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양정책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국외입양인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Search for Their Birthparents)

  • 권지성;안재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369-393
    • /
    • 2010
  • 본 연구는 국외입양인들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입양이 시작된 6·25 전쟁 이후 지난해까지 국외로 입양된 아동은 16만명 이상으로, 같은 기간 국내에서 입양된 아동에 비해 2배 이상 많다. 1980년대 초부터 많은 국외입양인들이 뿌리찾기를 위해 모국을 찾고 있으나, 이들 국외입양인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뿌리찾기가 입양인들이 갖고 있는 보편적 욕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의 뿌리찾기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뿌리찾기에 참여하는 입양인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외입양인들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들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2008년에 실시한 <국외입양인 실태조사 및 효율적 입양사후서비스 제공방안>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은 한국에서 출생하여 미국, 유럽, 호주 등의 국가로 입양된 16세 이상 국외입양인들로, 설문지는 영어와 프랑스어로 제작되어 온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총 290사례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의 특성상 응답별 결측치가 다소 높게 나타나 다중삽입한 5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입양인의 인구학적 특성(성별과 연령집단), 심리적 특성(정체성 위기 경험), 입양 및 입양부모 관련 특성(뿌리찾기 관심 시기, 입양 시 연령, 입양부모의 이혼여부, 뿌리찾기에 대한 입양부모의 태도) 등의 변수가 연구모형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입양인의 연령, 정체성 위기경험, 뿌리찾기에 처음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기, 입양 시 연령, 뿌리찾기에 대한 입양부모의 태도가 입양인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입양인의 연령이 30~34세인 경우, 35세 이상인 경우보다 뿌리찾기를 시도할 확률이 높았으며, 살아오면서 정체성 위기를 여러 차례 경험한 입양인일수록, 입양 시 만 나이가 많을수록, 뿌리찾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연령이 어릴수록 뿌리찾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뿌리찾기에 대한 입양부모의 태도가 지지적인 경우보다 입양부모의 태도를 모르는 경우 뿌리찾기를 시도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근거한 국외입양인 지원정책 및 입양실천에서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 - 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the 'Adopted Family' of Major Textbooks in Child and Family Welfare Studies: With Focus on the Stereotypes of and Prejudiced Descriptions about Adoptive Families)

  • 배지연;이선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35-4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 내에서 '입양'과 '입양가족'에 대한 편견적 서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출간된 아동가족학 전공교재 11권을 표집하여, 집필의 구성과 기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입양 및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에 있어, 최근 변화된 공개입양문화의 특성과 당사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부모, 아동)과 입양기관 등)에 대한 특성 기술에 있어, 일부 편견적 용어의 사용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공개입양문화의 양적·질적인 이해와 입양가족의 사회적 편견에 대한 관점 등을 반영하여 입양가족의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권리)학 뿐 만 아니라 가족복지, 건강가정론 등에서 다양한 가족의 유형으로써 입양에 대한 내용을 전공 서적 안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주제 구성과 내용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 내용 구성의 개편 등 교재 집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입양가족의 개방입양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open adoption by adoptive families)

  •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2호
    • /
    • pp.5-3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입양을 시도한 가족들이 개방입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이슈들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개방입양을 시도한 입양가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종 7사례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뒤 이야기 형식으로 요약하였고, 각 사례에서 나타난 주요한 개방입양의 이슈들을 사례 순으로 비교하면서 기술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내 분석에서 나타난 이슈들을 염두에 두고 전체 사례들을 재검토하여 8개의 주제로 통합하였다. 8개의 주제를 제시해 보면, '결정적 만남', '분명한 선 긋기', '불안한 평행선 걷기', '그 엄마', '누가 진짜 부모인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말', '숨은 주역들', '관계의 중심 또는 방관자'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분야에서 개방입양과 관련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입양가족의 뿌리찾기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Searching Roots of Adoptive Families)

  • 권지성;안재진;변미희;최운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209-23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입양가족들의 뿌리찾기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뿌리찾기를 시도한 입양가족들과 접촉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종 다섯 가족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제들은 '입양됨의 인식', '호기심 폭발', '불안한 기다림', '진실을 만나는 순간', '그래, 내가 진짜 엄마야', '그리고 아무 말도 없었다' 등이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가족들의 뿌리찾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 PDF

위탁아동 입양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Rearing Experience of Parents who Adopted a Child from Foster Care)

  • 권지성;정익중;민성혜;신혜원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73-10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위탁아동을 입양한 부모의 양육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요보호아동을 위탁하여 보호하다가 입양한 사례들을 접촉하여 개별적으로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사례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사례별로 중요한 이슈들을 파악하였으며, 전체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주제들을 발견하여 기술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제는 '특별한 만남: 우연, 인연, 필연', '이미 내 아이', '사소하지만 본질적인 차이', '사회적 지원의 단절: 잃은 것과 얻을 수 있는 것', '숨길 수 없는 진실, 숨겨야 하는 진실', '가족의 운명'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위탁아동 입양가족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미국 위탁아동의 친권상실선고 이후 입양 결정요인에 관한 생존분석 (Timing and Risk Factors of Adoption for Legally-Free Foster Children after Having Parental Rights Terminated in the U. S.)

  • 송민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301-32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친권상실이 선고된 위탁아동의 입양률 추이를 살펴보고, 입양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위탁보호와 입양에 관한 패널데이터 FY1999-FY2002를 이용하여 1998년 10월부터 2002년 9월까지 32개 주를 추출하여 총 26,895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사건사 분석의 Kaplan-Meier 분석과 비례적 위험회귀모형(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친권상실선고 이후 소요되는 위탁기간에 따른 입양률 추이와 위험 입양배율(hazard ratios for adoption)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친권상실선고 이후 3개월-19개월까지 입양률이 급속히 증가하다가 20개월이 지나면서 오히려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입양여부와 관련한 주요 요인으로서는 백인아동일 경우, 나이가 어릴수록, 선입양가족, 도시소재의 위탁보호일 경우, 양부모 위탁가족, 또는 인종적으로 동일한 위탁부모에 의해 위탁보호 될 경우 입양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지체나 장애가 있을 경우, 신체학대나 성학대를 경험한 경우, 친부모의 양육능력부족으로 위탁보호 된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입양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 친권상실 이전에 발생한 위탁보호 원인이 친권상실 이후에도 입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입양촉진방안으로 친권상실선고 이후 제공된 위탁서비스 활용과 적극적 지원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요보호아동의 친권개입의 정책적 방향과 항구적 보호마련을 위한 함의와 제언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 이용우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97-115
    • /
    • 2017
  • 전체 미혼모의 90% 이상이 입양을 선택했던 과거와 다르게, 최근 들어 자녀의 양육을 선택하는 미혼모가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령, 교육수준, 노동시장 참여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도 과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미혼모들이 빈곤을 비롯하여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오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속에서 자녀 양육과 생계부양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육미혼모가 직면하는 어려움들은 개인적 특성의 발전 향상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미혼모의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사회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전개과정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재 미혼모 가족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정책의 현황과 한계를 전반적 정책 기조의 변화 속에서 검토하였다. 한국사회의 미혼모 정책은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기존의 입양 중심에서 미혼모의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쪽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현재 양육미혼모에게 제공되는 있는 사회적 지원의 수준은 정책기조의 변화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미혼모가 자녀를 양육하기에는 아직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미혼모의 자녀양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한국의 적정인구 추세에 관한 연구

  • 김형기
    • 한국인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구학회 2006년도 후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93-230
    • /
    • 2006
  • 본 논문은 국가별 추계인구와 미래 9개년 인구관련 설명변수들의 추정값을 통하여 적정인구 모형을 구형하고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후생을 고려한 생산함수 확장모형, 세계 176개국의 표본자료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고 그 추세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UN에 의한 세계각국의 추계인구이고, 설명변수는 9개 변수 즉 PPP GDP, 인접지역 경제통합율, 교육수준, 영어구사비율, 국토유효면적, 에너지량, 기온, 수자원량, 무역거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는 $4,350{\sim}4,950$만명으로 추정되며, 2000년${\sim}$2050년은 $4,700{\sim}5,010$만명, 2050년${\sim}2100$년은 $4,770{\sim}4,400$만명이 된다. 2125년 최저점 4,350만명을 통과한 후 점진적으로 2300년의 4,870만명으로 접근해 갈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네 가지이다. 첫째 한국의 적정인구가 2125년을 기준으로 이전은 감소 이후는 증가 추세일 것이므로 정책결정시 적정한 목표인구를 설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현 추세로 진행되면 2050년 이후 적정인구가 추계인구보다 $500{\sim}600$만명 더 많아진다는 점이다. 셋째 2125년 이전의 적정인구는 좁게 $4,770{\sim}4,545$만명으로서, 출산율 향상을 통한 적정인구의 유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넷째 적정인구 추세의 기복은 출산기피로 인한 인구감소 때문으로 출산지원과 입양 및 이민 유입의 정책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NAND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 계층에서 프로그램의 페이지 참조 패턴을 고려한 캐싱 및 선반입 정책 (Caching and Prefetching Policies Using Program Page Reference Patterns on a File System Layer for NAND Flash Memory)

  • 박상오;김경산;김성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4호
    • /
    • pp.235-244
    • /
    • 2007
  • 메인메모리와 저장장치사이의 속도차이에 대한 소프트웨어적 보완 기법으로서 캐싱 및 선반입 정책이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의 페이지 참조 패턴을 고려하지 않은 리눅스 커널의 캐싱 및 선반입 정책을 개선하고자 NAND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시스템 계층에서 동작하는 Flash Cache Core Module(FCCM)을 YAFFS 상에서 설계 및 구현하였다. FCCM은 커널의 안정성과 호환성을 지원하기위해 커널과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며,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한 Dirty-Last 메모리 교체 기법과 페이지의 히트 여부에 따른 선반입 페이지 대기큐를 구현하였다. FCCM은 리눅스의 캐시 및 선반입 정책과 비교해 I/O 횟수와 요구되는 선반입양이 각각 최대 55%(평균 20%) 및 최대 55%(평균 24%)까지 감소했다.

어린이집과 부모 (Childcare Center and Parents)

  • 김혜금;제경숙;공인숙;노진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2
    • /
    • 2015
  •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된 1991년부터 2013년까지 각 연도별 '보육사업안내'에 나타난 어린이집 입소순위와 부모교육 관련 정책의 변화와 주요 학회지에 나타난 어린이집에서의 부모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및 여성가족부의 보육사업안내 지침서와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된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와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에서의 부모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보육사업안내 지침서를 중심으로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와 관련한 정책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가정 중심의 소극적 부모교육 실시 시기(1991년~1994년), 맞벌이 가정에 대한 관심이 부각된 시기(1995년~2003년), 입양가정의 중요성 부각 및 다양한 육아지원서비스 실시 시기(2004년~2007년), 가정양육 지원과 적극적인 부모참여 강화 시기(2008년-2013년)(2008년~2013년)로 명명할 수 있었다. 한편, 어린이집에서의 부모교육과 관련한 연구를 살펴보면, 부모교육을 시작하기 위한 실태연구에서 시작되어 주로 부모의 역할 및 자질향상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부모의 요구 및 만족도를 반영한 부모참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고 점차 맞춤형 부모교육에 대한 시각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가정의 요구에 맞는 보육서비스 제공에 대한 필요성과 부모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