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산부식 접착제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와 결합된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 접착 (ENAMEL ADHESION OF LIGHT-AND CHEMICAL-CURED COMPOSITES COUPLED BY TWO STEP SELF-ETCH ADHESIVES)

  • 한세희;김은성;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69-179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2단계 자가산부식 접착제를 이용하여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의 결합강도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현미경적 인 관찰을 통하여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법랑질에서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비적합성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Isomet Low Speed Saw를 이용하여 발거한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 mm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여러 개의 절편을 만들었다. 치아의 절편들을4개의 군으로 분류한 후,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SE Bond 군, AdheSE 군, Tyrian 군 Contax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접착제를 각 절편의 법랑질 표면에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 또는 화학중합 복합레진 (Luxacore Smartmix Dual)을 접착하였다.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복합레진과 법랑질의 접착계면이 파절될 때까지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를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two-way ANOVA와 Tukey HSD검정 및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p = 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위해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이나 설면의 법랑질 일부를 Isomet Low Speed Saw로 절단한 후 각 군의 접착제와 광중합 복합레진 또는 화학중합 복합레진을 축조하여 각 군당 2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접착제 및 복합레진 계면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 모두에서 SE Bond 군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 강도는 다른 3개의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2.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 모두에서 AdheSE 군, Tyrian 군 Contax군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 전단 결합 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모든 군에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화학중합 복합레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4. 모든 접착제와 법랑질 계면은 긴밀한 접합을 나타내어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접착제 간에 비적합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식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application methods of one-step self-etching adhesiv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최철규;손성애;하진희;허복;김현철;권용훈;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03-210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의 적용이 직접 복합 레진 수복의 미세 인장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3종류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Clearfil Tri-S Bond, Adper Prompt L-Pop, G-Bond)와 적용 방식에 따라 1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다음의 방식으로 상아질에 적용하였다. 1) single coating, 2) double coating, 3) manual agitation, 4) ultrasonic agitation. 접착제 적용 후, 광중합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한 후, 각 군당 15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Manual agitation, ultrasonic agitation군은 single coating, doub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다. Double coating군은 sing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 manual agitation군과 ultrasonic agitation군 간에는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착제 종류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중 Clearfil Tri-S Bond가 가장 높았다. 결론: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법과 재료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접착제 종류에 관계없이 manual agitation과 ultrasonic agitation은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자가 산부식 접착제로 접착된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 결합강도 비교 (COMPARATIVE ENAMEL BOND STRENGTH BETWEEN LIGHT-AND DUAL-CURED COMPOSITES BONDED BY SELF-ETCHING ADHESIVES)

  • 조영곤;유상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한 법랑질에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을 접착시켜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 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사용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Xeno 군 (Xeno III), Adper 군 (Adper Prompt L-Pop), AQ 군(AQ Bond)으로 분류하였다. 각 시편의 법랑질 표면에 각 군에 해당하는 접착제를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복합레진 (Z 250)이나 이원중합 복합레진 (Luxacore)을 접착하였다.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복합레진과 법랑질의 접착계면이 파절될 때가지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를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 한 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 접착제로 결합된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광중합 복합레진에서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Z 250을 접착시킨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Xeno군에서 $7.73{\pm}2.01\;MPa$, Adper군에서 $6.74{\pm}1.80\;MPa$, AQ 군에서 $9.59{\pm}2.51\;MPa$를 나타내어 AQ 군이 Adper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Luxacore를 접착시킨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Xeno군에서 $5.19{\pm}1.32\;MPa$, Adper 군에서 $3.41{\pm}1.19\;MPa$, AQ군에서 $4.50{\pm}0.96\;MPa$를 나타내어 Xeno군이 Adper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Chlorhexidine 처리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HEXIDIN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 오은화;최경규;김종률;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148-161
    • /
    • 2008
  • 본 연구는 상아질 혼성층의 교원섬유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ses)의 억제제로 알려진 chlorhexidine (CHX)을 적용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열순환 처리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계면에서의 파괴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식이 없는 발거한 32개의 제3대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GI그룹에서는 dentin conditioner를 처리 후 2% chlorhexidine을 적용시키고, 산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인산 산부식을 시행하고 2% chlorhexidine을 적용 후 3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 SM),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ingle Bond, SB)를 도포하고, 자가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2% chlorhexidine 적용 후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 (Clearfil Tri-S, TS)를 도포한다. 이후 복합 레진 (Z-250)과 GI (Fuji-II LC)를 충전한 시편을 $1\;mm^2$의 단면을 갖는 beam으로 제작하여 열순환 하지 않거나, 10,000회 열순환 ($5\;{\sim}\;55^{\circ}C$)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zu, Japan)에서 cross head speed 1 mm/min로 인장력을 가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유의수준 0.05 level에서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그 후 파절된 시편의 파괴 양상을 현미경 (SEM)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 CHX을 적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증가하였고, 열순환은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감소시켰다 (P > 0.05). 2. CHX 적용 후 열순환 한 군은 CHX을 적용하지 않고 열순환한 군에 비하여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높았으며, 특히 GI와 TS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5). 3. 파괴 양상 분석 결과, 혼성층에서의 접착성 파괴를 보이며, CHX을 적용하면 혼성층 기저부에서 상부로 파괴 부위가 옮겨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MMPs 억제제인 2% CHX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상아질 접착제의 초기 미세인장결합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HX 적용이 접착내구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Giomer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상아질에 대한 전단 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GIOMER AND SELF-ETCHING PRIMER ON THE DENTIN)

  • 윤은영;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2-428
    • /
    • 2010
  • Giomer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불소 방출 능력과 복합레진의 물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재료로서 소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omer의 전단 결합강도를 기존의 심미 수복재료인 복합 레진과 컴포머와 비교하여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소의 전치를 자가중합 교정용 레진을 이용하여 아크릴 튜브에 매몰시킨 후, 상아질을 노출시키기 위해 실리콘 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을 연마하였다. 샘플을 무작위로 I군(Giomer), II군(복합 레진), III군(컴포머), IV군(Giomer와 5세대 단일병 접착제)으로 분류하였다.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와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I군은 III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전단 결합강도를 나타냈다(p<0.05). I군과 II군의 전단 결합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IV군는 I군에 비해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실험의 결과로 보아 불소 방출의 특성을 지닌 giomer의 결합강도가 컴포머에 비해 우수하고, 복합 레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소아 환자의 심미수복재료로서의 임상적 효용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복합레진의 수리 시 표면처리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S ON THE REPAIR BOND STRENGTH OF COMPOSITES)

  • 최정인;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92-69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표면처리가 기존의 레진과 새로운 레진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준비된 레진 시편을 6군으로 임의로 배분하여 각각의 표면처리를 한 후 수리용 레진을 축조하였다. 일주일간 보관 후 전단결합강도 를 측정하였고 일원분산 분석법으로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군과 4군(air abrasion)은 1군(산부식)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5군과 6군(diamond bur)은 1군(산부식)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2. 2군(자가부식 접착제)은 1군(산부식)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3군(air abrasion)과 4군(air abrasion+산부식)에서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4. 5군(diamond bur)과 6군(diamond bur+산부식)에서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복합레진의 수리 시 air abrasion으로 표면처리를 했을 때의 결합강도가 가장 높았고, 산부식 방법과 처리여 부는 수리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삭제기구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LEAKAGE OF A SELF-ETCHING PRIMER ADHESIVE ACCORDING TO TYPES OF CUTTING INSTRUMENTS)

  • 김용희;박재구;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27-334
    • /
    • 2007
  • 이 연구는 서로 다른 카바이드 버와 다이아몬드 버로 5급 와동을 형성 한 후 SE primer 접착 시스템인 Clearfil SE Bond를 이용한 복합레진 수복 시 버의 종류에 따른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종의 삭제기구를 이용하여 각각 1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1군은 plain-cut carbide fissure bur (no. 245)를 사용한 군, 2군은 cross-cut carbide fissure bur (no. 557)를 사용한 군, 3군은 fine diamond bur (TF-21F: 입자크기 $53\;-\;63\;{\mu}m$)를 사용한 군, 4군은 standard diamond bur (EX-41: 입자크기 $106\;-\;205\;{\mu}m$)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Clearfil SE Bond의 Primer와 Bond를 적용하고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광중합한 후, Sof-Lex disc를 이용하여 마무리와 연마를 시행하였다. 수복된 치아를 2%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learfil SE Bond와 복합레진을 이용한 5급 와동 수복 시 거친 다이아몬드 버의 사용은 카바이드 버나 미세한 다이아몬드 버에 비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높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Bonding agent의 종류 및 적용 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onding Agent and Application Methods o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 이재희;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9-426
    • /
    • 2017
  • 맹출 장애 치료를 위해 교정력을 이용한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시행하며, 이 과정 중 여러 원인에 의해 부착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 레진 접착 시스템과 자가 산부식 접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평가해보고, 접착 과정 중, 프라이머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생략하여 시간 절약이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사람의 상악 전치부 40개 치아를 대상으로 I군과 II군은 산부식 후 프라이머로 Transbond$^{TM}$ XT Light cure Adhesive primer를 적용 하였으며 III군과 IV군은 Transbond$^{TM}$ Plus Self Etching primer을 적용 하였다. I군과 III군은 제조사의 지시 사항대로, II군과 IV군은 접착제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줄여 부착을 시행하였다. 그 후 전단결합강도와 접착제 잔류 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전단결합강도는 I군, II군, III군 그리고 IV군 순으로 컸으며 대조군인 I군과 실험군 간에만 유의차가 있었다(p < 0.05). ARI 지수는 I군, III군, IV군 그리고 II군 순으로 대조군에서 치면과 레진 사이의 결합력이 컸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전단결합강도가 높았으나 다른 군에서도 임상적으로 유용한 전단결합강도를 가진다.

삭제기구의 종류에 따른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 self-etching primer adhesive to enamel according to the type of bur)

  • 정진호;조영곤;이명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6호
    • /
    • pp.477-482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서로 다른 버로 형성한 법랑질 표면에 대한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제의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법랑질에 우수한 접착 표면을 제공하는 적절한 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2개의 발거된 대구치 치관의 법랑질을 이용하였고, 법랑질을 삭제하는 기구의 종류에 따라 6개군, 즉 1군은 Coarse (125 - 150 ${\mu}m$) diamond bur; 2군은 standard (106 - 125 ${\mu}m$) diamond bur; 3군은 fine (53 - 63 ${\mu}m$) diamond bur; 4군은 extrafine (20 - 30 ${\mu}m$) diamond bur; 5군은 plain-cut carbide bur (no. 245); 6군은 cross-cut carbide bur (no. 557)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법랑질 표면에 Clearfil SE Bond를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Clearfil AP-X를 접착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4군의 결합강도는 모든 군중 가장 높게 나타나 1군, 2군, 3군 및 6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5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결론: 버의 종류와 다이아몬드 버의 입자크기는 약한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에 영향을 주었다. Clearfil SE Bond의 법랑질에 대한 우수한 접착을 위해서는 초미세입자 다이아몬드 버나 plain-cut 카바이드 버의 사용이 추천된다.

제 5급 와동에서의 단일용기 상아질 접착제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상아질에 대한 침투도 평가 (A CONFOCAL MICROSCOPIC STUDY ON DENTINAL INFILTRATION OF ONE-BOTTLE ADHESIVE SYSTEMS AND SELF-ETCHING PRIMING SYSTEM BONDED TO CLASS V CAVITIES)

  • 김형수;박성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3호
    • /
    • pp.257-269
    • /
    • 2002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n infiltration into dentin of one-bottle adhesive systems and self-etching primer bonded to Class V cavities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CLSM). Material and Methods : Fort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from freshly extracted caries-free Human teeth. These teet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f cervical abrasion: Group I, cervical abrasion : Group II, wedge-shaped cavity preparation. Resin-dentin interfaces were produced with two one-bottle dentin bonding systems-ONE COAT BOND(OCB; Coltene$^R$) and Syntac$^R$SPrint$^{TM}$(SS; VIVADENT)-, one self-etching priming system-CLEARFIL$^{TM}$ SE BOND (SB : KURARAY)- and one multi-step dentin bonding system-Scotchbond$^{TM}$Multi-Purpose (SBMP, 3M Dental Products)-as control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Cavities were restored with Spectrum$^{R}$(Dentsply). Specimens were immersed in saline for 24 hours and sectioned longitudinally with a low-speed diamond disc. The resin-dentin interfaces were microscopically observed using CLSM. The quality of resin-infiltrated dentin layers were evaluated by five dentists using 0~4 scale. Results :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al investigations using primer labeled with rhodamine B showed that the penetration of the primer occurred along the cavity margins. Statistical analysis using one-way ANOVA follow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vealed that the primer penetration of the group 2(wedge-shaped cavity prepar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1(cervical abrasion) and that of the gingival interface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cclusal interfaces. In the one-bottle dentin bonding systems, the resin penetration score of OCB was compatible to SBMP, but those of SS and self-etching priming system, SB were lower than SB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