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격취득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7초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NTQ) Acquisitors)

  • 이연복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47-156
    • /
    • 2010
  •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한 것으로 조사결과는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취득한 자격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취득한 자격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취득자격등급이 높을수록 취득자격과 동일하거나 관련된 직업을 더욱 선호하고 있었다.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자신의 경력개발에 대하여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직장에서 경력개발을 일부라도 지원받고 있는 자격취득자는 45.4%이며 이 또한 교육훈련에 국한되어 있다. ${\bullet}$ 자격취득자들은 기술변화에 민감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 전문가 집단과의 연계를 원하고 있으며 자신의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상위 자격취득 정보와 교육훈련을 원하고 있다. ${\bullet}$ 이러한 경력개발 및 관리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주는 것이 자격취득자 배출기관인 공단의 역할이라고 응답하였다. 끝으로 자격취득자들에 대한 경력개발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반 기업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서 조직이 담당하여야 할 부분을 자격취득자 배출기관에서 담당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친다.

  • PDF

자격취득의 결정요인 및 취업·임금효과 (The Factors of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nd the Employment and Wage Effects of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 김안국;강순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1-25
    • /
    • 2004
  • 인적자원이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되는 지식정보화 산회에서 숙련의 주기는 짧으며, 노동력의 유동화는 심화되고 있어 자격의 신호기제로서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자격의 기능을 취득요인, 취업 및 임금효과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1~4차년도(1998~2001) 자료를 개인별로 묶어 고정효과 로짓모형, 임의효과모형으로 회귀분석하였다. 추정의 결과 고졸 미만 저학력층의 자격취득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남자는 실업상태에 있는 경우에 자격취득이 많았고, 여성은 비경제활동의 기타 상태(잠재적 구직상태)에 있는 경우 자격취득이 많았다. 자격의 취업효과는 여성의 경우 1년차, 2년차에 유의하게 나타나나, 남자의 경우는 유의하지 않았다. 취득한 자격의 임금효과는 남녀 공히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격취득으로 얻어지는 직업능력이 시장에서 제대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한다.

  • PDF

무용교원자격 및 교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s to Improve Qualification for Dance Teacher and Subject System: Focused on Cases of Acquiring Certificat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홍애령;김지영;박재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2호
    • /
    • pp.363-372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교원자격 취득 및 교과 운영에 관한 제도와 현황을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 무용을 가르치는 교원의 유형별 교원자격과 교과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이 교육과정 개정과 예술강사 지원사업 시행을 계기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한 가운데,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이 신설되었고, 최근 중등학교 정교사 2급(무용) 자격자가 배출되고 있어 무용교원자격 전반에 관한 주목이 요청된다. 무용교사로서 중등교원자격을 취득하는 예비 교사들이 배출되는 시점을 맞아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취득 제도와 방법을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구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중등교원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자 6명의 사례를 통해 주요 현안과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의 정교사로서 무용교원자격의 제도, 취득경로, 방법, 교과 제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교육기관을 통한 보육교사 자격취득 동기와 진로의사결정수준 (Motivation for Seeking Child Care Teacher Credentials through On-line Educ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 이민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94
    • /
    • 2014
  •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기관에서 보육교사 자격취득 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보육교사 자격취득 동기와 진로의사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검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자격취득 동기가 달랐는데 즉, 소득이 낮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생계를 위한 자격취득 동기가 높았고, 학력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보다 보육교사 자격취득을 통한 자아실현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생의 진로의사결정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타인의 의견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는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생의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결정요인은 연령, 생계를 위한 자격취득 동기, 미래를 위한 자격취득 동기였으며,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결정요인은 연령이었고,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결정요인은 생계를 위한 자격취득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사 자격취득요건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 of the Requirements for Professional Engineer Certification)

  • 김선국;김태희;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86-93
    • /
    • 2006
  • 현행 우리나라에서의 기술사 자격취득요건은 기술계와 기능계의 미분리, 대학교육 특히 공학교육인증 대학교육과의 연계 미비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선진 각국의 기술사 자격취득요건에 비하여 상당부분 그 요건이 미약한 실정으로서, 이러한 문제는 결국 우리나라 기술사의 국제 통용성 확보를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il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 자격취득요건과 관련한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제도와 선진국 제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기술사 자격이 국제 통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사 자격취득요건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조종사 제트 형식한정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Domestic Pilot Jet Type Rating)

  • 김성엽;최지헌;이명식;김현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34-539
    • /
    • 2023
  • 현재 국내에서는 제트 한정자격을 취득하려면 소형 비즈니스 제트 기종으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 이유는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4』의 "중략~ 2시간 이상의 비행훈련을 받아야 한다."라는 법규 때문이다. 결국 운용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비즈니스 제트 항공기로 형식 한정자격을 취득하는 셈이다. 이렇게 취득한 자격은 항공사에서 운용하고 있는 항공기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초기 제트 한정자격이 있으면, 항공사 보유 항공기 자격을 시뮬레이터 훈련만으로 취득할 수 있기에 항공사는 소형제트 한정자격이라도 소지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미국과 호주에서는 초기 제트 한정자격을 취득함에 있어서 실비행 훈련 없이 시뮬레이터 훈련만으로 해당 기종 한정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신변보호사 자격취득 학생들의 자격활용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ing Certificate Awareness for Student Certificate Holders of Private Security Guard)

  • 김일곤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5-54
    • /
    • 2013
  • 2005년 안황권 교수의 도입제안에 따라 경비협회가 시작한 신변보호사 자격제도는 지금까지 7회를 실시하여 국가로 부터 공인을 받았다. 신변보호사 자격제도는 시민생활안전을 충족시키고 아울러 자격 검증을 통해 전문 직능을 보유한 신변보호 전문가를 확보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7회에 걸쳐 신변보호사 자격 검정을 통해 배출된 많은 수의 자격 취득자들은 산업 현장에서의 우선적 채용 인적자원 또는 가산점 부여 등과 같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제 자격을 취득하였음에도 대부분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신변보호사 제도와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용 실태와 인식에 대하여 탐구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종사 자격증명(회전익항공기) 등급분류에 대한 개선방안 (Plan of improvements on the class with respect to the certification (Helicopter))

  • 조영진;최연철;변아름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1-305
    • /
    • 2016
  • 국내 조종사 자격증명(회전익항공기)은 육상 단발/다발, 수상 단발/다발로 등급이 분류되어 있어 육상 다발 자격증명을 이미 취득한 조종사가 육상단발 헬리콥터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육상 단발 자격증명을 추가로 취득해야 하는 것이 국내 자격증명 제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비행기와는 다른 독특한 헬리콥터 비행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헬리콥터 등급분류인 단발/다발 구분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세계 및 국내 민수 헬리콥터 산업의 발전방향과 해외 항공선진국 조종사 자격증명 제도를 비교하여 국내에 적합한 회전익항공기 조종사 자격증명 등급분류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