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점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재고공유를 지원하는 전자부품 e-marketplace의 설계 및 구현

  • 장시웅;조혜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50-353
    • /
    • 2004
  • 전자상거래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525 전자상거래 시장은 인터넷 매체의 고속 성장과 함께 빠른 속도로 발전해 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B2B 전자상거래에 참여하는 기업 간에 상호 협동의 거래를 유지하고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 이-마켓플레이스의 경우 이-마켓플레이스 자체에서 대부분의 거래가 이루어짐으로써 이-마켓플레이스에 소속된 입점 업체가 독립성을 가지지 못하고, 입점 업체간의 발전적인 경쟁체제가 형성되지 못해 입점 업체간의 시너지 효과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한 형태인 전자부품 이-마켓플레이스를 대상으로 하여 위의 문제점을 해결해 보고자 한다. 전자 부품은 라이프사이클이 짧아 하나의 입점업체가 많은 양의 재고를 가질 경우 불응재고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지만 특성상 다품종 소량이기 때문에 기업간 재고 공유를 통해 불용재고 해소 방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업간의 재고 공유를 통한 적극적인 영업을 유도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입점 업체의 독립성을 최대한 제공하여 이-마켓플레이스 전체의 영업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백화점 입점 여성의류업체간 상호권력에 관한 연구 (On Interfirm Power in the Department Store and Its' Women's Apparel Tenants in a Channel Distribution)

  • 정현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375-390
    • /
    • 2001
  • 본 연구는 한국 경제상황에 따른 백화점과 입점 여성의류업체간의 상호간의 권력을 연구한 것이다. 여기서 백화점의 권력, 권력원천 그리고 입점업체의 대항력을 중심으로 한 모형 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백화점의 권력이 를수록 입점업체둘의 대항력이 작다고 지 각하고 있었으며 입점업체들이 백화점의 강제적 권력원천이 클수록 백화점의 권력을 크다 고 지각했다. 그러나 입점업체들의 대항력이 클수록 백화점의 강제적 권력원천과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운 반면에 비강제적 권력원천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어 소매업 주도형의 권력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 PDF

복합쇼핑몰 개발을 위한 매장규모 및 임대차 관점에 따른 임차인 입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easing Decision Determinants by the Store Size and Lend-Lease Perspectives for Mix-Used Shopping Mall Development)

  • 박혜윤;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9-57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복합쇼핑몰의 임차인 입점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위해 SPA브랜드를 대상으로 2개의 상위기준에 따른 6개의 중위기준으로 구분되는 24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AHP-Fuzzy기법을 기반으로 매장규모 및 임대차 관점에 따른 요인별 중요도를 도출한 결과, 공통적으로 '상권규모 및 특성', '유동량', 'MD계획' 등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규모별로 대형은 '매장크기', 'Main층 입점여부', 중형은 '키테넌트 입점여부', '경쟁브랜드 입점여부', 소형은 '주동선 접속유무', 'Main층 입점여부'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임대차 관점에 있어서는 개발자는 '교통의 편리성/접근성'과 '연면적', 테넌트는 '키테넌트 입점여부'와 'Main층 입점여부'가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복합쇼핑몰 개발사업의 기획단계에서 사업규모에 맞는 적정면적배분 및 특성이 사업계획과 설계 및 시설의 운영을 위한 임대차관리에 반영되어 차별성을 가지는 임차인 유치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신제품 입점지원비 : 선행요인과 결과 (Slotting Allowanc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 임채운;지성구;박은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0권4호
    • /
    • pp.41-67
    • /
    • 2005
  • 본 연구는 신제품 입점 지원비의 규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시장 지배력 측면과 효율성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신제품 입점지원비가 신제품성과와 소비자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 제조기업 128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신제품 입점 지원비의 규모에 시장지배력변수 중 유통업체의 점포 브랜드 자산은 정의 효과를 보인 반면, 제조업체의 유통업체 대체가능성은 부의 효과가 있었다. 한편 효율성변수인 거래기간은 부의 효과를 보인 반면. 환경 붙확실성은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신제품 입점 지원비의 규모는 제조업체의 신제품성과와 신제품 가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혔다.

  • PDF

지능형 온라인 핸드메이드 서비스 도입을 위한 구매자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yer's Decision Making Models for Introducing Intelligent Online Handmade Services)

  • 박종원;양성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9-138
    • /
    • 2016
  • 산업혁명 이후 기계로 만든 공산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장인의 노력, 품질에 대한 믿음, 제품의 희소성,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자부심 등을 이유로 많은 소비자들이 같은 범주의 공산품보다 더 비싼 가격을 주고 핸드메이드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Etsy.com은 세계 최대 온라인 핸드메이드 플랫폼으로 2015년 4월 기업공개에서 2조원이 넘는 자금을 조달하면서 온라인 핸드메이드 플랫폼의 잠재력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실제 온라인 플랫폼 환경에서 이루어진 지능형 서비스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공산품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핸드메이드 제품에 대한 학술적 접근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호 이론과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구매자-판매자 관계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핸드메이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핵심 특성요인인 입점 상점 특성(명성, 규모)과 입점 상점 관계특성(정보공유, 관계기간)을 도출한 후, Etsy.com 웹사이트에서 웹 하베스팅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입점 상점 특성 가운데 명성과 규모, 그리고 입점 상점 관계특성 가운데 정보공유는 입점 상점의 총 판매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입점 상점 특성 중 명성, 그리고 입점 상점 관계특성 중 관계기간은 입점 상점의 가격 프리미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온라인 핸드메이드 플랫폼에서 지능형 서비스 도입 및 운영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나아가 입점 상점이 핸드메이드 제품에 대한 판매량 증진 및 가격 프리미엄 극대화를 위한 실질적 전략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경기도 커피 전문점의 입점 전략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Coffee Franchise Location Strategies: Evidence from Gyeonggi Province)

  • 윤영태;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92-199
    • /
    • 2016
  • 본 논문은 경기도의 5대 커피 프랜차이즈의 매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각 브랜드의 커피 전문점의 입점 전략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경기도는 대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많은 인구수, 다양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어 프랜차이즈의 경영 전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적합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5대 커피 프랜차이즈의 경기도 내 모든 매장의 주소 정보를 수집하고, Google Maps Geocoding API를 통해 위도와 경도에 기반한 정확한 위치 정보로 변환한 다음, 이를 Haversine 공식에 대입하여 매장들 간의 거리를 미터 단위로 측정한다. 지금껏 계량적으로 입증하기 쉽지 않았던 비즈니스 주체들의 입점 전략을 매장사이의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며, 이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자치구내 매장의 수와 커피 소비 연령 인구는 양의 관계를 가지며, 특히 유동인구가 많고 상권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더 많은 매장을 찾을 수 있다. 둘째, 33%의 스타벅스 매장으로부터 반경 300m 이내의 지역에서 다른 스타벅스의 매장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중심 상권에 다수의 매장을 배치하는 스타벅스의 집중적 초토화 전략을 잘 반영한다. 셋째, 80%의 스타벅스 매장으로부터 500m 이내에 이디야 커피의 매장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스타벅스의 옆자리에 입점하려는 이디야 커피의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편의점, 패스트 푸드점, 휴대폰 판매점과 같은 여러 체인 소매업종 입점 전략 분석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xercise Training System)

  • 오은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는 사람의 사용자 전신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움직임에 대한 정상 가동 범위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구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입점(立點, standing point)을 기준으로 사용자 전신의 정면과 측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C), 그리고 카메라부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체의 관절 위치에 노드(node)를 설정하고, 입점을 원점으로 하는 공간좌표계에 노드를 배치하여 그 사용자의 노드 좌표값을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I·A)와 이미 설정된 표준 노드 좌표값에 매칭된 운동 동작별 정상 노드 가동범위를 사용자 노드 좌표값에 맞추어 보정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사용자 노드 정상 가동 상태를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재생부(R·P)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구의 방법으로는 주요선행연구와 자료조사를 통해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이에 따른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