :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의 자기공명영상 감별에 있어서 자궁 격막의 신호 강도 비교가 유용한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 수술로 확진된 양각 자궁 5예와 중격 자궁 6예를 대상으로, 수술전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재분석하였다. 양각의 거리, 자궁 저부의 외형 양각이 이루는 각도 등으로 양자의 감별은 수술 전에 이미 전례에서 가능하였기 때문에, 상기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에서 자궁 내에 존재하는 격막의 신호 강도를 1.5-T기기를 이용한 T1 강조 및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축상 및 관상면 영상에서 비교하였다. 특히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영상에서 격막의 신호 강도를 자궁근이나 접합대의 신호 강도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양각 자궁(n=5)과 중격 자궁(n=6)의 자궁 격막은 전례 모두 T1 강조 영상에서 자궁근과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였다. T2 강조 영상에서는 양각 자궁(n=5)의 경우 자궁근층과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3예, 자궁근층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이었다. 중격 자궁(n=6)은 T2 강조 영상에서 자궁근층과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 자궁근층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 접합대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이었다. T2 강조 영상에서 자궁 격막의 상부/하부 신호 강도가 상이하게 관찰된 경우는 양자 모두에서 1예도 없었다. 결론 :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자궁 격막의 신호 강도는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양자의 감별에 단독적으로 사용되어서는 곤란하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양자의 감별에는 자궁 격막의 신호 강도뿐만 아니라, 자궁 저부의 외형, 양각의 거리, 양각이 이루는 각도 등 종합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고려해야 한다.

  • PDF

자궁근종과 병기점수간의 연관성분석 (A Study on the Oriental Symptom Scores of Uterus Myoma)

  • 김규곤;강창완;이인선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235-240
    • /
    • 2006
  • 자궁근종은 부인과 질환 중 자궁 및 여성 골반내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특히 30세이후에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D대학 한방부인과에서는 실제 자궁근종환자가 가지고 있는 증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바 있으며, 이를 좀더 발전시켜 자궁근종 증상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근종 발생여부와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병기 점수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자궁근종과 관련되는 주 병기 변수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통한 자궁질환 연구에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