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가 투여

Search Result 68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first discovery of an endemic focus of Heterophyes nocens (Heterophyidae) infection in Korea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의 우리 나라 첫 유행지 발견 보고)

  • 채종일;남형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2 no.3
    • /
    • pp.157-162
    • /
    • 1994
  • A highly endemic focus of human infection with Heterophves nocens (Heterophyidae) was discovered from a small coastal village of Shinan-gun, Chollanam-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ecal examinations by cellophane thick smear and formalin- ether sedimentation techniques revealed 42.9% heterophyid egg Positive rate out of 98 inhabitants examined.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species of heterophylds only by eggs. In order to collect the adult flukes, the egg Positive cases were treated with 10 mg/kg single dose of praziquantel and purged with magnesium sulfate, and the adult worms were collected from the diarrheic stools. From each of 18 cooperative patients 1 to 1,124 (total 4,730) H. nocens worms were recovered, together with a few to large numbers of heterophyids (Pvginiopsis summa, Stictonora juscatunl and for gymnophallids (Gvmopholloides stool) . It is speculated that H. nocen might be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where the brackish water fish such as the mullets or gobies are popularly eaten raw.

  • PDF

Impact of Filler Aspect Ratio on Oxygen Transmission and Thermal Conductivity using Hexagonal Boron Nitride-Polymer Composites (필러 네트워크 형성 및 배향이 복합소재 열전도도와 산소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 Shin, Haeun;Kim, Chae Bin
    • Composites Research
    • /
    • v.34 no.1
    • /
    • pp.63-69
    • /
    • 2021
  • In order to develop an integrated heat dissipating material and gas barrier film for electronics, new polymer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for preparing composites containing hexagonal boron nitride (hBN) filler. Depending on the size and content of the hBN filler, both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can be adjusted. The composite achieved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28.0 W·m-1·K-1 at most and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was decreased by 62% compared to that of the filler free matrix. Effective filler aspect ratios could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with values predicted by theoretical models. Discrepancy on the aspect ratios extracted from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comparisons was also discussed.

Prevalence of Enteyobius vermiculuris infection and preventive effects of masts treatment among children in rural and urban areas, and children in orphanages (농촌, 도시 및 집단생활 아동의 요충 감염과 집단 구충에 의한 예방 효과)

  • Kim, Jong-Su;Lee, Hae-Yong;An, Yeong-Gyeo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9 no.3
    • /
    • pp.235-244
    • /
    • 1991
  • An epidemiological study and mass treatments of Enterobius vermicularis infection among children near Wonju area of Kangwon province were carried out.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residing localities; children in the mountainous area, rural area, urban area and in orphanage. They were examined by adhesive cellotape anal swab technique, and egg positive rates were obtained. The rates of egg reduction and re-infection rates after repeated mass treatments were also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egg Positive rate of E. vermicularis in the first screening was 19.9% (251 out of 1, 262 examinees; 19.7% in males and 20.1% in females). The positive rates were 13.0% in the mountainous area, 11 9% in the rural area, 15.1% in the urban (medium-sized) area and 61.9% in orphanages. 2. The highest positive rates were observed in the kindergarten children, and 1st and 2nd grade children of primary schools (26.2~32.2%), and the lowest rate (13.6%) in 6-year grade children of primary schools. 3. Cumulative detection rates from 3 repeated anal swabs at 4~5 days interval were higher (70.8%) than those from single anal swabs (50.0~59.2%). 4. Out of the examinees who showed the highest cumulative positive rate (70.8%), about 39.2% were consecutively positive in 3 anal swabs. Among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the higher the total egg detection rates (87.5%), the higher the consecutive positive rates (71.9%) . 5. A total of 2, 609 (male : female=1 : 12.4) worms were collected from 17 egg-positive cases treated with anthelinintics. The mean number of worms per child was 153 (range: 4-824) . 6. The egg-positive cases in several studied groups (180 children) were treated with anthelmintics 6 times at 3-week intervals. In this case, the overall positive rate was decreased from 54.8% to 2.2% at 15 weeks after the treatments, but no complete negative conversion was experienced. However, in a group of children (154 children) including egg Positive and negative cases who were both treated with anthelmintics at 3-week interval, a complete egg-negative conversion was observed in the 9th week after treatments. 7. The egg-detection rate in the brothers or sisters of egg Positive children was 70.0% (28 out of 40 examined), and the egg-positive rate according to the family unit was 69.7%. I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Enterobius vermicularis infection is still highly prevalent among children in Korea, and that repeated mass treatments of more than 3 times will be effective for control of this infection.

  • PDF

공용매 첨가가 비대칭 기체 분리막의 구조 및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 유성현;안태완;조재영;강용수;원종옥;김은영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53-54
    • /
    • 1996
  • 비대칭 분리막의 제조에 있어서는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에 의한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용매와 비용매의 성질이 막 제조 공정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고분자 용액에 공용매를 첨가할 경우 용액의 점도, 용매와 비용매의 상호 작용 정도 등의 용액의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변화에 따른 분리막의 구조 변화를 관찰하여 그 상관 관계를 규명하면 분리막의 미세 구조 조절 및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폴리이미드(PI)를 고분자로 사용하였고, 용매로는 NMP, 공용매로는 $\gamma$-butyrolactone($\gamma$-BL)을 사용하여 고분자의 농도가 15 wt%인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용액을 유리판에 균일한 두께로 casting 한 후 물을 비용매로 사용하여 immersion precipitation 방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막은 24시간 동안 물 속에 방치하여 용매를 충분히 제거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투과도 측정은 soap bubble flow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단면 구조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Performance change of Polymer electrode Membrane operating temperature (PEMFC 고분자 전해질막의 운전온도에 따른 성능변화)

  • Lee, Ho;Shin, Kang-Sup;Park, Kwon-Pi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80-182
    • /
    • 2007
  • PEMFC의 상용화 진입에 있어서 걸림돌 중의 하나가 열화(degradation)에 의한 성능감소이다. PEMFC 고분자 막의 열화가 PEMFC 성능 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고분자 막의 성능 감소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무가습/OCV조건에서 성능 감소가 잘 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OCV/무가습 조건에서 과산화수소나 라디칼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과, OCV조건에서 사용되지 못하는 수소와 산소의 gas-crossover 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무가습 조건에서 수소와 산소의 분압이 높아 gas-crossover 가 유리하고 악의 건조에 따른 물리적인 영향 등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조건에서 Cell 운전온도가 막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OCV 여려 조건 에서 단위전지 실험을 한 후 I-V, 수소 투과도, 임피던스, FER(fluoride emission rate)등을 측정해 그 결과를 검토 분석하였다. OCV/Anode 무가습 조건이 알려진 대로 막열화 가속조건 이었음을 확인하였고, 실험 결과 Cell 운전온도가 $10^{\circ}C$증가 할 때마다 FER(fluroide emission rate)이 즉 막 열화속도가 약 2배정도 증가함을 보였다.

  • PDF

Transport Properties of carbon Dioxide and Methane through the Polysulfone Membrane (Polysulfone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투과특성)

  • 황승욱;김현준;홍석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24-25
    • /
    • 1994
  • 고분자 분리막을 통한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분리는 천연가스에서 불순물로 작용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시켜 천연가스의 순도를 향상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바이오가스나 제철소 폐가스로부터의 이산화탄소의 분리, enhanced oil revovery 공정에서의 이산화탄소의 분리, 그리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감소등에서 활용될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 공정은 여러 혼합기체에 대해 단순하고 간편하며 에너지 소비가 적다는 장점에 의해 기체분리에 효과적이고 응용성있는 공정으로 대두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분리막의 투과도(Permeability)와 선택도(Selectivity)를 동시에 높일수 있는 새로운 막재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고분자 구조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이 경우에는 고분자의 구조 변화와 투과특성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PDF

Review on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Utilizing Polymer Electrolytes and Polymer Nanocomposites (고분자 전해질과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활용한 올레핀 촉진수송 분리막에 대한 총설)

  • Kang, Sang Wook
    • Membrane Journal
    • /
    • v.26 no.3
    • /
    • pp.173-178
    • /
    • 2016
  • In this short review,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onsisting of polymer and Ag salts were introduced and various approaches to solve the long-term stability were summarized. In particular, utilizing $AgNO_3$ as carriers with ionic liquid, the replacement of polymer matrix as poly(ethylene phthalate) (PEP) for strong coordinative interactions with Ag ions and the introduction of $Al(NO_3)_3$ to $polymer/AgBF_4$ complexes were introduced for long-term stable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For the polymer nanocomposite membranes, the role of electron acceptors as polarizer on the surface of AgNPs and the approach to solve the low permeance were introduced.

Protective Effect of Mixed Extract including Hovenia dulcis Thunberg against Chronic Ethanol Treatment-induced Cytotoxicity in a Brain and Liver Tissue (만성 알코올 섭취로부터 유도되는 뇌 및 간 조직 독성에 대한 지구자 혼합 추출물의 보호 효과)

  • Kim, Jong-Min;Park, Seon-Kyeong;Guoa, Tian-Jiao;Kang, Jin-Yong;Ha, Jeong-Su;Lee, Du-Sang;Kwon, O-Jun;Lee, Uk;Heo, Ho Ji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0 no.2
    • /
    • pp.125-138
    • /
    • 2016
  • To assess the industrial possibility of mixed-extracts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erg and 12 different botanical ingredients, a protective effect was confirmed in the chronic ethanol-induced the liver, brain, and blood injury in mouse. Blood glucose levels of the normal control group(NG) and ethanol administration group(EG) were respectively 119.43mg/dL and 305.25mg/dL, and the mixed-extracts administration group(100, 200mg/kg body weight + 25% ethanol 5g/kg body weight respectively; ME100 & ME200) were decreased to 272.76mg/dL and 234.60mg/dL. Blood ethanol contents were decreased in ME100 and ME200(3.85mg/dL, 3.08mg/dL) compared to EG(4.08mg/dL), and blood acetaldehyde contents were also decreased in ME(15.76mg/dL, 15.16mg/dL) compared to EG(18.72mg/dL). The contents of hepatotoxic indicators such as glutamine pyruvic transaminase(GPT) and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nephrotoxic indicators such as blood urea nitrogen(BUN), and creatine(CRE), and total cholestero(TCHO), and triglyceride(TG) in mouse blood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E compared to EG. The acetylcholinesterase(AChE) activity of ME(109.00% and 108.47%, respectively) in mouse brain tissues was decreased in ME compared to EG(116.10%). Finally, ME was remarkable in vivo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mouse liver and brain tissues by superoxide dismutase(SOD), oxidized glutathione(GSH)/total GSH ratio and the malondialdehyde (MDA) assay. Therefore, the mixed-extracts was considered to be effective a high value food with protective effect against chronic ethanol traetment-induced cytotoxicity in liver and brain tissues.

The cooling effects of a paddy field area during 2006 summer (2006년 여름철 논에 의한 기온저감효과)

  • Kwon, Sung-Il;Kim, Jin-Soo;Park, Jong-Hwa;Oh, Kwang-Young;Song,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28-6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여름철(2006년 7월 15일${\sim}$9월 30일) 동안 서로 다른 토지피복형태(논, 밭, 도시녹지대 및 도시주택지)에서의 기온변화 특성을 비교하여 논에 의한 기온저감 효과를 파악하였다. 혹서기 동안 총 3회(2006년 8월 3일, 11일, 15일)에 걸쳐 논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온을 실측한 결과, 논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였으며, 170m 지점에서의 기온은 논 지점보다 14시에는 $2.3^{\circ}C$, 22시에는 $1.8^{\circ}C$, 익일 06시에는 $1.3^{\circ}C$ 높게 나타났다. 혹서기 동안 논, 밭, 녹지대, 주택지에서의 열대야 완화효과를 비교해보면, 논이 열대야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이하로 낮아지는 평균시각은 논이 22.36시, 밭이 24.0시, 녹지대가 2.2시, 주택지가 2.3시로 나타났고, 이 시각으로부터의 평균 지속시간은 논이 7.7시간, 밭이 7.3시간, 녹지대가 4.3시간, 주택지가 1.0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일최저기온은 논이 $23.1^{\circ}C$로서 밭과는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녹지대보다 $0.9^{\circ}C$, 주택지보다 $3.0^{\circ}C$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논과 밭에서의 기온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기온저감효과가 식생피복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논과 밭에 의한 기온저감효과의 메커니즘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이는 다양한 논지대 및 밭지대를 대상으로 열수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EX>)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은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hr/g$, 섭취 7일중 $8.123\;{\mu}g/hr/

  • PDF

Comparison of Absorption Rate Between Piroxicam-$\beta$-Cyclodextrin and Piroxicam in Korean Healthy Subjects After A Single Dose Administration (정상 성인 한국인에서 Piroxicam-$\beta$-cyclodextrin 정과 Piroxicam 확산정의 1회 투여시의 흡수속도 비교)

  • Jeon, Seong Sill;Cha, Hye Ri;Park, Yun Ju;Lee, Byung Chul;Kim, Nam Deuk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8 no.2
    • /
    • pp.95-100
    • /
    • 1998
  • Piroxicam-$\beta$-cyclodextrin은 piroxicam을 $\beta$-cyclodextrin으로 포접시킨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이다. 이러한 포접형 약물은 위장관에서의 흡수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외국자료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이 약물의 위장관 내성에 보다 나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상성인 한국인을 대상으로 randomized, crossover design에 의해 piroxicam-$\beta-cyclodextrin(Brexin^{(R)})$과 piroxicam 확산정$(Feldene^{(R)})$ 흡수속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8명의 피험자를 2군으로 나누어 시험약 또는 대조약을 각각 20 mg씩 20일의 휴약 기간을 두고 이중 맹검으로 교차 투여하였다. 시험약 또는 대조약의 투여 후 24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채혈하여 HPLC 방법으로 혈장 내 piroxicam 농도를 측정하였다. $AUC_{0-24}\;({\mu}g/mL)$는 piroxicam-$\beta$-cyclodextrin군에서 $56.1\pm4.9$, piroxicam군에서 $57.3\pm5.6$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투여 후 0.5시간에서의 혈중농도는 piroxicam-$\beta$-cyclodextrin군 $2.9\pm0.4\;{\mu}g/mL$, piroxicam군 $1.6\pm0.3\;{\mu}g/mL$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p<0.05). 또한 최고혈중농도는 piroxicam-$\beta$-cyclodextrin$(4.3\pm0.5\;{\mu} g/mL)\;piroxicam(3.5\pm0.3\l{\mu}g/mL)$,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흡수 속도상수는 piroxicam-$\beta$-cyclodextrin$(3.00\pm0.49\;h^{-1}), \;piroxicam(1.80\pm0.21\;h^{-1})$이었다(p<0.1). 이상의 결과에서, piroxicam-$\beta$-cyclodextrin정은 piroxicam 확산정과 비교하여 흡수되는 정도는 서로 비슷하지만 흡수 초기의 혈장농도 및 흡수속도상수에서 보다 빠른 약동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